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상세정보
' 유기물 제어를 통해 분리막의 fouling을 저감시키는 MBR 공정개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extracellularpolymericsubstance
  • membranebio-fouling
  • modified ludzack-ettinger(mle) process
  • washing cycle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4 0

0.0%

' 유기물 제어를 통해 분리막의 fouling을 저감시키는 MBR 공정개발' 의 참고문헌

  • 침지식 MBR을 이용한 유입수의 COD fraction에 따른 막오염 특성 연구
    이상정 상하수도학회지 25 (5) : 681 ~ 689 [2011]
  • 중력여과 방식의 MBR을 이용한 하수처리에서 HRT 변화에 따른 EPS의 거동과 막오염에 대한 영향
    김시원 한국물환경학회지 22 (5) : 865 ~ 870 [2006]
  • 음식폐기물을 보조탄소원으로 이용하는 막 결합 생물 반응조에서의 질소, 인 제거와 막 오염 특성
    안용태 대한환경공학회지 27 (5) : 519 ~ 524 [2005]
  • 산업폐수로부터 분리한 인제거 미생물의 인 제거 특성
    김희정 한국환경농학회지 31 (2) : 185 ~ 191 [2012]
  • 막오염 감소제가 활성슬러지의 여과저항에 미치는 영향
    정태학 대한환경공학회지 34 (6) : 406 ~ 413 [2012]
  • 막간차압이 세라믹막의 가역막오염과 비가역막오염 형성에 미치는 영향
    이희원 대한환경공학회지 34 (9) : 637 ~ 643 [2012]
  • Treatment of High Concentration Wastewater in MBR(Membrane Bioreactor) Process
    Kim, K. R. Journal of the Korean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12 (8) : 932 ~ 936 [2001]
  • The role of blocking and cake filtration in MBR fouling
    Tao, J. Desalination and the Environment: Fresh Water for all 157 (1-3) : 335 ~ 343 [2003]
  • The Impact of COD load and Aeration Methods on Membrane Fouling in MBR
    Lee, J. M.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2011]
  • Saccharide production from methanol by transposon 5 mutants derived from the extracellular polysaccharide-producing bacterium Methylobacillus sp. strain 12S
    Yoshida, T.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54 (3) : 341 ~ 347 [2000]
  • RBC 형태의 Modified Dephanox 공정을 이용한 실증규모의 도시하수 처리 특성
    강민구 한국수처리학회지 21 (6) : 97 ~ 104 [2013]
  • Prospect and Present Status of MBR Technology for Advanced Wastewater Treatment
    Jang, M. S.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30 (1) : 15 ~ 20 [2008]
  • Membrane Filtration Characteristics in Membrane-Coupled Activated Sludge System : The Effect of Floc Structure on Membrane Fouling
    Chang, I. S. Separation Science and Technology 34 (9) : 1743 ~ 1758 [1999]
  • MBR공정 유출수의 화학응집에 의한 인 제거 조건 비교 연구
    박인건 한국도시환경학회지 12 (2) : 123 ~ 127 [2012]
  • MBR 공정에서 MLSS 농도가 Exocelluar polymer 성분 및 막오염 속도에 미치는 영향
    이상민 한국도시환경학회지 11 (1) : 97 ~ 103 [2011]
  • Influence of bacterial extracellular polymers on the membrane separation activated sludge process
    Nagaoka, H.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 (9) : 165 ~ 172 [1996]
  • Comparison of removal of pharmaceuticals in MBR and activated sludge systems
    Jan, S. Desalination and the Environment : Fresh Water for all 250 (2) : 653 ~ 659 [2010]
  • Characteristics of Nutrient Removal and Membrane Fouling in anoxic-aerobic-anoxic MBR system
    Jeong, K. Y. Myoung-ji University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