語尾 ‘-니’의 範疇

논문상세정보
' 語尾 ‘-니’의 範疇'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connective
  • declarative
  • diachronicchange
  • honorific
  • interrogative
  • middle korean
  • sentence-terminating ending
  • sentence-terminating form
  • 대우법
  • 연결어미
  • 의문형
  • 종결어미
  • 중세국어
  • 통시적 연구
  • 평서형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516 0

0.0%

' 語尾 ‘-니’의 範疇' 의 참고문헌

  • 후기 근대국어 형태의 연구
    김태훈 역락 : 111 ~ 158 [2006]
  • 후기 근대 국어의 시제체꼐 변화에 따른 종결어미의 재편
    이승희 국어국문학 (150) : 29 ~ 51 [2008]
  • 현대국어 문법 요소와 통시적 정보
    장윤희 國語學 (45) : 313 ~ 336 [2005]
  • 현대국어 ‘오오체’ 어미의 형태론적 해석
    서정목 형태론 3 (2) : 285 ~ 311 [2001]
  • 한국어문 2
    서정목 한국정신문화연구원 : 107 ~ 145 [1993]
  • 한국어 청자대우 등급의 형태론적 해석(1): ‘옵니다체’의 해명을 위하여
    서정목 국어학 17 : 97 ~ 151 [1988]
  • 한국어 방언연구의 실제
    최명옥 태학사 : 241 ~ 279 [1998]
  • 표준 중세국어 문법론
    고영근 집문당 [1987]
  • 통합형 어미 ‘-습니다’류의 통시적 형성과 형태 분석
    정언학 국어교육 (121) : 317 ~ 356 [2006]
  • 최근세국어 경어법 연구
    이경우 태학사 [1998]
  • 중세국어와 근대국어 문장 종결형식의 연구
    이유기 역락 [2001]
  • 중세국어 종결어미 ‘-(으)이’의 분석과 그 문법사적 의의
    장윤희 국어학 30 : 103 ~ 140 [1997]
  • 중세국어 접속어미 ‘-디비’의 통시적 변천과 기능
    김종록 문학과 언어 19 : 29 ~ 54 [1997]
  • 중세국어 의문법 ‘-ᆫ다’계 어미의 소멸 원인
    이승희 관악어문연구 21 : 255 ~ 266 [1996]
  • 종결어미의 통시적 연구
    염광호 박이정 [1998]
  • 안맺음씨끝 ‘-ㄴ.-, -니-, -이-’ 통합체의 변화
    김수태 한글 (291) : 125 ~ 160 [2011]
  • 신소설에 나타난 종결어미에 대한 연구
    김지은 어문론총 (49) : 115 ~ 152 [2008]
  • 선오당 김형기 선생 팔질기념 국어학논총
    임홍빈 창학사 : 403 ~ 457 [1985]
  • 상대 높임의 조사 ‘-요’와 ‘-(이)ㅂ쇼’의 기원과 형성 과정
    고광모 국어학 36 : 259 ~ 282 [2000]
  • 방언 연구 : 자료에서 이론으로
    이승재 태학사 [2004]
  • 반말체의 등급과 반말체 어미의 발달에 대하여
    고광모 언어학 30 : 3 ~ 27 [2001]
  • 문장 종결형 ‘-■’에 대하여
    장요한 국어국문학 (136) : 135 ~ 161 [2004]
  • 문법형태의 역사적 연구
    김영욱 박이정 [1995]
  • 명령형 종결어미 '-게'의 형성에 대한 관견
    이승희 國語學 (44) : 109 ~ 131 [2004]
  • 명령법 어미 '-게'의 기원과 형성 과정
    고광모 한글 (257) : 129 ~ 165 [2002]
  • 명령문의 국어사적 연구
    박영준 국학자료원 [1994]
  • 근대국어의 종결어미 연구 : 노걸대류 언해본을 중심으로
