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구어 문법의 교육 내용 연구

' 한국어 구어 문법의 교육 내용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educationalcontents
  • korean language education
  • spoken grammar
  • 교육내용
  • 구어 문법
  • 한국어교육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929 3

0.0%

' 한국어 구어 문법의 교육 내용 연구' 의 참고문헌

  • 한국어교육과 구어, 그리고 문법
    서상규 춘계학술발표 논문집 : 15 ~ 33 [2013]
  • 한국어교육 문법 항목의 제시 형식과교육 내용에 대한 일고찰—‘표현’을 중심으로
    석주연 반교어문연구 (34) : 51 ~ 73 [2013]
  • 한국어 이유 표현 ‘-길래’의 담화 문법 연구
    진정란 담화와 인지 12 (3) : 137 ~ [2005]
  • 한국어 대화문 종결 형태의 실현 양상 연구 - 한국어 교육 교재 대화문의 실제성 확보를 위하여
    김서형 문법 교육 19 : 57 ~ 79 [2013]
  • 한국어 구어 연구2 : 대학생 대화 말뭉치를 중심으로
    서상규 한국문화사 [2005]
  • 한국어 구어 연구1 : 구어 전사 말뭉치와 그 활용
    서상규 한국문화사 [2002]
  • 한국어 구어 문법의 정립 - 구어와 문어의 통합 문법을 지향하며 -
    목정수 우리말연구 (28) : 57 ~ 98 [2011]
  • 한국어 구어 문법을 어떻게 기술할 것인가? - 기준점의 선정과 그 논의 -
    지현숙 한국어교육 21 (4) : 307 ~ 332 [2010]
  • 한국어 구어 문법 평가의 방향
    정명숙 문법 교육 15 : 73 ~ 95 [2011]
  • 한국어 구어 문법 교육을 위한 과제 기반 교수법
    지현숙 국어교육연구 20 : 247 ~ 270 [2007]
  • 한국어 교육을 위한 문법 기반 언어 기능의 통합 교육과정 구조화 방법론 연구
    민현식 국어교육연구 (22) : 261 ~ 334 [2008]
  • 한국어 교육에서 구어 문법의 내용 연구 -구어의 단위를 기준으로-
    김현지 이중언어학회 제32차 춘계 전국학술대회 발표자료집 : 57 ~ 74 [2015]
  • 정보상태, 정보구조, 그리고 담화분석
    김해연 人文學硏究 34 : 37 ~ 68 [2002]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 연구 : 구어 텍스트의 활용을 중심으로
    심재기 이중언어학 17 (1) : 143 ~ 173 [2000]
  • 외국어로서 한국어 문법에서의 새로운 문법 체계를 위하여
    한송화 한국어교육 17 (3) : 357 ~ 379 [2006]
  • 문장의 종류 : 구어 한국어를 위한 문법 모형
    목정수 한국어학 46 : 81 ~ 122 [2010]
  • 말뭉치 기반 구어 문어 통합 문법 기술의 탐색
    배진영 박이정 [2013]
  • 담화표지화의 정도성에 대한 한 논의 - ‘뭐, 어디, 왜’를 대상으로 -
    박석준 한말연구 (21) : 81 ~ 101 [2007]
  • 담화 중심 한국어 문법 교육이란?
    김남길 한국문법교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 : 161 ~ 180 [2012]
  • 규칙으로서의 문법과 사용으로서의 문법,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 227 ~ 256
    우형식 [2009]
  • 국제 통용 한국어교육 표준 모형 개발 보고서 (1단계)
  • 국어학과 국어 교육 : 한국어 교육을 위한 문법 항목 기술에 대하여
    오경숙 시학과 언어학 13 : 143 ~ 165 [2007]
  • 구어의 단위 연구
    전영옥 한말연구 (19) : 317 ~ 345 [2006]
  • 구어와 담화 : 연구와 활용
    구현정 우리말연구 (28) : 25 ~ 56 [2011]
  • 구어성 언어 단위의 설정과 그 유형
    이현희 한글 (303) : 41 ~ 76 [2014]
  • 구어 향상을 위한 한국어 교재의 대화문 분석 연구
    엄나영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1]
  • 구어 문법의 인식과 교수 내용, 그리고 평가
    목정수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37 ~ 45 [2013]
  • 구어 문법의 교수 모형 -중급 단계를 중심으로
    정예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295 ~ 301 [2013]
  • 구어 문법과 한국어 교재
    방성원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46 ~ 52 [2013]
  • 구어 문법과 표현,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초급 학습자를 위한 구어 문법과 표현
    양명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춘계학술발표 논문집 : 53 ~ 57 [2013]
  • 구어 문법 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한송화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58 ~ 62 [2013]
  • 구어 말뭉치에 나타난 조각문 유형 연구
    서은아 한글 (264) : 123 ~ 151 [2004]
  • Towards a framework for teaching spoken grammar
    Timmis, I. ELT Journal 59 (2) : 117 ~ 125 [2005]
  • The idiom principle and the open choice principle
    Erman Text 20 (1) : 29 ~ 62 [2000]
  • Spoken Grammar and Its Role in the English Language Classroom
    Hilliard, A. English Teaching Forum 52 (4) : 2 ~ 13 [2014]
  • Spoken Grammar and ELT Corse Matedials: A Missing Link?
    Cullen, R. TESOL Quarterly 14 (2) : 361 ~ 386 [2007]
  • Rules, patterns and words : grammar and lexis in English language teaching
    Willis, 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 Grammars of spoken English : New outcomes of corpus-oriented research
    Leech, G. Language Learning 50 (4) : 675 ~ 724 [2000]
  • Explorations in corpus linguistics
    McCarthy, 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 Discourse, consciousness, and time : The flow and displacement of conscious experience in speaking and writing
    Cahf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4]
  • Discourse Markers
    Schiffrin, 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
  • Cognitive constraints on information flow, In Coherence and grounding in discourse, ed, by John Haiman and Sandra A. Thompson, 1-27
    Chafe John Benjamins : 1 ~ 27 [1987]
  • An anlysis of spoken grammar: The case for production
    Mumford, S ELT Journal 63 (2) : 137 ~ 144 [2009]
  • 21세기 세종말뭉치, 현대 구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