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요시카와 에이지 <삼국지> 유행의 의미

이은봉 2015년
' 한국에서 요시카와 에이지 <삼국지> 유행의 의미'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 삼국지연의 >
  • eijiyoshikawa
  • entertaining
  • focalization
  • perspective
  • readability
  •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 translation
  • 가독성
  • 번역
  • 요시카와 에이지
  • 원근법
  • 재미
  • 초점화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572 0

0.0%

' 한국에서 요시카와 에이지 <삼국지> 유행의 의미' 의 참고문헌

  • 한국과 일본에서의 <삼국지연의 > 전래와 수용
    이은봉 동아시아고대학 (23) : 659 ~ 685 [2010]
  • 한국 근대소설의 기원
    권보드래 소명출판 : 226 ~ [2002]
  • 표상공간의 근대
    박성관 李孝德 소명출판사 : 42 ~ 137 [2002]
  • 최남선의 에크리튀르와 근대․언어․민족
    문성환 한국학술정보(주) : 84 ~ 94 [2009]
  • 일제 강점기 한국과 일본에서의 삼국지연의 연재의 의미
    이은봉 인문학연구 21 : 141 ~ 167 [2014]
  • 일본근대문학의 기원
    가라타니 고진 민음사 : 55 ~ 181 [1997]
  • 에디톨로지
    김정운 21세기북스 : 144 ~ 145 [2014]
  • 소년의 눈물
    서경식 돌베개 : 96 ~ [2004]
  • 삼국지연의 한국어 번역과 서사 변용
    권용선 인하대학교출판부 : 39 ~ 54 [2007]
  • 삼국지연의 한국어 번역과 서사 변용
    윤지현 인하대학교출판부 : 423 ~ 448 [2007]
  • 삼국지연의 한국어 번역과 서사 변용
    조성면 인하대학교출판부 : 449 ~ 476 [2007]
  • 삼국지 한국어 역본 해제
  • 근대의 책 읽기
    천정환 푸른역사 : 286 ~ [2004]
  • 고전 <삼국지 >의 현대적 수용과 변용의 양상 ⎯ 소설에서 만화와 소셜 게임 콘텐츠까지 ⎯
    조성면 대중서사연구 (27) : 189 ~ 227 [2012]
  • 日中戦争期における三国志演義再話の特色
    箱崎綠 比較文學․文化論集 29 : 12 ~ 13 [2012]
  • 三國演義
    陳曦鐘 北京大學出版社 : 661 ~ [1998]
  • 三國志 7
    吉川英治 講談社 : 101 ~ [2010]
  • 三國志 6
    吉川英治 講談社 : 223 ~ [2010]
  • 三國志 5
    吉川英治 講談社 : 147 ~ 254 [2010]
  • 三國志 1
    吉川英治 講談社 : 3 ~ 263 [2010]
  • Rewriting Three Kingdoms: The Practice by Modern Korean Writers of Translating/Revising a Chinese Classic
    권혁찬 중국문화연구 (20) : 5 ~ 17 [2012]
  • <삼국지연의 >를 보는 두 개의 시각-한국에서의 傳統的 大義論과 일본에서의 武士的 忠義論
    이은봉 고소설연구 35 (35) : 269 ~ 294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