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운 김수증의 산수관에 관한 연구

논문상세정보
' 곡운 김수증의 산수관에 관한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confucianutopia
  • jingyung
  • kimsujeung
  • realistic landscape perspective
  • 〈kokungugokdo〉
  • 〈곡운구곡도〉
  • 김수증
  • 사실적 산수관
  • 성리학적 이상향
  • 진경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7 0

0.0%

' 곡운 김수증의 산수관에 관한 연구' 의 참고문헌

  • 金剛山圖 연구
    朴銀順 弘益大學校 大學院 [1994]
  • 진경산수의 연원으로서 구곡도
    유준영 계간미술 19 [1981]
  • 조선후기 산수기행예술 연구
    고연희 일지사 [2001]
  • 조선조 이상향(理想鄕)의 작품분석 연구- 장소성을 통하여 -
    김인숙 한국과학예술포럼 17 : 119 ~ 131 [2014]
  • 조선시대 구곡도의 수용과 전개
    윤진영 미술사학연구 217・218 [1998]
  • 정선의 진경산수와 명・청대 산수판화
    고연희 미술사논단 19 [1999]
  • 요산요수의 산수화 미학
    지순임 미학예술학연구 34 [2011]
  • 문화적 근대의 본질과 특성
    박성환 한국사회학 33 [1999]
  • 김수증의 문예 지향과 가학전수
    이종호 대동한문학 31 [1999]
  • 곡운 김수증의 산수관에 관한 연구- <곡운구곡도 >를 중심으로-
    김인숙 동아인문학 (31) : 277 ~ 295 [2015]
  • 「무이도가」의 수용과 변용에 대한 일고찰
    조성덕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5]
  • 《谷雲九曲圖帖》의 多層的 의미
    조규희 美術史論壇 (23) : 241 ~ 275 [2006]
  • The compelling Image : Nature and Style in Seventeenth-Century Chinese Painting
    James Cahill Harverd University Press [1979]
  • 18세기 ‘眞景’의 역사적 이해
    김지영 한국사상사학 28 : 27 ~ 69 [2007]
  • 17~18세기 장동 김문의 산수문학 연구
    이효숙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