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동향 분석
홈
알림
이용안내
오류접수
API
서비스소개
인기 연구 키워드 :
인기 활용 키워드 :
다문화가족 자녀 언어촉진교육 효과에 대한 질적 연구
정경희(Kyunghee Jung)
황상심(Sang-Shim Hwang)
배소영(Soyeong Pae)
김미배(Mi bae Kim)
2015년
활용도 Analysis
논문 Analysis
연구자 Analysis
활용도 Analysis
논문 Analysis
연구자 Analysis
활용도
공유도
영향력
논문상세정보
저자
정경희(Kyunghee Jung)
황상심(Sang-Shim Hwang)
배소영(Soyeong Pae)
김미배(Mi bae Kim)
주제어
followupservice
followupstudy
languagefacilitation
Multicultural families
다문화가족 자녀
언어촉진
지속적 지원
추적연구
참고문헌( 26)
유사주제 논문( 15,148)
교육학 15,031건
multicultural families 108건
다문화가족 자녀 5건
followupstudy 3건
추적연구 1건
인용/피인용
다문화가족 자녀 언어촉진교육 효과에 대한 질적 연구
' 다문화가족 자녀 언어촉진교육 효과에 대한 질적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교육학
followupservice
followupstudy
languagefacilitation
multicultural families
다문화가족 자녀
언어촉진
지속적 지원
추적연구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4,783
1
0.0%
자세히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주제
주제별 논문수
주제별 피인용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
주제분류(KDC/DDC)
교육학
15,032
0
0.0%
주제어
followupservice
1
0
0.0%
followupstudy
4
0
0.0%
languagefacilitation
1
0
0.0%
multicultural families
109
0
0.0%
다문화가족 자녀
6
0
0.0%
언어촉진
1
0
0.0%
지속적 지원
1
0
0.0%
추적연구
2
0
0.0%
계
15,157
0
0.0%
* 다른 주제어 보유 논문에서 피인용된 횟수
1
닫기
' 다문화가족 자녀 언어촉진교육 효과에 대한 질적 연구'
의 참고문헌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연구
여성가족부
[2013]
외국인 주민 현황조사 결과
행정안전부
[2009]
서울 및 경기지역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특성과 관련변인에 대한 기초 연구
김영란
김영태
오소정
특수교육 8 (1) : 137 ~ 161
[2009]
도덕교육에서의 질적연구: 활성화를 위한 탐색
김정효
교육인류학연구 6 (1) : 97 ~ 117
[2003]
다문화가족의 자녀교육 문제에 관한 질적 연구
김승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9 (4) : 17 ~ 33
[2011]
다문화가족 지원 사각지대 대응방안 연구
김이선
[2012]
다문화가족 자녀 언어발달지원사업 결과보고서
여성가족부
[2010]
다문화가정아동의 5세 전 후 집단 간 언어발달특성 비교 연구
황상심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10 (3) : 265 ~ 281
[2009]
다문화가정 유아의 초기 표현어휘 발달과 성차
황상심
언어치료연구 19 (1) : 193 ~ 209
[2010]
다문화가정 어머니와 발달지원자 설문을 통해 본아동의 언어환경 및 언어발달 실태
배소영
언어치료연구 18 (4) : 165 ~ 184
[2009]
다문화가정 아동의 표현어휘 향상도에 따른 어휘발달 변인 종단연구
김정은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19 (1) : 60 ~ 70
[2014]
다문 화가족아동의 사회적응실태 및 아동복지 서비스 지원 방안 연구
김미숙
[2011]
농촌지역 다문화가정아동들의 언어특성관련 상관 연구
황상심
언어치료연구 17 (1) : 81 ~ 102
[2008]
경기도 다문 화가정 청소년 생활실태와 지원방안 연구
전경숙
[2010]
결혼이민자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자녀 교육지원의 실제와 의미: 필리핀과 일본 어머니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전홍주
가족과 문화 20 (3) : 161 ~ 186
[2008]
The relationship of input factors to lexical learning by bilingual infants
Pearson, B. Z.
Applied Psycholinguistics 18 : 41 ~ 58
[1997]
The handbook of child language
De Houwer, A.
Blackwell
[1995]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metholds
Bogdan R. C.
Allyn and Bacon
[1989]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s
Patton, M. Q.
Sage
[1990]
Minority students in special and gifted education
Donovan, S.
National Academics Press
[2002]
Language disorders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assessment & intervention
Paul, R.
Mosby Elsever
[2007]
Language differentiation in early bilingual development
Genesee, F.
Journal of Child Language 22 : 611 ~ 632
[1995]
Language development
Hoff, E.
Wadsworth Cengage Learning
[2005]
Event knowledge and early language acquisition
Farrar, M.
Journal of Child Language 20 : 591 ~ 606
[1993]
Dual language development and disorders: A handbook on bilingualism and second language learning
Genesee, F.
Paul H. Brookes
[2004]
Bilingual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and standardized assessment : Preliminay findings from a study of children in language units
Crutchley, A.
International Journal of Bilingualism 1 : 117 ~ 134
[1997]
' 다문화가족 자녀 언어촉진교육 효과에 대한 질적 연구'
의 유사주제(
)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