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 연령, 교육수준 및 출산순위에 따른 유아사망 불평등

논문상세정보
' 모 연령, 교육수준 및 출산순위에 따른 유아사망 불평등'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교육수준
  • 사회적불평등.
  • 유아사망
  • 추세
  • 출산순위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96 0

0.0%

' 모 연령, 교육수준 및 출산순위에 따른 유아사망 불평등' 의 참고문헌

  • 인구 및 사회경제적 차별출산력
    김태헌 한국인구학 29 1 1-23 [2006]
  • 의무기록정보를 활용한 사망요일별 환자특성에 관한 연구
    김광환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9 5 2223-2232 [2007]
  • 의무기록정보를 활용한 48시간이내 사망환자 특성에 관한 연구
    김광환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9 4 1653-1659 [2007]
  • 우리나라의 1995-2004년도 출생코호트에서 부모의 사회계급이 영아사망률과 소아사망률에 미치는 영향
    손미아 예방의학회지 39 6 469-476 [2006]
  • 산업·직업별 고용구조조사에서의 개인의 특성에 따른 근로형태의 의사결정나무분석
    남기성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9 2 759-767 [2007]
  •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산모의 고연령이 영아 사망에 미치는 영향: 교육 수준을 중심으로
    김상미 보건과 사회과학 29 69-97 [2011]
  • 부보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어린이 사망의 연관성
    윤태호 보건과 사회과학 20 29-46 [2007]
  •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출산결과 및 영아사망에 미치는 영향: 2000년대 초반과 후반을 중심으로
    김상미 한국인구학 35 1 131-149 [2012]
  • 경제적 자원이 미혼 남녀의 결혼 연기에 미치는 영향
    유홍준 한국인구학 33 1 75-101 [2010]
  • 경제적 불확실성이 출산 의사결정에 미치는 효과: 중도절단된 포아송 회귀분석 및 중도절단된 음이항 회귀분석을 이용한 자녀 수 결정모형 분석
    이진권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3 3 1521-1531 [2011]
  • Widening socioeconomic disparities in US childhood mortality, 1969-2000
    Singh, G. K.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7 9 1658-1665 [2007]
  • Socioeconomic position and the risk of preterm birth-a study within the Danish National Birth Cohort
    Morgen, C. S.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37 5 1109-1120 [2008]
  • Social class inequalities in perinatal outcomes: Scotland 1980-2000
    Fairley, L.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60 1 31-36 [2006]
  • Risk factors in infant and early childhood mortality: Korean 1996 birth cohort
    Lee, E. S. [2002]
  • Mortality inequalities by parental education among children and young adults in Finland 1990-2004
    Remes, H.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64 136-141 [2010]
  • Child mortality patterns in rural areas of Anhui and Henan provinces in China, 1990
    Jin, S. G. Biomedical and Environmental Sciences 11 3 264-276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