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초기 ‘공론’의 개념에 대한 검토

' 조선 초기 ‘공론’의 개념에 대한 검토'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한국
  • discussion(物議)
  • kingsleadership
  • moral authority
  • remonstration(대간언론)
  • 物議
  • 공론
  • 대간 언론
  • 도덕적 권위
  • 왕권 public consensus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128 0

0.0%

' 조선 초기 ‘공론’의 개념에 대한 검토' 의 참고문헌

  • 한국정치와 공론성(1)
    김용직 국제정치논총 38 (3) [1998]
  • 한국 및 동양의 공사관(公私觀)과 근대적 변용
    이승환 정치사상연구 6 (1) : 43 ~ 63 [2002]
  • 중국의 공과 사
    미조구치 유조 신서원 [2004]
  • 주희의 公과 私
    권향숙 철학논구 30 [2002]
  • 연산군 초반 정치적 갈등에 대한 구조적 접근
    송웅섭 인문과학연구 20 [2015]
  • 동서양 사상에 있어서 政治的 正當性의 비교: 儒家의 공론론과 루소의 일반의지론을 중심으로
    이상익 정치사상연구 10 (1) : 83 ~ 110 [2004]
  • 朝鮮의 政治와 社會
    김인걸 집문당 [2002]
  • 朝鮮前期 士林의 ‘公’認識과 君臣共治論
    김정신 學林 21 [2000]
  • 朝鮮前期 君臣權力關係硏究
    김돈 서울대출판부 [1997]
  • 朝鮮 成宗代의 臺諫 言論
    남지대 韓國史論 12 [1985]
  • 19세기 후반 민중운동과 公論
    배항섭 한국사연구 (161) : 313 ~ 347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