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모의 직장 내 분위기의 융통성, 역할갈등, 양육스트레스와 양육역량 간의 구조적 관계

' 취업모의 직장 내 분위기의 융통성, 역할갈등, 양육스트레스와 양육역량 간의 구조적 관계'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parenting competency
  • parenting stress
  • role conflict
  • working mothers
  • workplace flexibility
  • 양육스트레스
  • 양육역량
  • 역할갈등
  • 직장분위기의 융통성
  • 취업모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350 2

0.0%

' 취업모의 직장 내 분위기의 융통성, 역할갈등, 양육스트레스와 양육역량 간의 구조적 관계' 의 참고문헌

  • 획기적인 출산율 제고방안
  • 취업모의 직장환경, 양육시간에 따른 일-어머니 역할갈등
    최연화 한국보육지원학회지 3 (1) : 1 ~ 15 [2007]
  • 박사
  • 취업모의 심리적 문제와 양육태도 및 유아의 적응
    이완정 아동과 권리 7 (2) : 2 ~ 2 [2003]
  • 직장여성 51% 인사상 불이익 우려해 자녀계획 미뤄
    손봉석 경향비즈엔라이프
  • 직장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만 6세 이하 자녀를 둔 전문직, 사무직 및 생산직 여성을 중심으로
    김리진 대한가정학회지 38 (12) : 47 ~ 58 [2000]
  • 저소득 가정의 부모자원 및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미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 (1) : 179 ~ 198 [2013]
  • 장애아동 어머니의 부모역량 연구 : 역량요소 구인과 인식경향
    박재국 특수교육 12 (3) : 179 ~ 202 [2013]
  •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 핵심역량 요인 탐색
    박재국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4 (1) : 61 ~ 85 [2011]
  • 장애아 어머니의 가정 환경, 양육 스트레스, 양육 핵심 역량이 삶의 질에 미치는 경로 분석
    김기룡 특수교육학연구 46 (3) : 191 ~ 219 [2011]
  • 자녀를 둔 맞벌이부부의 역할갈등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황혜원 한국가족복지학 14 (1) : 45 ~ 71 [2009]
  • 일가족양립정책의국제비교연구 및 한국의 정책과제
    홍승아 [2008]
  • 일가족양립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직장내 지원과 가족지원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송다영 사회복지정책 37 (3) : 27 ~ 52 [2010]
  •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이 양육부담과 출산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길진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8]
  • 인사불이익․경력단절... 한국 워킹맘들의 ‘5중고’
    장연주 헤럴드경제
  • 인간발달 생태학
    Bronfenbrenner, U. 교육과학사 [1992]
  •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
    유우영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6 (1) : 51 ~ 61 [1998]
  •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원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정신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3 (1) : 19 ~ 32 [2010]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정서적 양육역량 증진 프로그램이 부모의 자아상태, 자기분화,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조형숙 유아교육학논집 17 (3) : 271 ~ 293 [2013]
  • 워킹맘의 실태와 기업의 대응방안
  • 박사
  • 영유아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관련 요인
    이지원 한국모자보건학회지 7 (2) : 207 ~ 216 [2003]
  • 영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의 양육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신숙희 전귀연 부모교육연구 2 (2) : 31 ~ 61 [2005]
  • 영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양육 스트레스 비교와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손수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 (1) : 331 ~ 357 [2012]
  •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자녀에 대한 사회정서적 투자와의 관계
    김혜성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1]
  • 영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영향요인 -어머니의 취업여부를 중심으로-
    권미경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 (2) : 19 ~ 41 [2011]
  • 역할긴장과 직장에서의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이정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 박사
  • 어머니의 수용 거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모형분석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주리 아동학회지 29 (2) : 57 ~ 71 [2008]
  •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 양육참여, 자녀가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간의 종단적 관계 분석
    최효식 육아정책연구 7 (2) : 21 ~ 45 [2013]
  • 어머니가 지각하는 Parenting Daily Hassles가 양육스트레스 및 부적절한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현희 한국모자보건학회지 13 (2) : 207 ~ 219 [2009]
  • 어린 아동을 둔 취업모의 양육부담감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김대란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9 (3) : 188 ~ 200 [2013]
  • 양육스트레스척도의 개발
    김기현 대한가정학회지 35 (5) : 141 ~ 150 [1997]
  • 액션러닝을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장애아 부모의 양육 역량에 미치는 효과