    김성란 역락 [2006]
  • 근대국어 청자경어법 연구
    남미정 태학사 [2011]
  • 근대국어 경어법의 몇 문제
    이현희 한신어문연구 1 : 7 ~ 28 [1985]
  • 근대국어 ‘하압’ 체의 형성 과정과 대우 성격
    황문환 國語學 (58) : 29 ~ 60 [2010]
  • 근대국어 ‘-니’형 종결어미의 변화 과정과 ‘-이-’의 상관성
    이태영 한국언어문학 43 : 653 ~ 670 [1999]
  • 국어의 의문법에 대한 통시적 연구
    이현희 서울대 [1982]
  • 국어의 시대별 변천 연구 3
    박진호 국립국어연구원 : 121 ~ 205 [1998]
  •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서태룡 문학과 지성사 : 507 ~ 527 [1993]
  • 국어사 연구
    서태룡 태학사 : 645 ~ 699 [1997]
  • 국어 통합형 접속어미의 형태 분석과 의미 연구
    백낙천 동국대 [2000]
  • 국어 청자높임법의 역사적 변화
    이승희 태학사 [2007]
  • 국어 종결어미의 통시적 변화와 쟁점
    장윤희 국어사연구 (14) : 63 ~ 99 [2012]
  • 국어 종결어미의 발달에 대한 관견
    이현희 국어학 11 : 143 ~ 163 [1982]
  • 국어 의문법 어미의 역사적 변천
    고은숙 한국문화사 [2011]
  • 국어 의문문 연구
    서정목 탑출판사 [1987]
  • 국어 반말 종결어미의 역사성 : ‘- 어’와 ‘- 지’를 중심으로
    박영준 어문론집 35 : 97 ~ 118 [1996]
  • 국어 대우법의 통시적 이해
    윤용선 國語學 (47) : 321 ~ 376 [2006]
  • 박사
  • 경북말의 높임법 연구
    김태엽 태학사 [1995]
  • 강신항교수회갑기념 국어학논문집
    서정목 태학사 : 555 ~ 583 [1990]
  • 節 結束力 變化의 觀點에서 본 終結語尾 ‘-지’의 形成
    이지영 어문연구(語文硏究) 36 (1) : 105 ~ 130 [2008]
  • 平敍形 語尾 ‘-ㄴ다/-?다’의 成立에 대한 통시적 고찰
    정언학 어문연구(語文硏究) 33 (4) : 81 ~ 108 [2005]
  • 中世國語의 語尾 ‘-니’에 대한 硏究
    전병용 단국대 [1995]
  • ‘하니, 하리’류 종결형의 대우 성격에 대한 통시적 고찰
    황문환 국어학 32 : 77 ~ 106 [1998]
  • ‘-은지’와 ‘-을지’의 통시적 변화
    이지영 國語學 (53) : 113 ~ 140 [2008]
  • 19세기 국어의 문법사적 고찰
    이현희 한국문화 15 : 57 ~ 81 [1994]
  • 17세기 국어의 종결어미에 대한 연구
    이영경 국어연구 [1992]
  • 17세기 국어의 종결어미 연구
    장경희 석사 [1977]
  • 17세기 국어 종결 어미 {-아/어}의 기능
    이유기 동악어문논집 33 : 77 ~ 103 [1998]
  • 16세기 청주 간찰의 종결어미 형태
    서태룡 정신문화연구 19 (3) : 57 ~ 93 [1996]
  • 16ᆞ,17세기 언간의 상대경어법
    황문환 태학사 [2002]
  • 15세기 우리 옛말본
    허웅 샘문화사 [1975]
  • 15세기 ‘ㅎ라’체 의문형 종결어미의 변천 양상
    양영희 언어와언어학 (46) : 117 ~ 138 [2009]
  • -고라 의 의미 기능에 대한 고찰
    이승희 형태론 7 (1) : 81 ~ 98 [2005]
  • -게 하-'로부터 발달한 종결어미들
    고광모 언어학 (46) : 61 ~ 79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