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환상서사의 매체 통합적 장르 논의를 위한 서설

논문상세정보
' 한국 환상서사의 매체 통합적 장르 논의를 위한 서설'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adventure
  • ah
  • alternate history
  • fantasy
  • horror
  • science fiction
  • sf
  • the fantastic narrative genre
  • 공포물
  • 대체역사물
  • 모험물
  • 판타지
  • 환상서사장르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644 3

0.0%

' 한국 환상서사의 매체 통합적 장르 논의를 위한 서설' 의 참고문헌

  • 환상소설첩
    방민호 향연 [2004]
  • 환상성: 전복의 문학
    로지 잭슨 문학동네 [2001]
  • 환상문학서설
    츠베탕 토도로프 일월서각 [2013]
  • 환상과 미메시스
    캐스린 흄 푸른나무 [2000]
  • 환상
    최기숙 연세대학교출판부 [2003]
  • 한국문학과 환상성
    서강여성문학연구회 예림기획 [2001]
  • 한국 소년SF영화와 냉전 서사의 두 방식- <대괴수 용가리 >와 <우주괴인 왕마귀 >의 개작 과정 연구
    송효정 어문논집 (73) : 95 ~ 129 [2015]
  • 한국 과학소설의 장르소설적 특징에 대한 연구-『한국과학소설(SF)전집』(1975)을 중심으로 -
    김지영 인문논총 32 : 375 ~ 398 [2013]
  • 판타지 영화와 문화콘텐츠 산업
    조해진 새미 [2012]
  • 판타지 문학의 이해
    이유선 역락 [2005]
  • 판타지
    송태현 살림 [2003]
  • 텔레비전 드라마와 환상(성) - 환상적인 것’의 개념과 유형을 중심으로
    박노현 한국문학연구 (47) : 507 ~ 534 [2014]
  • 조선영화의 실천과 ‘환상’의 문제
    정종화 영화연구 (63) : 225 ~ 257 [2015]
  • 조선 전기 귀신 이야기에 잠복된 사회적 적대
    강상순 민족문화연구 (56) : 97 ~ 136 [2012]
  • 전설에서 공포로, 한국적 공포물 드라마의 탄생
    문선영 우리문학연구 (45) : 229 ~ 259 [2015]
  • 일제강점기 괴담의특징과 한국 공포물의 장르적 관습- 『매일신보』 소재 괴담을 중심으로 -
    이주라 우리문학연구 (45) : 341 ~ 374 [2015]
  • 월하의 여곡성: 여귀로 읽는 한국공포영화史
    백문임 책세상 [2008]
  • 에도(江戸)시대 환상문학 소고(小考) -『도카이도 요쓰야 가이단(東海道四谷怪談)』의 환영의 의의-
    고영란 일본언어문화 (29) : 463 ~ 481 [2014]
  • 실험실의 미친 과학자와 제국주의적 향수-1960년대 한국 고딕SF영화 연구
    송효정 대중서사연구 20 (3) : 271 ~ 308 [2014]
  • 식민지시기 괴담의 출현과 쾌락으로서의 공포
    이주라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17 (4) : 293 ~ 321 [2013]
  • 세계환상소설사전
    복거일 김영사 [2002]
  • 동아시아 환상의지표와 한국 초기서사의 환상성: 지괴, 영험서사의 경우
    정환국 한문학보 32 [2015]
  • 대중서사장르의 모든 것 3: 추리물
    대중서사장르연구회 이론과실천 [2011]
  • 근대성의 유령들
    김소영 씨앗을 뿌리는 사람 [1999]
  • 귀신ㆍ요괴ㆍ이물의 비교문화론
    신이와 이단의 문화사 소명출판 [2014]
  • 국가이데올로기와 SF, 한국 청소년 과학소설-『학생과학』지 수록작을 중심으로
    조계숙 대중서사연구 20 (3) : 415 ~ 442 [2014]
  • 과학소설이란 무엇인가
    대중문학연구회 국학자료원 [2000]
  • 공상과 상상력
    R.L.브렛 서울대학교 출판부 [1979]
  • 고전소설의 환상성, 그 연구사적 전망
    정환국 민족문학사연구 (37) : 78 ~ 106 [2008]
  • ‘기괴’에서‘괴기’로, 식민지 대중문화와 환멸의 모더니티
    김지영 개념과 소통 (5) : 39 ~ 78 [2010]
  • SF의 법칙
    고장원 살림 [2008]
  • SF와 판타지 제작기법의 모든 것
    존 그랜트 교보문고 [2000]
  • 2000년대 소설에서 ‘환상’을 사유하기
    백지은 Journal of korean Culture 29 : 37 ~ 61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