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행위, 회복탄력성, 웰다잉 인식이 노인 만성질환자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건강행위, 회복탄력성, 웰다잉 인식이 노인 만성질환자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chronicdisease
  • depression
  • elderly
  • health behavior
  • recognition of well-dying
  • resilience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7,440 0

0.0%

' 건강행위, 회복탄력성, 웰다잉 인식이 노인 만성질환자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의 참고문헌

  • 회복탄력성의 세 가지 요인이 청소년의 온라인게임 중독 성향에 미치는 영향
    신우열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26 (3) : 43 ~ 81 [2009]
  • 한국 노인의 여가활동 참가와 웰빙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이희완 Journal of exercise rehabilitation 8 (2) : 3 ~ 17 [2012]
  • 지역사회 만성질환노인의 약물사용과 우울예방 교육 프로그램 효과
    김영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2 (4) : 399 ~ 408 [2011]
  •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영적안녕, 사회적 지지, 생활만족도 및 우울의 관계
    김소남 동서간호학연구지 19 (2) : 186 ~ 194 [2013]
  • 여성노인의 우울, 죽음불안, 삶의 질의 관계
    박경은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7 (3) : 527 ~ 538 [2013]
  • 신체적 질환이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돌봄행위의 조절효과
    서홍란 노인복지연구 (61) : 57 ~ 84 [2013]
  • 만성질환이 있는 일하는 노인의 건강행위 관련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김동옥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3 (4) : 395 ~ 404 [2012]
  • 도시거주 노인의 만성질환과 우울증세의 상관성 및 사회관계망의 효과에 대한 연구
    이미숙 보건과 사회과학 (27) : 5 ~ 30 [2010]
  • 대인관계적 임파워먼트가 노인의 우울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조윤득 노인복지연구 (51) : 57 ~ 80 [2011]
  • 농촌지역 독거노인의 우울과 자기효능감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최희정 동서간호학연구지 17 (2) : 149 ~ 155 [2011]
  • 노후준비를 위한 경제적 의사결정에 가족이 미치는 영향 - 수도권 고령자의 주택연금제도 이용의향을 중심으로 -
    이선형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 (4) : 169 ~ 188 [2011]
  • 노인의 자아통합감이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장경은 한국생활과학회지 20 (5) : 917 ~ 926 [2011]
  • 노인의 운동행동실천의 예측변인으로 회복탄력성 분석
    노수연 Journal of exercise rehabilitation 8 (1) : 37 ~ 48 [2012]
  • 노인의 우울과 건강수준과의 관련성
    김지미 한국노년학 30 (4) : 1311 ~ 1327 [2010]
  • 노인의 우울, 생활만족도와 건강증진행위의 관계
    서지혜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1 (2) : 169 ~ 177 [2010]
  • 노인의 여가스포츠활동 참가에 따른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완충효과
    최미리 한국체육학회지 51 (1) : 75 ~ 90 [2012]
  • 노인의 여가스포츠활동 참가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은석 한국체육학회지 49 (4) : 325 ~ 337 [2010]
  • 노인 우울에 미치는 요인
    이은령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3 (7) : 290 ~ 300 [2013]
  • Validation of a new measure of concept of a good death
    C. E. Schwartz Journal of Palliative Medicine 6 (4) : 575 ~ 584 [2003]
  • The natural history of late-life depression results form the amsterdam study of elderly(AMSTEL)
    R. A. Scchoever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74 (1) : 5 ~ 14 [2003]
  • The elderly persons statistics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 Risk of Depression in Patient with Chronic Respiratory Disease : Results from Two Large Cohort studies in Chinese Elderly from Hong Kong
    S. Y. Wong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1 : 233 ~ 238 [2006]
  • Recognition towards good death among physicians and nurses in an area
    H. S. Jeong Catholic University [2009]
  • Patient sample survey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Mediation Effect of Coping Sty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the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E. G. Yun Korean Journal of Clinical Social Work 9 (1) : 43 ~ 61 [2012]
  •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Statistics Korea [2012]
  • Effects of Group Arts Therapy on the Resilience with Older Women of Resident
    H. J. Kim The Korean Journal of Arts Therapy 1 : 255 ~ 275 [2014]
  • Development of health behavior assessment tool of the Korean elders
    Y. H. Choi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ing 27 (3) : 601 ~ 613 [2001]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eriatric depression screening scale: A preliminary report
    J. A. Yessavage Journal of Psydriatric Research 17 (1) : 37 ~ 49 [1983]
  • Depression, Chronic Disease, and Decrements in Health : Results from the World Health Surveys
    S. S. Moussavi Lancet 370 : 851 ~ 858 [2007]
  • Depression and Chronic medical Illness in Asian Older Adults : the Role of Subjective Health and Functional Status
    M. T. Niti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2 : 1087 ~ 1094 [2007]
  • Anxiety, Depression and Health Behavior of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H. S. Jeong Nursing Science 25 (2) : 35 ~ 46 [2013]
  • Andersen 모형을 이용한 노인 우울 예측요인
    강상경 노인복지연구 (49) : 7 ~ 30 [2010]
  •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B. S. Kee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5 (2) : 298 ~ 307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