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지역에서의 유기농업 활동과협동조합 역할과의 관계 연구*-Delphi Technique을 활용한 인식조사-

최덕천 2015년
논문상세정보
' 원주지역에서의 유기농업 활동과협동조합 역할과의 관계 연구*-Delphi Technique을 활용한 인식조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재배 및 보호
  • cooperatives
  • delphi technique
  • horizontalcooperative
  • organic agriculture
  • producer-consumer cooperative type
  • vertical integration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591 0

0.0%

' 원주지역에서의 유기농업 활동과협동조합 역할과의 관계 연구*-Delphi Technique을 활용한 인식조사-' 의 참고문헌

  • 한국 로컬푸드 운동의 현황과 과제: 농민장터와 CSA를 중심으로
    김철규 한국사회 12 (1) : 111 ~ 133 [2011]
  • 풀무생협 생산자의 사회경제적 성격에 관한 연구
    김흥주 농촌사회 18 (1) : 43 ~ 89 [2008]
  • 이종(異種) 협동조합간 연대에 의한 지역공동체운동 사례연구
    우영균 한국협동조합연구 27 (1) : 29 ~ 53 [2009]
  • 사회적 경제블럭과 지역사회협동농업-원주지역에서의 유기농업과 의료생협의 융합 사례-
    최덕천 한국협동조합연구 29 (3) : 1 ~ 26 [2011]
  • 사회적 경제 네트워크를 통한 로컬푸드 운동의 활성화 방안: 한ㆍ일 비교를 중심으로
    네모토마사쯔구 지방정부연구 18 (1) : 57 ~ 73 [2014]
  • 로컬푸드를 활용한 지역생협의 활성화 방안
    윤병선 산업경제연구 27 (1) : 55 ~ 75 [2014]
  • 대안농업운동의 전개과정에 대한 고찰
    윤병선 농촌사회 20 (1) : 131 ~ 160 [2010]
  • 글로벌경제의 대항 비전으로서 사회적 경제― ‘경제의 지역화’, 로컬 경제운동과 관련하여
    오미일 로컬리티 인문학 4 (4) : 83 ~ 118 [2010]
  • http://smallfarms.wsu.edu/wsu-pdfs/WREP0135.pdf
  • The Impacts of Local Markets: A Review of Research on Farmers Markets and Community Supported Agriculture
    Cheryl, B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90 (5) : 1298 ~ 1302 [2008]
  • Study on Activity, Type and Establishment of Community Supported Agriculture in USA and Japan
    Jung, J. Y Korea Journal Organic Agriculture 9 (1) : 2 ~ 17 [2001]
  • Local Food Systems and Sustainable Communities
    Feenstra, G. W American Journal of Alternative Agriculture 12 (1) : 28 ~ 42 [2002]
  • Food With a Farmer’s Face: Community-Supported Agriculture in the United States
    Steven M. S Geographical Review 97 (4) : 550 ~ 564
  • Environment․Ecological Economy
    Kwon, K. S KNOU Press : 232 ~ 242 [2008]
  • Community Supported Agriculture : 1 ~ 16
  • <현장비평 > 지역 생명 공동체운동의 현재와 희망
    김용우 로컬리티 인문학 12 (12) : 253 ~ 271 [2014]
  • 1970∼1980년대 원주지역 재해대책사업위원회의 소비자협동조합운동 연구 - 강원도 광산지역 소비조합육성사업을 중심으로 -
    김소남 사학연구 108 (108) : 343 ~ 409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