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동향 분석
홈
알림
이용안내
오류접수
API
서비스소개
인기 연구 키워드 :
인기 활용 키워드 :
난화기법을 활용한 집단미술활동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곽미혜
김태영
이종찬
김종운
2015년
활용도 Analysis
논문 Analysis
연구자 Analysis
활용도 Analysis
논문 Analysis
연구자 Analysis
활용도
공유도
영향력
논문상세정보
저자
곽미혜
김태영
이종찬
김종운
주제어
Emotional Intelligence
groupartactivities
scribble technique
Social Development
난화기법
사회성 발달
정서지능
집단미술
참고문헌( 58)
유사주제 논문( 1,584)
정서지능 754건
emotional intelligence 689건
사회성 발달 85건
social development 51건
난화기법 4건
집단미술 1건
인용/피인용
난화기법을 활용한 집단미술활동이 유아의 사회성 발 ...
' 난화기법을 활용한 집단미술활동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emotional intelligence
groupartactivities
scribble technique
social development
난화기법
사회성 발달
정서지능
집단미술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591
0
0.0%
자세히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주제
주제별 논문수
주제별 피인용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
주제어
emotional intelligence
690
0
0.0%
groupartactivities
1
0
0.0%
scribble technique
1
0
0.0%
social development
52
0
0.0%
난화기법
5
0
0.0%
사회성 발달
86
0
0.0%
정서지능
755
0
0.0%
집단미술
2
0
0.0%
계
1,592
0
0.0%
* 다른 주제어 보유 논문에서 피인용된 횟수
0
닫기
' 난화기법을 활용한 집단미술활동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의 참고문헌
박사
협력적 미술활동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박연미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0]
협동화를 통한 조형활동의 경험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배경에 관한 연구
정옥성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박사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또래 유능성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조을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협동 미술활동이 유아의 사회·정서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정수금
홍순옥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학급단위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여의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08]
집단미술활동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아개념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여인덕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박사
집단미술활동이 유아의 사회성 및 정서지능,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김유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6]
박사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안영춘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박사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생의 자기표현력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이화자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집단미술치료가 정서적 부적응 행동 유아의 정서지능 및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효과
김은지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10]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가정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정서지능 에 미치는 효과
설성화
조선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9]
박사
집단미술치료가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전찬노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06]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학교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효과
황유경
미술치료연구 10 (3) : 379 ~ 407
[2003]
집단 조형 활동 프로그램을 통한 중학생의 사회성 향상연구
박정순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1997]
집단 난화 상호 이야기법이 저소득층 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임세영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10]
정서지능에 대한 이론적 고찰
오계섭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1998]
유치원 아동의 심리평가를 위한 난화게임(Squiggle-Drawing Game)의 유용성 연구
전태옥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1995]
유아의 정서지능 향상을 위한 통합적 미술 감상활동의 효과
공원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유아의 정서지능 향상을 위한 소집단 협동 활동
김영주
울산대학교 출판부
[2005]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을 위한 아동중심 집단놀이치료의 효과
최민아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1]
박사
유아의 사회·정서 능력 향상을 위한 협동적 입체미술활동의 효과
김보영
김보영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유아 사회 교육의 통합적 운영
김영옥
창지사
[2001]
외동이와 형제아의 모-자녀관계 및 사회성에 관한 비교 연구
김숙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89]
박사
예방적 집단미술치료가 유아의 사회성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박성익
우석대학교 경영행정문화대학원
[2008]
영유아 미술활동
심재영
창지사
[1999]
어머니 정서 표현성 및 정서 수용태도가 유아의 성격특성과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정은주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아동의 사회성 증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연구
노용
이경원
조형교육 23 (23) : 143 ~ 171
[2004]
시지각 향상 집단미술치료가 비언어적 학습장애 아동의 국어와 학습기능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서소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8]
소집단 협동미술활동이 청각장애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고윤희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미술활동이 유아의 정서와 심리에 미치는 효과 : 5~7세 유아 대상
정유선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미술활동을 통한 집단 상담이 저소득층 아동의 자존감 및 사회적 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김수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미술치료를 활용한 유아 집단 미술활동의 사례분석
김경희
아동가족치료연구 4 : 131 ~ 143
[2005]
미술치료란 무엇인가?
김진숙
미술세계 10 : 140 ~ 146
[1995]
명화감상을 통한 집단미술치료가 유아의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황수미
환경보건대학교
[2006]
만다라를 적용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정은주
미술치료연구 14 (1) : 19 ~ 37
[2007]
또래지지와 대인관계, 갈등대처방법 및 사회적 기술과의 관계
심희옥
한국아동협회 21 (1) : 19 ~ 33
[2000]
박사
눈-손협응 훈련이 손기능상 서투른 아동의 시지각력에 미치는 효과
김영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88]
난화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청소년의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
김영은
원광대학교 동서보완의학대학원
[2008]
난화게임에 따른 유아의 정서 표현 양상
정현주
창원대학교 대학원
[2003]
구연동화와 디오라마 동화가 유아의 언어능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안은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5]
교사용 유아 정서지능 평정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김경회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9]
가족미술치료
김동연
동아문화사
[1993]
What is emotional intelligence?
Salovey, P.
Basic Book
[1996]
Vineland Social Maturity Scale: Condensed manual of directions
Doll, E. A.
American Guidance Service
[1965]
Therapeutic consultations in child psychiatry
Winnicott, D. W.
Basic Books
[1971]
Therapeutic Communication with children: The Mutual Story-Telling Technique
Gardner. R. A.
Jason Aronson
[1971]
The squiggle drawing game in child psychotherapy
Claman, L.
American Journal of psychotherapy 34 (33) : 414 ~ 415
[1980]
The impact of economic hardship on black families and children : Psychological distress, parenting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
Mcloyd, V. C.
Child Development 61 : 311 ~ 346
[1990]
The effect of home environment on nursery school behavior
Baldwin, A. L.
Child Development 20 : 49 ~ 61
[1975]
Preschooler's spontaneous emotion vocabulary : Relations to likability
Fabes, R. A.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12 (1) : 11 ~ 28
[2001]
Predicting children's social school adjustment following the transition form preschool to kinder-garden
Ladd, G. W.
Child development 58 : 1168 ~ 1189
[1987]
Intraclass correlations:Uses inassessingraterreliability
Fleiss
Shrout
Shrout, P. E.
Psychological Bulletin 86 (2) : 420 ~ 428
[1979]
Group Art Therapy as and Adjunct to Treatment for chronic Outpatients
Green, B. L.
Hospital & Community Psychiatry 38 (9) : 83 ~ 86
[1987]
Emotional intelligence
Goleman, D.
Bantam Books
[1995]
Emotional competence, emotion socialization, and young children's peer-related social competence
Gamer, D. W.
Early Eduction and Development 12 (1) : 29 ~ 48
[2001]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Educational Implications
Mayer, J.
Basic Books : 1 ~ 30
[1997]
Comparative Study of Behavioral Qualities of Only Children and Sibling Children
Jiao, S.
Child Development 5 : 357 ~ 361
[1986]
Art as Therapy with children
Kramer, E.
Schocken Press
[1991]
' 난화기법을 활용한 집단미술활동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의 유사주제(
)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