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상세정보
' 원저 : 침술 후 발생한 편평태선'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acupuncture
  • korean medicine
  • lichen planus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224 0

0.0%

' 원저 : 침술 후 발생한 편평태선' 의 참고문헌

  • 홍화씨 추출물 주입 후 발생한 이물 육아종 1예
    이진웅 대한피부과학회지 47 (2) : 242 ~ 244 [2009]
  • 한의원 침술을 이용한 색소성 모반의 제거 후 발생한 다발성 반흔
    조수현 대한피부과학회지 48 (6) : 537 ~ 539 [2010]
  • 한의원 침술 후 발생한 이영양성 피부석회증 1예
    황선욱 대한피부과학회지 46 (6) : 839 ~ 841 [2008]
  • 한의원 침술 후 발생한 부작용 3예
    이상주 대한피부과학회지 51 (3) : 189 ~ 191 [2013]
  • 한의원 침술 및 정맥 배액에 의한 전염이 추정되는 윤상 농포성 건선양 2기 매독 1예
    김재왕 대한피부과학회지 41 (11) : 1525 ~ 1529 [2003]
  • 한방 약실침 시술에 의해 발생한 안면 이물 육아종 2예
    백지혜 대한피부과학회지 49 (01) : 72 ~ 75 [2011]
  • 침술 후 발생한 국소형 물집유사천포창
    최유리 대한피부과학회지 48 (4) : 331 ~ 333 [2010]
  • 침술 요법 부위에 발생한 Mycobacterium fortuitum 감염증 1예
    최윤진 대한피부과학회지 47 (6) : 755 ~ 758 [2009]
  • 침과 부황에 의한 Koebner 현상을 보인 다형홍반
    장은주 대한피부과학회지 49 (09) : 809 ~ 811 [2011]
  • 봉침요법 부위에 발생한 Mycobacterium chelonae 감염
    심우행 대한피부과학회지 49 (04) : 374 ~ 378 [2011]
  • 봉침에 의해 유발된 지연형 피부 반응 1예
    김덕한 대한피부과학회지 43 (9) : 1237 ~ 1240 [2005]
  • 벌침 치료 받은 후 발생한 피부괴사를 동반한 이물 육아종 1예
    배의종 대한피부과학회지 47 (3) : 350 ~ 353 [2009]
  • 금실침 시술에 의해 발생한 안면 이물육아종
    김준영 대한피부과학회지 49 (06) : 561 ~ 563 [2011]
  • Three cases of bee-sting granuloma
    Yu HJ Korean J Dermatol 36 : 914 ~ 917 [1998]
  • The first reported case of lichen planus following inactivated influenza vaccination
    Akay BN J Drugs Dermatol 6 : 536 ~ 538 [2007]
  • Post-traumatic eczema
    Mathias CG Dermatol Clin 6 : 35 ~ 42 [1988]
  • Linear lichen planus distributed in the lines of Blaschko developing during intramuscular triamcinolone acetonide therapy for alopecia areata multiplex
    Numata Y J Eur Acad Dermatol Venereol 22 : 1370 ~ 1372 [2008]
  • Fitzpatrick’s dermatology in general medicine. 8th ed
    Daoud MS McGraw-Hill : 296 ~ 312 [2012]
  • Eruptive lichen planus triggered by acupuncture
    Fleming J Arch Dermatol 147 : 361 ~ 362 [2011]
  • Contact urticaria due to bee sting therapy in a patient with chronic pain
    Yoo MS Korean J Dermatol 32 : 895 ~ 898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