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어의 재편과정과 번역 - 게일의 미간행 영역시조와 시조 담론의 계보학 -

논문상세정보
' 시가어의 재편과정과 번역 - 게일의 미간행 영역시조와 시조 담론의 계보학 -'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english-translationsi-jo
  • gale
  • jamesscarthgalepapers
  • old korea
  • the collection of si-jo by nam hoon
  • 『게일 유고』
  • 『남훈태평가』
  • 게일
  • 영역시조
  • 옛 조선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04 0

0.0%

' 시가어의 재편과정과 번역 - 게일의 미간행 영역시조와 시조 담론의 계보학 -' 의 참고문헌

  • 해외 한국본 고문헌 자료의 탐색과 검토
    R. King 삼경문화사 [2012]
  • 한시 현토형 시조와 시조의 7언절구형 한시화
    김석회 국문학연구 (4) : 71 ~ 72 [2000]
  • 한불자전연구
    이상현 소명출판 [2013]
  • 한불자전연구
    부산대 인문학연구소 소명출판 [2013]
  • 한국어의 근대와 이중어사전 Ⅰ-Ⅺ
    황호덕 박문사 [2012]
  • 한국서지
    M. Courant 일조각 [1994]
  • 한국개신교사 1832-1910
    백낙준 연세대 출판부 [1973]
  • 한국 고전번역가의 초상 : 게일의 고전학 담론과 고소설 번역의 지평
    이상현 소명 [2012]
  • 초기 미국 선교사 연구
    류대영 한국기독교연구사 [2001]
  • 찬양가
    원두우 예수셩교회당 [1894]
  • 착 목쟈 : 게일의 삶과 선교 1-2
    유영식 도서출판 진흥 : 98 ~ [2012]
  • 제국들의 조선학, 정전의 통국가적 구성과 유통 -『천예록』, 『청파극담』 소재 이야기의 재배치와 번역ㆍ재현된 ‘조선’-
    이상현 한국근대문학연구 1 (18) : 67 ~ 100 [2008]
  • 애스턴의 조선어학습서 「Corean Tales」의 성격과 특성
    허경진 인문과학 98 [2013]
  • 애스턴문고 소장 「Corean Tales」에 대한 고찰
    Kobyakova Uliana 서지학보 32 [2008]
  • 애스턴 구장 번역고소설 필사본「隨史遺文」연구 : 고어 자료를 중심으로
    박재연 어문논총 23 [2004]
  • 민족어학의 건설과 발전
    고영근 박문사 [2010]
  • 러시아 상트베테르부르크 동방학연구소 소장 한국 고서의 몇몇 특징
    정병설 규장각 (43) : 145 ~ 166 [2013]
  • 러시아 상트베테르부르크 국립대학과 동방학연구소에 소장된 조선전적에 대한 연구
    허경진 열상고전연구 36 [2012]
  • 러시아 동방학연구소 애스턴 문고의 한글 자료- 한국어 학습 과정과 관련하여-
    박진완 한국어학 46 : 199 ~ 228 [2010]
  • 근대 선교사의 찬송가 가사 번역에 관한 연구
    문옥배 음악과 민족 22 [2001]
  • 고전어와 근대어의 분기 그리고 불가능한 대화의 지점들 - 『조선문학사』(1922) 출현의 근대 학술사적 문맥, 다카하시·게일의 한국(어)문학론
    이상현 코기토 73 : 56 ~ 113 [2013]
  • 게일의 텬로력뎡과 기산의 풍속삽도
    박정세 신학논단 60 [2010]
  • 게일 목사 탄생 150주년 기념 논문집
    박정세 연동교회 [2013]
  • 개념과 역사, 근대 한국의 이중어사전 1-2
    황호덕 박문사 [2012]
  • 莊子
    안동림 현암사 [1978]
  • 漢詩 번역 時調 연구 -제 양상과 미발굴 작품을 중심으로-
    김주수 한국시가연구 28 : 239 ~ 264 [2010]
  • 校本 歷代時調全書
    심재완 세종문화사 [1972]
  • 朝鮮筆景, 게일유고 (Gale, James Scarth Papers)
  • 朝鮮の文學
    岡倉由三郎 哲學雜誌 8 (74) [1893]
  • 『게일 문서(Gale, James Scarth Papers)』 소재 <심청전 >, <토생전 > 영역본의 발굴과 의의
    권순긍 고소설연구 (30) : 419 ~ 494 [2010]
  • 『獄中花』의 한국적 고유성과 게일의 번역 실천- J. S. Gale, “Choon Yang”(The Korea Magazine 1917.9~1918.8)의 번역용례를 중심으로
    이상현 비교문화연구 38 : 145 ~ 190 [2015]
  • 『The Korean Repository』에 소개된 SONG 연구
    송민규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21 (1) : 227 ~ 254 [2013]
  • 『The Korean Repository』에 소개된 ODE 연구
    송민규 Journal of korean Culture 22 : 209 ~ 235 [2013]
  • 『The Korean Repository』에 소개된 LOVE SONG 연구
    송민규 현대문학이론연구 (52) : 281 ~ 309 [2013]
  • 「삼국사기」에 새겨진 27년 전 서울의 추억 — 모리스 쿠랑과 한국의 고전세계
    이상현 국제어문 55 [2013]
  • The Opening Lines of Chang-ha(4th Cent. B.C.)
    J. S. Gale The Korea Review 1 [1901]
  • The Influence of China upon Korea
    J. S. Gale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Branch of Royal Asiatic Society 1 [1900]
  • On Corean popular literature
    W. G. Aston Transactions of the Asiatic Society of Japan 18 [1890]
  • Korean Song
    J. S. Gale The Korea Bookman [1922]
  • James Scarth Gale and his History of Korean People
    R. Rutt the Royal Asiatic Society [1972]
  • James S. Gale의 선교편지
    김인수 쿰란출판사 [2009]
  • Corean Literature, The North China Herald and Supreme Court & Consular Gazette
    Esson Third [1902]
  • Bibliography of the Japanese Empire
    O. Nachod E. Goldston [1928]
  • A Reception Aesthetic Study on Sijo in English Translation: The Case of James S. Gale
    신은경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26 (1) : 175 ~ 213 [2013]
  • A Few Words on Literature
    J. S. Gale The Korean Repository 2 [1895]
  • 20세기 전반기 고시조 영역의 전개양상
    강혜정 고려대학교 [2013]
  • 19세기 중․후반 시조창 가집과 가곡창 가집의 상호소통 양상연구
    송안나 성균관대학교 [2008]
  • 19세기 시조의 예술사적 의미
    고미숙 태학사 [1998]
  • 19세기 서구인들이 인식한 한국의 시와 노래
    김승우 소명출판 : 82 ~ 90 [2014]
  • 19세기 말 한국시가문학의 구성과 ‘문학텍스트’로서의 고시가* - 모리스 쿠랑 한국시가론의 근대학술사적 의미
    이상현 비교문학 (62) : 323 ~ 370 [2014]
  • 19세기 말 고소설 유통의 전환과 ‘민족지’로서의 고소설 - 모리스 쿠랑 『한국서지』 한국고소설 관련 기술의 근대 학술사적 의미
    이상현 비교문학 (59) : 37 ~ 74 [2013]
  • 19세기 말 在外 외국인의 한국시가론과 그 의미
    이상현 동아시아문화연구 (56) : 309 ~ 345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