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운전>에서 <최충전>으로의 변이와 개작

논문상세정보
' <최고운전>에서 <최충전>으로의 변이와 개작'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choichiwoncheon
  • choichungcheon
  • choigowooncheon
  • interpreter
  • rewrite
  • textbook
  • 崔孤雲傳
  • 崔忠傳
  • 崔致遠傳
  • 敎材
  • 譯官
  • 개작
  • 교재
  • 역관
  • 최고운전
  • 최충전
  • 최치원전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430 0

0.0%

' <최고운전>에서 <최충전>으로의 변이와 개작' 의 참고문헌

  • 「최고운전(崔孤雲傳)」 연구
    권택경 한국교원대학교 [2006]
  • 「崔孤雲傳」의 形成時期와 出生談攷
    김현룡 고소설연구 4 : 1 ~ 28 [1998]
  • 현대 문학의 근본개념사전
    빅토르 츠매가치 솔 : 209 ~ 214 [1996]
  • 한국고전의 재인식
    정병욱 홍성사 : 269 ~ 278 [1979]
  • 최충전(한글필사)
    교토대학 소장본
  • 최고운전(한글활판)
    회동서관
  • 최고운전(한글필사)
    박순호 소장본1
  • 조선조 한문소설 국역본의 존재 양상과 번역문학적 성격에 관한 시론
    권혁래 동양학 (36) : 1 ~ 25 [2004]
  • 역주 17세기 한문소설집
    정학성 삼경문화사 : 57 ~ 127 [2000]
  • 애스턴(Aston)의 조선어 학습서 Corean Tales의 성격과 특성
    허경진 인문과학 98 : 33 ~ 53 [2013]
  • 아메노모리호슈(雨森芳洲)의 언어관과 국제교류
    이길원 석당논총 (57) : 109 ~ 137 [2013]
  • 신화의 서술방식에 관한 연구
    민긍기 논문집 9 (1) : 49 ~ 67 [1987]
  • 문화와 권력
    현택수 나남출판 : 101 ~ 120 [1998]
  • 대화적 상상력
    김욱동 문학과지성사 : 166 ~ 181 [1988]
  • 대중예술의 이론들
    J. G. 카웰티 동연 : 83 ~ 107 [2000]
  • 권력담론으로 본 최치원전
    최기숙 연민학지 5 : 53 ~ 105 [1997]
  • 구별짓기 : 문화와 취향의 사회학
    삐에르 부르디외 새물결 : 11 ~ 29 [2005]
  • 고대소설
    W. E. Skillend University of London : 220 ~ 221 [1968]
  • 韓國文獻學硏究
    유탁일 아세아문화사 : 373 ~ 383 [1990]
  • 韓國小說의 構造와 實相
    성현경 영남대학교출판부 : 280 ~ 298 [1989]
  • 雨森芳洲의 韓國語敎育論
    梅田博之 일어일문학연구 46 (1) : 49 ~ 68 [2003]
  • 近思錄 권1 道體類
  • 英雄의 一生, 그 文學史的展開
    조동일 동아문화 10 : 163 ~ 214 [1971]
  • 聖과 俗
    M. 엘리아데 학민사 : 61 ~ 101 [1994]
  • 海外蒐佚本韓國古小說叢書 2
    이상택 태학사 : 537 ~ 625 [1998]
  • 朝鮮後期東아시아 語文交流의 한 斷面
    정병설 한국문화 27 : 55 ~ 78 [2001]
  • 日本에서의 韓語 敎育과 敎材에 대한 槪觀
    정승혜 이중언어학 (30) : 341 ~ 360 [2006]
  • 崔致遠傳承의 硏究
    한석수 계명문화사 : 37 ~ 72 [1989]
  • 崔致遠傳(한글필사)
    김동욱 소장본1
  • 崔文獻傳(한문필사)
    김집수택본
  • 崔忠傳異本硏究
    민영대 한남어문학 7ㆍ8 : 17 ~ 50 [1982]
  • 崔忠傳(한글활판)
    국립중앙도서관소장본
  • 崔孤雲傳의 形成背景硏究-異本攷를 兼하여
    이혜화 고려대 [1984]
  • 崔孤雲傳攷-「嶺南大學本」紹介를 兼하여
    윤영옥 영남어문학 3 : 5 ~ 20 [1976]
  • 對馬島에서의 韓語 敎育
    정승혜 어문연구(語文硏究) 34 (2) : 37 ~ 58 [2006]
  • 『淑香傳』 형성연대 재고
    조희웅 고전문학연구 12 : 115 ~ 151 [1997]
  • <최고운전 >의 창작 시기와 초기본의 특징
    박일용 고소설연구 (29) : 85 ~ 116 [2010]
  • <최고운전 >의 원천소재 활용 양상과 ‘의미 겹침’으로서의 소설
    유광수 온지논총 (29) : 249 ~ 280 [2011]
  • <최고운전 >의 설화적 전승과 ‘최치원설화’의 연원
    유광수 한국문학연구 (39) : 5 ~ 29 [2010]
  • <최고운전 >을 통해 읽는 초기 고전소설사의 한 국면-작품의 형성과정과 표기문자의 전환을 중심으로-
    정출헌 고소설연구 (14) : 2 ~ 64 [2002]
  • <崔孤雲傳 >의 초기 소설사적 의의에 관한 연구
    이종필 고려대 [2006]
  • 18·19세기 일본인의 조선소설 공부와 조선관 ― <최충전 >과 <임경업전 >을 중심으로 ―
    정병설 한국문화 (35) : 27 ~ 55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