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식불교와 심리치료

' 유식불교와 심리치료'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alayavijn?na
  • characteristicsofdharma(faxiang
  • cognitivetherapy
  • consciousness-onlybuddhism
  • counsellingpsychology
  • psychotherapy
  • unconsciousness
  • 法相)
  • 무의식
  • 법상(法相)
  • 상담심리
  • 심리치료
  • 아뢰야식
  • 유식불교
  • 인지치료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657 1

0.3%

' 유식불교와 심리치료' 의 참고문헌

  • 행동과학연구
    김기석 고려대학교 행동과학연구소 : 1 ~ 23 [1978]
  • 한국인의 주체성과 도
    이동식 일지사 [1974]
  • 한국유식학연구사
    김성철 불교학리뷰 1 (1) : 13 ~ 54 [2006]
  • 중국 유식학에서의 진리와 언어의 관계에 대한 고찰 ─원측(圓測)의 『해심밀경소(解深密經疏)』를 중심으로
    백진순 불교학연구 28 : 119 ~ 155 [2011]
  • 정신분석, 인간중심의 상담 및 불교의 비교 2 : 심리적 문제의 해결
    윤호균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 (1) : 201 ~ 215 [1982]
  • 정신분석, 인간중심의 상담 및 불교의 비교 1 : 인간 및 심리적 문제에 관한 견해
    윤호균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 (1) : 187 ~ 199 [1982]
  • 인도불교 초기 유식문헌에서의 언어와 실재와의 관계_瑜伽師地論의 三性과 五事를 중심으로
    안성두 인도철학 (23) : 199 ~ 239 [2007]
  • 유식학의 연구현황과 연구과제
    김치온 한국불교학 68 : 135 ~ 168 [2013]
  • 유식철학
    김동화 보련각 [1980]
  • 유가행파의 사심사관(四尋思觀)에 관한 연구 - 영상(影像)과 의언(意言)의 함의성(含意性)을 중심으로
    홍응경 회당학보 19 : 309 ~ 353 [2014]
  • 유가행파 수행에서 의언의 역할과 의의
    김성철 보조사상 21 : 139 ~ 172 [2004]
  • 유가사지론 성문지의 구성과 그 수행체계
    강명희 불교연구 (20) : 23 ~ 64 [2004]
  • 위빠사나 명상의 심리학적 고찰
    김정호 사회과학연구 : 25 ~ 60 [2006]
  • 와수반두의 언어관
    이종철 철학논구 23 : 23 ~ 62 [1995]
  • 오중유식관의 수행적 특징과 명상프로그램의 모색
    박재용 제1회 총지학술상 논문 발표집 [2014]
  • 아뢰야식(阿賴耶識)의 지평에서 본 타인의 마음 ―법상종(法相宗)의 해석을 중심으로
    백진순 불교학연구 26 : 173 ~ 208 [2010]
  • 심리학의 연구문제 4호
    권석만 서울대학교 심리과학연구소 : 279 ~ 321 [1997]
  • 불교와 정신치료
    문홍세 신경정신의학 16 (1) : 1 ~ 7 [1977]
  • 불교, 상담, 심리치료
    윤호균 대화 (13) : 43 ~ 64 [1969]
  • 명상 어떻게 연구되었나? - 2000년부터 2012년까지 연구경향 분석
    불교와 사상의학연구회 올리브그린 [2013]
  • 마음챙김 명상의 심리치료적 적용을 위한 제언
    하현주 불교학보 (56) : 241 ~ 271 [2010]
  • 구사론주 세친의 현상주의적 언어철학
    박창환 동아시아불교문화 : 25 ~ 75 [2013]
  • 解深密經
    玄奘 大正藏16
  • 精神科醫의 참선경험
    정창용 학생연구 : 49 ~ 57 [1974]
  • 精神治療에서 要求되는 自我의 自覺에 있어서의 東西間의 差異
    정창식 신경정신의학 7 (2) : 15 ~ 19 [1968]
  • 禪의 心理學的 -考察
    김성철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1 (2) : 37 ~ 41 [1969]
  • 瑜伽師地論
    彌勒 大正藏
  • 攝大乘論
    無著 造 大正藏 31
  • 成唯識論
    護法 大正藏 31
  • 大乘法苑義林章
    窺基 大正藏 45
  • 公案의 분석심리학적 小考
    이죽내 신경정신의학 18 (2) : 171 ~ 178 [1978]
  • 『유가사지론』 「성문지」에 나타난 편만소연의 의미와 특징 - 한역본 중심으로 -
    강명희 불교학보 (62) : 199 ~ 223 [2012]
  • 5심을 통한 識의 自流相續 고찰
    박재용 불교학보 (65) : 49 ~ 74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