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상(韓國思想)(철학(哲學)) : 석도의 일획론(一畵論)과 성기(性起) 사상

' 한국사상(韓國思想)(철학(哲學)) : 석도의 일획론(一畵論)과 성기(性起) 사상'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all of the sensational functions are subject to natural quality
  • arising from the original nature
  • harmonybetweenchananddoctrin
  • no-mind
  • originally existent and produced by cultivation
  • shitao
  • 作用是性
  • 性起
  • 本有修生
  • 無心
  • 石濤
  • 교선일치
  • 무심
  • 본유수생
  • 석도
  • 성기
  • 일획
  • 작용시성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09 0

0.0%

' 한국사상(韓國思想)(철학(哲學)) : 석도의 일획론(一畵論)과 성기(性起) 사상' 의 참고문헌

  • 화엄학 개론
    김잉석 법륜사 [1982]
  • 화엄의 세계
    해주 민족사 [1998]
  • 한권으로 읽는 동양미학
    한린더 이학사 [2012]
  • 청초 석도 『화어록』의 ‘일획’에 대한 의미, 그 연구사적 고찰 및 특징
    조송식 美學(미학) (73) : 43 ~ 79 [2013]
  • 중국화론으로 본 회화미학
    지순임 미술문화 [2008]
  • 중국선의 역사
    이부키 아츠시 씨아이알 [2011]
  • 조주화상 ‘끽다거’의 의미
    정순일 한국차학회지 20 (3) : 1 ~ 13 [2014]
  • 석도 예술 사상과 그 양명학적 배경에 관한 연구
    白倫洙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6]
  • 미학으로 동양 인문학을 꿰뚫다
    朱良志 일마 [2013]
  • 문인화론의 미학
    강행원 서문당 [2004]
  • 규봉종밀의 홍주종 비판 연구 : 화엄 사법계설을 중심으로
    박수현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4]
  • 虯峰文集 卷16, 淸康熙刻本
  • 虯峰 宗密의 洪州宗 비판
    신명희 한국선학 (7) [2004]
  • 華嚴性起思想史 硏究 : 中國華嚴宗을 中心으로
    鄭舜日 圓光大學校 大學院 [1989]
  • 苦瓜和尙(石濤)畵語錄一畵論考釋
    권덕주 東亞文化 15 [1978]
  • 續傳燈錄 (大正藏 51, 614 中ㆍ下)
  • 祖師禪의 全收門, 그리고 윤리적 定向-洪州宗의 作用是性을 중심으로
    윤영혜 종교연구 28 [2002]
  • 石濤評傳
    韓林德 南京大學出版社 [1998]
  • 石濤畵論
    石濤 통나무 [1992]
  • 石濤之一硏究
    徐復觀 學生書局 [1979]
  • 石濤-人と芸術
    中村茂夫 東京美術 [1985]
  • 知不足齋叢書 第5-6集, 木板本(淸)
  • 畵中禪魂 禪中畵心--繪畵美學思想體系新探
    束景南 文藝硏究 4 [1992]
  • 智儼의 華嚴性起思想
    정순일 韓國佛敎學 12 [1987]
  • 搜玄記 (大正藏 35, 79 中ㆍ下)
  • 孔目章 (大正藏 45, 580 下)
  • 佛敎哲理與石濤畵語錄
    羅勇來 畫論硏究 [1993]
  • 中國美學論集
    林同華 江蘇出版社 [19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