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유의 개척자들: 누드론의 관점에서 본 마네와 신윤복

논문상세정보
' 사유의 개척자들: 누드론의 관점에서 본 마네와 신윤복'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manet
  • nu
  • nude
  • painting of woman
  • peinture de femme
  • pioneers of thinking
  • pionniers de la pensee
  • shin yoonbok (manet
  • shin yoonbok)
  • “사유의 개척자들”
  • 누드
  • 마네
  • 신윤복
  • 여인화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29 0

0.0%

' 사유의 개척자들: 누드론의 관점에서 본 마네와 신윤복' 의 참고문헌

  • 화용월태의 표상: 한국 미인화의 신체 이미지
    홍선표 한국문화연구 6 : 33 ~ 62 [2004]
  • 한국미술과 문화
    안휘준 시공사 [2000]
  • 한국 회화사 연구
    안휘준 시공사 [2000]
  • 풍속화, 붓과 색으로 조선을 깨우다 : 김홍도, 신윤복, 김준근
    서주희 시공사 [2008]
  • 풍속화 1·2
    이태호 대원사 [1996]
  • 조선후기 풍속화의 발생과 근대성
    이중희 한국근현대미술사학(구 한국근대미술사학) (13) : 41 ~ 71 [2004]
  • 조선후기 춘화의 발달과 퇴조
    이태호 전남사학 11 : 115 ~ 142 [2004]
  • 조선후기 士人風俗畵와 餘暇文化
    장진성 美術史論壇 (24) : 261 ~ 291 [2007]
  • 조선 사람들, 혜원의 그림 밖으로 걸어 나오다
    강명관 푸른역사 [2001]
  • 이브 : 욕정의 대상에서 인류의 조상으로 - 14~5세기 이탈리아에서의 이브인식의 변화
    이은기 미술사연구 : 203 ~ 228 [2004]
  • 여성 누드 다시보기
    전동호 美術史論壇 (26) : 219 ~ 245 [2008]
  • 세속화 예찬
  • 새로운 美人畵의 典型
    이미림 한국근현대미술사학(구 한국근대미술사학) 11 : 291 ~ 317 [2003]
  • 비미학
    Badiou, Alain 이학사 [2010]
  • 근세 미인화의- 18世紀 韓日 美人圖의 姿型을 中心으로 형성과 성립과정에 대해서
    이미림 미술사학보 25 (25) : 41 ~ 70 [2005]
  • “현대적 삶의 화가” , 마네(E. Manet): 보들레르의 현대회화론을 중심으로
    조희원 美學(미학) (77) : 141 ~ 172 [2014]
  • The Nude
    Clark, Kenneth Penguin [1976]
  • Profanazioni
  • Nudity & Christianity
    Cunningham, Jim Authorhouse [2006]
  • Les Transformations Silencieuses
    Jullien, François Bernard Grasset [2009]
  • Le Sens du Beau
    Ferry, Luc Le Livre de Poche [2009]
  • Le Nu Impossible
    Jullien, François Seuil [2005]
  • Female Nude
    Nead, Lynda Routledge [1992]
  • De l'essence ou du nu
    Jullien, François Seuil [2000]
  • Cinq Méditations sur la Beauté
    Cheng, François Albin Michel [2006]
  • Cette Étrange Idée du Beau
    Jullien, François Bernard Grasset [2009]
  • Botticelli : le sacré et le profane
    Jamet, Christian Herscher [1996]
  • Anatomy of nakedness
    Ableman, Paul Orbis Pub [1982]
  • <혜원전신첩 >의 유흥 이미지
    김나연 미술사논단 18 : 115 ~ 142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