『訂正普通學校學徒用國語讀本』과 일본어 교육내용의 변화

' 『訂正普通學校學徒用國語讀本』과 일본어 교육내용의 변화'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assimilation with japanese
  • characteristicsofthecontents
  • formalcharacteristics
  • japanese colonial period
  • japanese textbook
  • 『訂正普通學校學徒用國語讀本』?
  • 國語讀本
  • 日語讀本
  • 동화주의
  • 총독부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22 0

0.0%

' 『訂正普通學校學徒用國語讀本』과 일본어 교육내용의 변화' 의 참고문헌

  • 한국 민족주의 교육의 연구
    차석기 진명문화사 [1976]
  • 조선총독부의 교육정책과 교과서 발행
    김한종 역사교육연구 (9) : 295 ~ 329 [2009]
  • 조선어 독본과 국어문화
    강진호 제이앤씨 [2011]
  • 제1차 조선교육령기『普通学校国語読本』과 일본어 교육
    팽영일 동북아 문화연구 1 (25) : 581 ~ 598 [2010]
  • 일제 식민지 시기 교과서 비교 연구
    한중선 일어일문학연구 36 [2000]
  • 일본통치하 조선에서의 일본어교육
    李淑子 朝鮮學報 75 [1975]
  • 식민지 교육연구의 다변화
    강명숙 교육과학사 [2011]
  • 반전(反轉)하는 ‘국어’-한일병합 전후의 조선어 교육을 중심으로-
    이숙자 일본연구 (25) : 49 ~ 69 [2005]
  • 개화기 일어교육에 관한 고찰-학부 편찬 『日語讀本』을 중심으로-
    한중선 일본학보 38 [1997]
  • 訂正普通學校學徒用國語讀本
    조선총독부 제이앤씨 [2010]
  • 植民地朝鮮の日本語敎育
    久保田優子 九州大學出版會 [2005]
  • 植民地朝鮮の「国語」としての日本語教育 ー第一期『普通学校国語読本』を中心にー
    형진의 日本語文學 1 (42) : 91 ~ 107 [2009]
  • 植民地時代における日本語敎育政策と普通学校敎科書の硏究-『普通學校國語讀本』を中心に-
    朴英淑 日本文化學報 6 [1999]
  • 植民地敎育政策の硏究
    佐藤由美 龍溪書舍 [2000]
  • 朝鮮總督府編纂敎科書槪要 日本植民地敎育政策史料集成 第十八卷
  • 朝鮮總督府に於ける敎科書編纂事業の槪要
    小田省吾 朝鮮彙報 [1917]
  • 朝鮮植民地時代『普通学校国語読本』の硏究 ; 初等學校における漢字敎育を中心に
    朴英淑 久留米大學 [2002]
  • 朝鮮敎育者必攜
    朝鮮敎育硏究會 朝鮮敎育會 [1918]
  • 朝鮮人の敎育
    三土忠造 敎育界 [1910]
  • 普通学校国語読本
    朝鮮總督府 朝鮮總督府 [1912]
  • 日本植民地敎育政策史料集成
    幣原坦 [1905]
  • 日本の対韓国植民地敎育政策の變遷に関する一考察「国語」敎科書の分析を通じてー
    宋晩翼 [1986]
  • 敎育時論 713号
  • 帝國日本の言語編制
    安田敏朗 世織書房 [1997]
  • 初等敎育 國語敎科書の發達
    秋田喜三郞 文化評論出版 [1982]
  • 『국정독본』에 나타난 일본 근대어 연구
    윤재숙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