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성종대 외교의례 변경에 대한 논의와 대명의식

논문상세정보
' 조선 성종대 외교의례 변경에 대한 논의와 대명의식'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beongukeuiju
  • daemyeongjibrye
  • diplomaticprotocols
  • perception of ming
  • 대명의식
  • 대명집례(大明集禮)
  • 번국의주(蕃國儀註)
  • 외교의례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35 2

0.0%

' 조선 성종대 외교의례 변경에 대한 논의와 대명의식' 의 참고문헌

  • 조선초기 ‘時王之制’ 논의 구조의 특징과 중화 보편의 추구
    최종석 조선시대사학보 52 (52) : 5 ~ 49 [2010]
  • 조선초 對日賓禮의 정비와 ‘受隣國書幣儀’
    윤승희 조선시대사학보 (70) : 5 ~ 39 [2014]
  • 조선시대 해외파병과 한중관계
    계승범 푸른역사 [2009]
  • 조선시대 國家典禮書의 편찬 양상
    김문식 藏書閣 (21) : 79 ~ 104 [2009]
  • 조선 성종대 명(明)의 출병 요청과 대명의식 변화
    이규철 한국사연구 (169) : 109 ~ 135 [2015]
  • 여말선초 명(明)의 예제(禮制)와 지방 성황제(城隍祭) 재편
    최종석 역사와 현실 72 (72) : 207 ~ 251 [2009]
  • 사조선록(使朝鮮錄) 연구 -송(宋), 명(明), 청(淸) 시대 조선 사행록(使行錄)의 사료적 가치-
    김한규 서강대학교 출판부 [2011]
  • 고려말기・조선초기 迎詔儀禮에 관한 새로운 이해 모색 -蕃國儀註의 탐색과 복원-
    최종석 조선후기 예교 담론과 예제 질서(2015년 고려대 HK한국문화연구단 ‘예교의 사회문화’팀 국제학술대회 자료집) [2015]
  • 朝鮮初期祭祀典禮硏究
    김해영 集文堂 [2003]
  • 朝鮮初期國家祭禮硏究
    한형주 一潮閣 [2002]
  • 朝鮮 初期 迎詔勅 관련 儀註의 성립과 朝明關係
    유바다 역사민속학 (40) : 123 ~ 160 [2012]
  • 征伐이라는 戰爭/征伐이라는 祭祀 - 世宗代 己亥年 “東征”과 婆猪江 “野人征伐”을 중심으로 -
    정다함 韓國史學報 52 (52) : 271 ~ 306 [2013]
  • 對明儀禮를 통해 본 15세기 朝-明관계
    한형주 역사민속학 (28) : 39 ~ 75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