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20~30년대 대중잡지『별건곤』의 역사 담론 연구

정가람 2014년
논문상세정보
' 920~30년대 대중잡지『별건곤』의 역사 담론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계몽
  • 대중독자
  • 별건곤
  • 역사담론
  • 역사적 인물
  • 의식의각성
  • 취미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67 0

0.0%

' 920~30년대 대중잡지『별건곤』의 역사 담론 연구' 의 참고문헌

  • 박사
  • 한국 근대 역사소설의 장르론적 연구
    공임순 [2001]
  • 일제강점기 『별건곤』에 나타난 신여성론
    안희정 [2011]
  • 일제 식민통치와 사회구조의 변화
    권태환 - [1990]
  • 일제 강점기 김진구의 활동과 내선일체론
    김태웅 역사연구 13 19-102 [2003]
  • 식민지시대 김옥균의 문화적 재현과 그 의미 -식민지시대 김옥균의 극적 재현방식을 중심으로-
    이상우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58 327-366 [2011]
  • 식민지시기 근대소설의 발흥과 천도교 매체의 역할
    유석환 대동문화연구 73 231-257 [2011]
  • 식민지 시기 글쓰기의 전략과 「개벽」 -「조선문화의 기본 조사」를 중심으로-
    이희정 한중인문학연구 31 165-188 [2010]
  • 대중소설의 유행과 장르 분화 – 별건곤 게재소설을 중심으로
    오선영 문창어문논집 46 119-144 [2009]
  • 대중문학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내일을 여는 역사
    김정인 - [2005]
  • 근대적 대중문화의 발전과 취미
    천정환 민족문학사연구 30 227-265 [2006]
  • 근대 잡지 『별건곤』의 "취미 담론"과 글쓰기의 특성
    김진량 어문학 88 331-352 [2005]
  • 괴기에서 넌센스까지 : 1920년대 취미독물에 나타난 여성인물의 재현 양상 ― 별건곤을 중심으로 ―
    박숙자 여성문학연구 14 175-195 [2005]
  • 『개벽』과 『별건곤』을 통해본 한국인의 한국자랑
    이에나가유코 인문과학연구 33 149-182 [2012]
  • 『別乾坤』과 近代 趣味讀物
    이경돈 대동문화연구 46 249-287 [2004]
  • 「근대 대중지의 ‘역사’ 수용 방식과 글쓰기 전략 : 『별건곤』을 중심으로」
    이승윤 한국문학논총 56 5-35 [2010]
  • 「別乾坤」을 중심으로 본 신여성의 복장에 관한 연구
    김희정 복식문화연구 12 2 211-223 [2004]
  • ≪별건곤≫의 직업관련 기사와 그 특성
    조미희 한국언어문화 41 33-58 [2010]
  • ≪별건곤≫의 영화담론 연구
    전지은 한국언어문화 42 395-420 [2010]
  • ≪별건곤≫에서 드러난 도시 부르주아 문화와 휴양지 표상
    전혜진 한국언어문화 41 5-31 [2010]
  • “Es ist mßig, aber doch interessant...” - Alternate Histories als Gegenstand kulturwissenschaftlicher Betrachtung
    Holger Korthals 독일문학 45 2 311-328 [2004]
  • ‘散策’을 둘러싼 大衆 談話의 地形圖 - 大衆雜誌 <別乾坤>의 경우
    권채린 어문연구(語文硏究) 40 2 245-272 [2012]
  • 1920~1930년대 ‘남편’을 통해 본 가족의 변화 - 『신여성』과 『별건곤』을 중심으로 -
    전미경 한민족문화연구 29 405-438 [2009]
  • 1920년대 사생활의 공론화와 젠더화-별건곤』에 나타난 비밀코드와 여성의 기호를 중심으로
    박숙자 한국근대문학연구 13 177-196 [2006]
  • 1920년대 과학소설 수용 양상 연구:영주생(影洲生)의 80만년 후의 사회 를 중심으로
    송명진 대중서사연구 10 119-141 [2003]
  • 1920~30년대 가정탐방기를 통해 본 신가정
    전미경 가족과 문화 19 4 103-130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