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광장 설계요소 및 공간이용 만족도 분석 - 광화문광장과 금빛공원광장을 중심으로 -

논문상세정보
' 도시광장 설계요소 및 공간이용 만족도 분석 - 광화문광장과 금빛공원광장을 중심으로 -'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공익사업
  • amenity
  • comfortableness
  • culture
  • fuzzy theory
  • usability
  • 문화성
  • 어메니티
  • 이용성
  • 쾌적성
  • 퍼지이론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165 0

0.0%

' 도시광장 설계요소 및 공간이용 만족도 분석 - 광화문광장과 금빛공원광장을 중심으로 -' 의 참고문헌

  • 퍼지이론을 활용한 수도권항만의 기항지 선택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유성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27 (2) : 39 ~ 57 [2011]
  • 퍼지이론을 이용한 자연자원 보전지역의 평가지표 순위 결정- 내셔널 트러스트 후보지 선정을 중심으로 -
    유주한 한국조경학회지 33 (4) : 97 ~ 107 [2005]
  •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도시공공공간 특성 분석 - 도시광장 사례를 중심으로 -
    김미영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0 (6) : 291 ~ 299 [2011]
  • 지하도상가 광장의 ‘공공성’ 향상을 위한 이용자 의식에 관한 연구
    이효창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4 (4) : 107 ~ 115 [2008]
  • 주민 참여를 통한 도시 소공원 설계 및 조성
    김연금 한국조경학회지 31 (1) : 78 ~ 89 [2003]
  • 조경설계에 나타난 공간의 특성 -시청 앞 광장 현상공모 입상작을 중심으로-
    김정호 한국조경학회지 31 (2) : 1 ~ 11 [2003]
  • 전통마을 공동체 공간의 문화경관 해석
    김수진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 (4) : 14 ~ 27 [2010]
  • 인바운드 활성화를 위한 문화관광정보시스템 가치평가: 퍼지수 적용
    노정철 관광연구 19 (1) : 55 ~ 73 [2004]
  • 서울광장 이용에 대한 시민 만족도 및 이미지에 관한 연구:‘시민광장’과 ‘문화광장’으로서의 인식을 중심으로
    성동규 서울도시연구 6 (4) : 191 ~ 214 [2005]
  • 서울 청계광장 설계 연구
    신현돈 한국조경학회지 40 (3) : 12 ~ 21 [2012]
  • 서울 소재 도시광장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 분석 - 중심 대 광장을 대상으로 -
    이정아 한국조경학회지 40 (3) : 42 ~ 50 [2012]
  • 서울 다이나믹스-청계천 시점부 광장 설계-
    김정윤 한국조경학회지 34 (1) : 92 ~ 106 [2006]
  • 삼각퍼지수와 어의차이 척도를 이용한 서비스 품질 측정
    이석훈 품질경영학회지 32 (3) : 182 ~ 197 [2004]
  • 삼각퍼지수를 활용한 학교숲 만족도 분석
    이슬기 한국조경학회지 37 (3) : 1 ~ 10 [2009]
  • 삼각퍼지수를 활용한 지역환경 평가지표 순위 결정 - 생태계를 중심으로 -
    유주한 환경영향평가 15 (6) : 323 ~ 337 [2006]
  • 디지털 툴을 활용한 주민참여 소공원 계획연구
    이정일 KIEAE Journal 12 (6) : 3 ~ 10 [2012]
  • 도시광장내 도시설계요소에 대한 인식과 이용자 만족도 분석 - 서울 광화문광장 사례를 중심으로
    이제선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5 (1) : 139 ~ 158 [2013]
  • 도시공원의 야간이용과 조명의 적합성 모형
    김진선 국토계획 40 (3) : 205 ~ 217 [2005]
  • 도시 엔터테인먼트 목적지(UED)로서 도시 오픈 스페이스의 선택속성 연구
    채진해 한국조경학회지 41 (4) : 56 ~ 67 [2013]
  • 도시 소공원의 창조적 재생과 일상 -부산 전포돌산공원을 중심으로 -
    공윤경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7 (5) : 582 ~ 599 [2011]
  • 도시 광장의 감성적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이성미 디자인지식저널 12 (12) : 45 ~ 54 [2009]
  • 도시 공공공간 디자인 요소로 본 건축물 부설 광장의 이용자 디자인 만족도
    김선영 디자인학연구 25 (3) : 104 ~ 117 [2012]
  • 광화문광장 조성과정 및 설계 연구
    신현돈 한국조경학회지 41 (4) : 24 ~ 41 [2013]
  • 광화문광장 이용자의 공간이미지 및 인식에 관한 연구
    심은주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6 (3) : 275 ~ 285 [2010]
  • 광로형 광장 설계의 특징과 의의- 안산 광덕로 테마광장 설계를 중심으로 -
    정욱주 한국조경학회지 41 (6) : 185 ~ 198 [2013]
  • 공공 공간으로 본 도시형 오픈 스페이스와 광장디자인 - 청계천, 예술의 전당, 쌈지길, 오모테산도 힐스, 롯본기 힐스, 예르바 부에나 센터 디자인 분석을 중심으로 -
    김선영 한국디자인포럼 22 (22) : 47 ~ 58 [2009]
  • What is public about public space -The case of Visakhapatnam, India
    Arefi, M Cities 20 (5) : 331 ~ 339 [2003]
  • Urban residential environments and senior citizens' longevity in megacity areas -The importance of walkable green spaces
    Takano, T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56 (12) : 913 ~ 918 [2002]
  • Urban open space in the 21st century
    Thompson, C. W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60 (2) : 59 ~ 72 [2002]
  • Urban Open Space: Designing for User Needs
    Francis, M Island Press [2003]
  • The value of urban open space -Meta-analyses of contingent valuation and hedonic pricing results
    Brander, L. M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2 (10) : 2763 ~ 2773 [2011]
