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학 : 이청준 소설에 나타나는 제주,제주민 의식 -「이어도」와 『신화를 삼킨 섬』을 중심으로-

' 현대문학 : 이청준 소설에 나타나는 제주,제주민 의식 -「이어도」와 『신화를 삼킨 섬』을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consciousresidentsofjeju
  • denied
  • frustration
  • islandswallowedmyths
  • jeju
  • nostalgia for the land. exclusivity
  • resignation
  • resistance
  • yi chungjun
  • “yieodo”
  • “신화를 삼킨 섬
  • 「이어도」
  • 거부
  • 뭍에 대한 동경
  • 배타성
  • 순응
  • 이청준
  • 작가-이념소
  • 저항
  • 제주
  • 제주민 의식
  • 좌절
  • 체념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588 0

0.0%

' 현대문학 : 이청준 소설에 나타나는 제주,제주민 의식 -「이어도」와 『신화를 삼킨 섬』을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해양사연구방법론
    윤명철 학연문화사 [201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웅진출판 [1991]
  • 폭력과 성스러움
    르네 지라르 민음사 [2000]
  • 탐라정신탐구 세미나 주제발표 요지
    김종업 제주대학탐라연구소 [1979]
  • 제주의 장수 설화
    현길언 홍성사 [1981]
  • 제주설화집성(1)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1985]
  • 제주도로 간 『당신들의 천국』 : 『신화를 삼킨 섬』론
    김윤식 문학과 사회 21 (4) [2008]
  • 자크 라캉 욕망이론
    자크 라캉 민음사 [2009]
  • 이청준과 임권택의 황홀한 만남
    이성준 월인 [2010]
  • 이어도 : 이청준 문학전집 중단편소설 8
    이청준 열림원 [1998]
  • 역사에서 허구로 : 중국의 서사학
    류 샤오펑 [2001]
  • 역사심리학
    제베데이 바르부 창작과비평사 [1983]
  • 신화를 삼킨 섬 1ㆍ2
    이청준 열림원 [2003]
  • 소설구성의 시학
    보리스 우스펜스키 현대소설사 [1992]
  • 세미오티케
    줄리아 크리스테바 동문선 [2005]
  • 사유와 실천의 윤리학- 이청준의 『신화를 삼킨 섬』을 중심으로
    홍웅기 비평문학 (36) : 365 ~ 384 [2010]
  • 분석심리학―C. G. JUNG의 인간심성론
    이부영 일조각 [1998]
  • 문화의 원류와 그 이해
    송성대 [2001]
  • 문학과 <이여도 >
    김영화 백록어문 12 [1996]
  • 라깡의 재탄생
    자크 라캉 창비 [2002]
  • 다시 쓰는 제주사
    이영권 휴머니스트 [2005]
  • 네트워크 특선 다큐: 고대해상왕국 탐라
    KBS [2010]
  • 개정증보 제주어사전
    제주어연구회 제주특별자치도 [2009]
  • 耽羅 精神 探究
    현평효 논문집 : 인문⋅사회과학편 11 [1979]
  • 濟州民謠에 投影된 島民意識 分析―濟州島民性과 意識構造 形成背景
    姜昌赫 耽羅文化 6 [1987]
  • 濟州島 說話에 드러난 濟州島民의 意識 硏究―傳來傳說을 中心으로
    任弘宣 濟州敎育大學 論文集 13 [1983]
  • 濟州島 女性勞動謠에 드러난 島民意識
    金榮敦 國語國文學 論文集 12 [1983]
  • 濟州島 俗談에 드러난 島民意識 考究
    고순국 조선대 [1985]
  • 濟州島 俗談 硏究
    高在煥 성균관대 [1986]
  • 濟州人의 海民精神: 精神文化의 地理學的 了解
    송성대 국토지리학회지 27 [1997]
  • 巫俗에 나타난 濟州島民의 生活意識―巫俗神話 「본풀이」를 中心으로
    金鍾天 고려대 [1982]
  • 人間相互作用에 관한 濟州島民의 社會意識―民俗資料를 中心으로
    朴在煥 논문집 : 인문⋅사회과학편 9 [1978]
  • ‘제주어 문학’의 가능성과 한계-김광협의 『돌할으방 어디 감수광』을 중심으로-
    이성준 배달말 (51) : 121 ~ 160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