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國(한국)의 文化(문화) : 호모나랜스, 경계를 넘어서 통합과 화합으로 -뮤직비디오 <강남스타일>의 패러디 영상물을 중심으로-

논문상세정보
' 韓國(한국)의 文化(문화) : 호모나랜스, 경계를 넘어서 통합과 화합으로 -뮤직비디오 <강남스타일>의 패러디 영상물을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culturalethnographystudies
  • homonarrans
  • parody
  • rewriting
  • “gangnam style”
  • 강남스타일
  • 다시 쓰기
  • 문화기술지
  • 패러디
  • 호모 나랜스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723 0

0.0%

' 韓國(한국)의 文化(문화) : 호모나랜스, 경계를 넘어서 통합과 화합으로 -뮤직비디오 <강남스타일>의 패러디 영상물을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패러디 이론
    린다 허친 문예출판사 [1995]
  • 좀비와 뱀파이어의 영화 속 시기별 의미변화 연구: 공포의 속성을 중심으로
    김민오 한국영상학회논문집 12 (1) : 71 ~ 85 [2014]
  • 좀비 자유주의: 좀비를 통해 자유주의 되살리기
    이동신 미국학 논집 46 (1) : 119 ~ 145 [2014]
  • 인생은 톱니바퀴다: 영상을 통한 인문치료 이야기
    윤일수 그물 [2013]
  • 인간이 그리는 무늬 : 욕망하는 인문적 통찰의 힘
    최진석 소나무 [2013]
  • 이기적 유전자
    리차드 도킨스 을유뮨화사 [2006]
  • 외설적 표현권의 전의미
    황필홍 미국학 논집 44 (2) : 105 ~ 149 [2012]
  • 싸이의 영상 뮤직비디오‘강남스타일’에 드러난 키치(Kitsch)와 밈(Meme)에 대한 탐구
    이현석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3 (11) : 148 ~ 158 [2013]
  • 싸이의 <강남스타일 >에 대한 지각 요인 연구
    오세정 주관성 연구 (26) : 163 ~ 184 [2013]
  • 성기 신앙의 형태와 성격
    장기식 한국민속학 27 : 365 ~ 400 [1995]
  • 밈: 문화를 창조하는 새로운 복제자
    수전 블랙모어 바다출판사 [2010]
  • 밀레니엄 좀비영화와 사이버 공간의 폭력성 비교 연구
    김민오 한국영상학회논문집 11 (4) : 19 ~ 33 [2013]
  • 문화콘텐츠로서의 ‘강남스타일’-미디어시대에서 콘텐츠시대로-
    정성은 관훈저널 (겨울) : 80 ~ 87 [2012]
  • 문화기술지에 대한 언어적 고찰
    미첼 아거 군자출판사 [2007]
  • 문학과 성, 그리고 ‘외설’의 문제
    마광수 오늘의 문예비평 : 48 ~ 65 [1994]
  • 디지털시대의 신인류 호모나랜스
    한혜원 살림 [2010]
  • 동심설의 측면에서 본 ‘강남스타일
    이난수 유학연구 27 : 431 ~ 464 [2012]
  • 놓아버림: 내 안의 위대함을 되찾는 항복의 기술
    데이비드 호킨스 판미도 [2014]
  •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JI71&DCD=A407&newsid=01213606606217168
  • http://m.ohmynews.com/NWS_Web/Mobile/at_pg.aspx?CNTN_CD=A0001999358
  • http://ko.wikipedia.org/wiki/%EB%B9%A0%EC%82%90%EB%86%88
  • K-Pop의 춤에 관한 소고: <강남스타일 >을 생각하며
    이봉재 대중음악 10 : 77 ~ 97 [2012]
  • 21세기 왜 다시 좀비 영화인가? : 잠재태와 현실태의 현현(顯現) 개념을 중심으로
    김성범 씨네포럼 (18) : 127 ~ 160 [2014]
  • '강남 스타일'은 강남 스타일이다.
    최유준 음악과 민족 (44) : 5 ~ 11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