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천공간 확보를 위한 홍수의 공간적 범람 분석

논문상세정보
' 하천공간 확보를 위한 홍수의 공간적 범람 분석'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ensuringstreamspace
  • floodinundation
  • lisflood
  • reinforcing flood defence
  • stream space
  • 치수보강
  • 하천공간
  • 하천공간 확보
  • 홍수범람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47 0

0.0%

' 하천공간 확보를 위한 홍수의 공간적 범람 분석' 의 참고문헌

  • 습지형 구하도 보전 및 복원을 위한 기능 평가:만경강 대상
    홍일 대한토목학회 논문집B 32 (4) : 213 ~ 220 [2012]
  • 극한홍수 저감을 위한 농경지의 저류지화 방안 연구
    강형식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44 (10) : 787 ~ 795 [2011]
  • Simple spatially-distributed models for predicting flood inundation: A Review
    Hunter, N. M. Geomorphology 90 : 208 ~ 225 [2007]
  • Mangyoung river river maintenance master plan report
  • LiDAR 고도자료와 LISFLOOD 모형을 이용한 홍수범람해석
    최천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6 (4) : 1 ~ 15 [2013]
  • Fuzzy set approach to calibrating distributed flood inundation models using remote sensing observation
    Pappenberger, F. Hydrol. Earth Syst. Sci. 11 (2) : 739 ~ 752 [2007]
  • Fundamental research on costal landward boundaries integrated flood forecasting methods according to the climate change
  • Evaluation of 1D and 2D numerical models for predicting river flood inundation
    Horritt, M. S. J. of Hydrology 268 : 87 ~ 99 [2002]
  • A simple raster-based model for flood inundation simulation
    Bates, P. D. J. of Hydrology 236 (1) : 54 ~ 77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