  • The subtle differences in configuration of small public spaces
    Joardar, S Landscape Architecture 68 (11) : 487 ~ 491 [1978]
  • The present status, and guideline for improving the spatial quality of village park in Seoul
    Kim, S. W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7 (4) : 31 ~ 46 [1999]
  • The effect of context on the use of urban plazas
    Chidister, M Landscape Journal 5 (2) : 115 ~ 127 [1986]
  • The City Assembled: The Elements of Urban Form Through History(Reprint edition)
    Kostof, S Thames & Hudson [2005]
  • Squares: A Public Place Design Guide for Urbanists
    Childs, M. C University of New Mexico Press [2006]
  • Public place preference -Design guidelines and a case study based on evolutionary theory
    Yi, Y. K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2 (3) : 13 ~ 27 [1994]
  • Plaza Design Methodology
    Min, S. C Korean architects [1991]
  • People Places: Design Guidelines for Urban Open Space
    Marcus, C. C John Wiley and Sons [1997]
  • Outline of a new approach to the analysis of complex systems and decision processes
    Zadeh, L. A Syste, Man and Cybernetics, IEEE Transactions on (1) : 28 ~ 44 [1973]
  • Open space planning models -A review of approaches and methods
    Maruani, T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81 (1-2) : 1 ~ 13 [2007]
  • Measuring accessibility and utilization of public spaces in Famagusta
    Pasaogullari, N Cities 21 (3) : 225 ~ 232 [2004]
  • Increasing walking: How important is distance to, attractiveness, and size of public open space
    Giles-Corti, B. M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28 (2) : 169 ~ 176 [2005]
  • Evaluation of value attribute for tourist resource -An application of triangular fuzzy numbers
    Byun, W. H Journal of Tourism Sciences 25 (3) : 27 ~ 42 [2001]
  • Communitywithout propinquity revisited -Communications technology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urban public sphere
    Calhoun, C Sociological Inquiry 68 (3) : 373 ~ 397 [1998]
  • Community gardening, neighborhood meetings, and social capital
    Alaimo, K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8 (4) : 497 ~ 514 [2010]
  • Community Open Spaces: Greening Neighborhoods Through Community Action and Land Conservation
    Francis, M Island Press [1984]
  • Analyses on the cognitive effects of masking traffic noise by sounds of water
    Ahn, D. S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6 (4) : 9 ~ 19 [2002]
  • A study on the practical use of small pieces of land in downtown areas
    Kim, D. K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Plants People and Environment 2 (2) : 44 ~ 52 [1999]
  • A study on the factor analysis for satisfaction of urban public plaza with the use of urban public plaza at buildings for pedestrians' walk
    Kim, D. H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3 (1) : 17 ~ 22 [2001]
  • A study on spacial analysis and improvement of three urban squares in downtown, Seoul -Focus on the periphery of Gwanghwamun, Cheonggye, and City Hall Square-
    Lee, J. H Urban Information Service 14 (6) : 67 ~ 80 [2013]
  • A study of the development of masking models for the improvement of amenity at urban small green spaces
    Ahn, D. 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6 (3) : 19 ~ 33 [1998]
  • A fuzzy model for the competitiveness evaluation and performance measurement of business
    Park, C. J Korean Journal of Management Accounting Research 4 (2) : 61 ~ 83 [2001]
  • A fuzzy clustering approach to delineate agroecozones
    Liu, M Ecological Modelling 149 (3) : 215 ~ 228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