    김은라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7 (2) : 45 ~ 70 [2014]
  • 아동 기질과 양육스트레스, 사회적 지지가 취업모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윤정 한국영유아보육학 85 (85) : 117 ~ 136 [2014]
  •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초과근무시간이 직장-가정갈등과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신재명 대한케어복지학 1 (1) : 177 ~ 202 [2005]
  • 사회복지기관 기혼 여성 사회복지사의 일과 가정 양립을 위한 가족 친화적 조직문화에 대한 연구
    송유미 한국사회복지학 65 (4) : 317 ~ 340 [2013]
  • 부모의 양육신념 및 역할만족도와 스트레스에 대한 연구-3~7세 자녀를 둔 부모를 중심으로
    송승민 한국생활과학회지 16 (5) : 933 ~ 944 [2007]
  • 배우자 지지가 미취학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최선미 한국모자보건학회지 3 (2) : 187 ~ 195 [1999]
  • 미취학 자녀를 둔 맞벌이 여성의 일-가족 갈등 : 직장 및 자녀양육 관련 자원과 지각을 중심으로
    이재림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8 (1) : 93 ~ 114 [2013]
  • 맞벌이가정의 보육지원서비스 활용이 양육죄책감과 가족기능에 미치는 영향연구 - 진주시를 중심으로 -
    김현옥 한국영유아보육학 59 (59) : 305 ~ 328 [2009]
  • 맞벌이 가정의 일가정 양립의 양상과 조화로운 양립의 가능성 탐색 연구
    김소영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 (1) : 93 ~ 116 [2011]
  • 맞벌이 가정의 일-가정 균형을 위한 기업의 가족친화정책 실시, 활용 및 요구
    윤소영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 (1) : 1 ~ 21 [2009]
  • 독이 되는 부모
    Forward, S. 푸른육아 [2008]
  • 대학행정직원의 일-가정 갈등에 관한 연구
    송광선(Song, Kwang-Sun) 이유덕 한국인사․조직학회 2009년도 하계학술연구발표회 발표논문집 : 687 ~ 707 [2009]
  • 박사
  • 남성과 여성의 일·가족 전이와 관련 요인
    김진희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0 (11) : 55 ~ 69 [2002]
  •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홍세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 (1) : 161 ~ 177 [2000]
  • 구조방정식 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문수백 학지사 [2009]
  • Work-Family Conflict : A Comparison by Gender, Family Type, and Perceived Control
    Duxbury, L. Journal of Family Issues 15 (3) : 449 ~ 466 [1994]
  • Work and Family: 1992. Status Report and Outlook
  • Unbending gender: Why family and work conflict and what to do about it
    Wiliams, J.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 Toward a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work spillover into family life
    Small, S, A.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2 (1) : 51 ~ 61 [1990]
  • The time bind, when work becomes home and home becomes work
    Hoschschild, A. Metropolitan Books [1997]
  • The role of employers in addressing the needs of employed parents
    Galinsky, E. Journal of social issues 52 (3) : 111 ~ 136 [1996]
  •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behavior
    Abidin, R. P. The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1 (4) : 407 ~ 412 [1992]
  •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 A process model
    Belsky, J. Child Development 55 (1) : 83 ~ 96 [1984]
  • Social integration, work-family conflict and facilitation, and job and marital quality
    Voydanoff, P.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7 (3) : 666 ~ 679 [2005]
  • Predicting change in parenting stress across early childhood : Child and maternal factors
    Williford, A. P.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5 (2) : 251 ~ 263 [2007]
  • Maternal employment and infant-mother attachment security at 12 months postpartum
    Harrison, L. J. Developmental Psychology 38 (5) : 758 ~ 773 [2002]
  • Longitudinal associations between maternal work stress, negative work-family spillover, and depressive symptoms
    Goodman, W. B. Family Relations 58 (3) : 245 ~ 258 [2009]
  • Home-to-Work conflict, work qualities, and emotional distress
    Schieman, S. Sociological Forum 18 (1) : 137 ~ 164 [2003]
  • Fathers’ and mothers’ work and family issues as related to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 of children attending day care
    Hart, M. S. Journal of Family Issues 27 (2) : 252 ~ 270 [2006]
  • A Meta-analytic Review of Work. Family Conflict and Its Antecedents
    Byron, K.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7 (2) : 169 ~ 198 [2005]
  • 박사
  • 2014년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 경력단절여성 통계
  • 2014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