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시가 양식과 한국의 주체적 변용

구사회 2015년
논문상세정보
' 중국의 시가 양식과 한국의 주체적 변용'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a deconstructive poetry.
  • beonsa
  • honamga
  • kim-satgat
  • literary style
  • soakbu
  • yi-gawon
  • 과체시
  • 김삿갓
  • 문예 양식
  • 번사
  • 소악부
  • 이가원
  • 해체시
  • 호남가
  • 호남시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93 1

3.1%

' 중국의 시가 양식과 한국의 주체적 변용' 의 참고문헌

  • 한문 문체의 분류적 연구(二)
    이가원 아세아연구 3 (2) : 159 ~ 192 [1960]
  • 한문 문체의 분류적 연구
    이가원 아세아연구 3 (1) : 142 ~ [1960]
  • 한문 문체 분류의 전개양상
    김종철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20) : 37 ~ 55 [2004]
  • 한국한시의 이해
    이병주 민음사 : 210 ~ [1987]
  • 한국한문학의 독자성과 중국고전문학의 접점에 관한 규견(窺見)
    심경호 중국문학 52 : 1 ~ 19 [2007]
  • 한국 문집의 문체 분류에 대한 연구 - 「동문선」과 그 이전의 문집을 중심으로-
    황의열 한문학보 5 : 23 ~ 53 [2001]
  • 청음 김상헌의 관동별곡번사에 대하여
    윤승준 한문학논집 12 : 611 ~ 631 [1994]
  • 참요, 시대의 징후를 노래하다
    심경호 한얼미디어 : 593 ~ 631 [2012]
  • 조선후기 시조 한역과 시조사
    조해숙 보고사 : 11 ~ 243 [2005]
  • 조선조 시가 한역의 양상과 기법
    김문기 태학사 : 13 ~ 435 [2005]
  • 조선시대 과체시의 문학성 탐구
    남궁원 한문고전연구 7 : 220 ~ [2003]
  • 조선시대 과체시 연구
    장유승 한국한시연구 11 : 419 ~ 424 [2003]
  • 조선문화사총설
    홍기문 정음사 : 147 ~ [1947]
  • 조선문학사 (하권)
    이가원 태학사 : 1498 ~ [1997]
  • 조선문학사 (중)
    이가원 태학사 : 919 ~ [1997]
  • 서포 김만중의 <관동별곡 번사 >에 나타난 한역의 방향과 그 의미
    최규수 한국시가연구 14 : 257 ~ 286 [1998]
  • 새로 발굴한 김삿갓의 한시 작품에 대한 문예적 검토
    구사회 국제어문 (35) : 133 ~ 161 [2005]
  • 고려가요의 연구 -익재 소악부에 한하여
    서수생 경대논문집 5 : 277 ~ 326 [1962]
  • 荷亭集, 권1, 論詩十首
  • 書經, 舜典
  • 小樂府試攷
    이종찬 동악어문론집 (창간) : 181 ~ [1965]
  • 實菴遺稿, 科詩百選序
  • 「동시품휘보」와 허균의 과체시
    허경진 열상고전연구 14 : 101 ~ 122 [2001]
  • 「김립시집」판본과 번역 양상 연구
    양동식 순천대학교 [2007]
  • <관동별곡번사 >의 역대 작품과 문예적 검토
    구사회 동양고전연구 (26) : 105 ~ 124 [2007]
  • 18세기 후반, 19세기 전반의 한국한문학에 나타난 실학적 특성에 관한 일 고찰
    심경호 한국실학연구 (5) : 247 ~ 290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