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년대 한국시의 정동(情動)과 이미지의 정치학

' 1960년대 한국시의 정동(情動)과 이미지의 정치학'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한국
  • civilattitude
  • kim soo-young
  • politics of the image
  • public desire
  • the affect
  • 김수영
  • 당위
  • 대중적 욕망
  • 시민적 윤리
  • 이미지
  • 이미지-사유
  • 정동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3,662 0

0.0%

' 1960년대 한국시의 정동(情動)과 이미지의 정치학' 의 참고문헌

  • 책형대에 걸린 시
    도서출판 아라 [2013]
  • 짐멜의 모더니티 읽기
    게오르그 짐멜 새물결 [2005]
  • 시 이미지 연구 방법론― 시 텍스트의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전개’를 위하여
    조강석 한국시학연구 (42) : 265 ~ 306 [2015]
  • 세계전후문제시집
    신구문화사 [1962]
  • 반딧불의 잔존-이미지의 정치학
    조르주 디디-위베르만 도서출판 길 [2012]
  • 김수영 전집 2
    민음사 [2003]
  • 김수영 전집 1
    민음사 [2004]
  • 게오르그 짐멜의 모더니티 풍경 11가지
    김덕영 [2007]
  • 가상계-운동, 정동, 감각의 아쌍블라주
    브라이언 마수미 갈무리 [2011]
  • Literature and Psychoanalysis
    Jacque Lacan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2]
  • 1960년을 묻다-박정희 시대의 문화정치와 지성
    권보드래 천년의 상상 [2012]
  • 1960년대 문학 텍스트에 나타난 시민적 윤리와 대중적 욕망의 교환
    조강석 현대문학의 연구 (50) : 7 ~ 37 [2013]
  • 1960~70년대 한국의 대중사회화와 대중문화의 정치적 의미
    송은영 상허학보 32 : 187 ~ 226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