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중처치의 선택편의를 조정한 EBS 수능강의 효과 분석

논문상세정보
' 다중처치의 선택편의를 조정한 EBS 수능강의 효과 분석'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교육학
  •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 ebs lecture
  • ebs 수능강의
  • multiple treatments
  • propensity score
  • selection bias
  • 경향점수
  • 다중처치
  • 선택편의
  • 수능점수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4,542 1

0.3%

' 다중처치의 선택편의를 조정한 EBS 수능강의 효과 분석' 의 참고문헌

  • 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에서의 상호작용효과 검증 : 이론과 절차
    홍세희 인간발달연구 21 (4) : 1 ~ 24 [2014]
  • 한국사회 고등교육 계층화의 영향요인 분석: 일반계 고등학교 졸업생을 중심으로
    변수용 교육사회학연구 20 (1) : 73 ~ 102 [2010]
  • 초등교사의 EBS 프로그램 수업활용 실태, 만족도 및 개선방안 탐색
    김혜정 초등교육연구 25 (2) : 213 ~ 237 [2012]
  • 초․중등학교의 EBSe 방과후 영어 프로그램의 운영 및 활용 형태 연구
    김경석 Foreign Languages Education 20 (2) : 213 ~ 235 [2013]
  • 사교육 경감과 공교육 내실화를 위한 교과부-EBS-한국교육과정평가원 간 MOU 체결
  • 사교육 경감 정책 효과 분석 ― EBS 교육방송과 방과후학교를 중심으로 ―
    이광현 교육사회학연구 23 (3) : 111 ~ 138 [2013]
  • 방과후학교와 수능강의가 사교육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채재은 교육재정경제연구 18 (3) : 41 ~ 66 [2009]
  • 방과후학교 및 EBS효과 분석
    박현정 [2012]
  • 방과후 학교와 EBS 수능강의의 사교육비 경감 효과
    박소영 교육행정학연구 26 (1) : 391 ~ 411 [2008]
  • 동시성과 내생성을 고려한 선택모형의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정기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 다항선택모형의 식별과 추정
    박상인 산업조직연구 18 (3) : 1 ~ 36 [2010]
  • 다수준 맥락변인이 학업성취도에 영향에 미치는 효과 추이 분석: 2003-200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중심으로
    반재천 교육평가연구 24 (3) : 685 ~ 712 [2011]
  • 박사
  • 교육방송 프로그램이 고등학생들의 학력신장에 미치는 효과.
    최재완 과학교육연구지 31 : 51 ~ 60 [2007]
  • Using propensity scores to help design observational studies: application to the tobacco litigation
    Rubin, D. B. Health Services & Outcomes Research Methodology 2 : 169 ~ 188 [2001]
  • Use of stabilized inverse propensity scores as weights to directlry estimate relative rist and its confidence intervals
    Xu, S. Value In Health 13 (2) : 273 ~ 277 [2010]
  • Recent progress on endogeneity in choice modeling
    Louviere, J. Marketing Letters 16 : 255 ~ 265 [2005]
  • Generalized propensity score for estimating the average treatment effect of multiple treatments
    Feng, P. Statistics in Medicine 31 : 681 ~ 697 [2011]
  • EBS수능강의 참여 실태와 효과 분석
    채창균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10 (3) : 25 ~ 44 [2007]
  • EBS 인터넷 수능강의와 사설 인터넷 수능강의의 실태 및 만족도 비교분석
    조규락 중등교육연구 58 (3) : 133 ~ 154 [2010]
  • EBS 영어교육방송에 대한 초등학생, 학부모 및 교사들의 시각과 활용 실태
    이나경 초등영어교육 18 (2) : 33 ~ 60 [2012]
  • EBS 수능강의 수강이 교육격차 감소와 학교수업태도 향상에 미치는 효과 분석
    박현정 교육평가연구 26 (5) : 1115 ~ 1141 [2013]
  • EBS 수능강의 수강과 사교육 간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검증: 수능 상위권 학생들을 중심으로
    길혜지 중등교육연구 63 (1) : 67 ~ 90 [2015]
  • EBS 교육 프로그램의 사교육 경감 효과 분석: 서울특별시 중‧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정동욱 교육행정학연구 30 (3) : 21 ~ 42 [2012]
  • EBS 강의가 고등학생의 교과별 사교육비와 영역별 수능 성적에 미치는 영향
    백순근 아시아교육연구 14 (1) : 137 ~ 162 [2013]
  • Constructing inverse probability weight or marginal structural models
    Cole, R.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68 (6) : 656 ~ 664 [2008]
  • An efficient method of estimating 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s and tests for aggregation bias
    Zellner, A.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57 (298) : 348 ~ 368 [1962]
  • An Introduction to Modern Econometrics Using Stata
    Baum, C. F. Stata Press [2006]
  • 2014년 사교육비 조사보고서
    통계청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