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법교사의 PCK에 대한 사례연구: 학습자 요인에 따른 문법 교수 조절 양상을 중심으로

' 문법교사의 PCK에 대한 사례연구: 학습자 요인에 따른 문법 교수 조절 양상을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grammarteacher
  • korean orthography
  • learnerfactor
  • pck
  • pck(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 pedagogical transformation of grammar instruction
  • 문법 교수 조절
  • 문법교사
  • 학습자 요인
  • 한글맞춤법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70 0

0.0%

' 문법교사의 PCK에 대한 사례연구: 학습자 요인에 따른 문법 교수 조절 양상을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질적 연구 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Creswell, J. W. 학지사 [2010]
  • 형태소의 ‘자립성’과 ‘의존성’에 대한 학습자의 오개념 연구
    조진수 문법 교육 21 : 269 ~ 306 [2014]
  • 한글 맞춤법 교육의 체계화 방안 - 문법 교육과 맞춤법 교육의 관계 정립을 위한 시론
    민현식 국어교육연구 21 (21) : 7 ~ 75 [2008]
  • 한글 맞춤법 교육 내용 연구
    강보선 국어교육연구 31 (31) : 1 ~ 30 [2013]
  • 학습자 오개념 형성 요인으로서의 교과서 -중학교 국어 교과서 ‘단어형성법’ 관련 단원을 중심으로-
    남가영 우리말글 57 : 109 ~ 137 [2013]
  • 패러다임의 변화와 문법 교육의 방향
    구본관 어문학 103 (103) : 1 ~ 40 [2009]
  • 초등 학습자의 문법 개념 연구
    김미나 서울대학교 [2015]
  • 질적자료분석론
    Miles, B. M. 학지사 [2009]
  • 질적연구자를 위한 부호화 지침서
    Saldaña, J. 신정 [2012]
  • 중학생의 국어 품사 오개념 연구
    김지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 이야기를 활용한 문법 교육 가능성 탐색
    김은성 국어교육 122 (122) : 353 ~ 383 [2007]
  • 원리 중심의 문법 교육에 대한 연구
    구본관 국어교육연구 27 (27) : 261 ~ 297 [2011]
  • 에듀테인먼트 콘텐츠로서의 문법 교육 내용의 이야기화 모델 탐색
    오현아 국어교육 138 (138) : 117 ~ 146 [2012]
  • 심경호 교수의 동양 고전 강의: 논어 2 사랑한다면 깨우쳐 주지 않을 수 있겠는가
    심경호 민음사 [2013]
  • 실행연구방법
    이용숙 외 학지사 [2005]
  • 실행연구(action research)를 통한 연구와 교육실천의 연계성 강화 -교육대학원 논문을 중심으로-
    이용숙 열린교육연구 12 (1) : 363 ~ 402 [2004]
  • 실행연구(Action Research)를 통한 교육 실제의 개선
    이명숙 초등교육연구논총 17 (2) : 381 ~ 408 [2001]
  • 사례연구방법
    Yin, R. K. 한경사 [2011]
  • 문학교사의 전문성과 문학수업에 대한 평가기준 연구
    남민우 새국어교육 78 (78) : 145 ~ 178 [2008]
  • 문법교육용 텍스트의 개념 및 범주
    남가영 국어교육 136 (136) : 139 ~ 173 [2011]
  • 문법교육론 자리매김의 두 방향- 문법교육 담론의 생산적 읽기를 바탕으로
    남가영 국어교육연구 19 (19) : 471 ~ 508 [2007]
  • 문법교육과 교과서
    남가영 한국어학 57 : 1 ~ 34 [2012]
  • 문법 설명 텍스트에 쓰인 비유적 표상의 양상-교양 문법서를 대상으로-
    이관희 한말연구 31 (31) : 107 ~ 143 [2012]
  • 문법 교육을 위한 내용교수법적 접근
    송현정 한국초등국어교육 41 (41) : 59 ~ 87 [2009]
  • 문법 교수․학습 방법 구체화를 위한 수업 의사소통 양상 연구-교사의 문법적 지식 설명하기를 중심으로-
    김은성 국어교육학연구 36 (36) : 287 ~ 317 [2009]
  • 문법 교사의 오개념 유형화 연구
    이관희 새국어교육 102 (102) : 107 ~ 152 [2015]
  • 맞춤법 교육 내용 연구 - 한글 맞춤법의 원리를 중심으로-
    구본관 국어교육 127 (127) : 195 ~ 232 [2008]
  • 내러티브적 앎을 위한 문법 설명 텍스트 구성 방향 ― 실용 문법서의 내러티브 분석을 중심으로 ―
    제민경 국어교육 139 (139) : 173 ~ 209 [2012]
  • 국어과 오개념 연구 방향 탐색
    김호정 새국어교육 83 (83) : 211 ~ 238 [2009]
  • 국어 수업에 나타난 PCK 교수 변환 사례
    박태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 (4) : 103 ~ 121 [2011]
  • 박사
  • 교실 문화 개선을 위한 문법 교수 학습 방법 개발의 방향
    주세형 청람어문교육 38 (38) : 67 ~ 104 [2008]
  • 교수내용지식(PCK)의 연구 동향에 대한 분석
    이유리 교육종합연구 9 (3) : 112 ~ 131 [2011]
  • 교사발달 과정에서 본 장학
    이윤식 한국교원교육연구 16 (2) : 1 ~ 27 [1999]
  • 교사를 위한 실행연구
    Mills, G. E. 우리교육 [2005]
  • ‘언어적 주체’ 형성을 위한 문법 교육의 방향
    신명선 국어교육 143 (143) : 83 ~ 120 [2013]
  • ‘문법 교사의 수업 전문성 평가 모형’에 대한 현장 교사의 인식 실태 연구
    주세형 새국어교육 77 (77) : 383 ~ 416 [2007]
  •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Shulman, L. S. Educational Researcher 15 (2) : 4 ~ 14 [1986]
  •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Shulman, L. S.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 : 1 ~ 22 [1987]
  •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Strauss, A. SAGE [1990]
  • 2011 국어과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시안 개발 연구
    민현식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