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학 : 형식의미론의 국어 시간요소 의미 분석 검토

논문상세정보
' 국어학 : 형식의미론의 국어 시간요소 의미 분석 검토'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한국어
  • aspect
  • imperfective
  • koreantemporalelements
  • neutral aspect
  • perfect
  • perfective
  • tense
  • tenseless language
  • 무시제 가설
  • 비완결상
  • 시간요소
  • 시제
  • 완결상
  • 중화상
  • 형식의미론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789 0

0.0%

' 국어학 : 형식의미론의 국어 시간요소 의미 분석 검토' 의 참고문헌

  • 현대국어 통사론
    남기심 태학사 [2001]
  • 현대 국어 시제에 관한 문제
    남기심 국어국문학 55-57 : 213 ~ 238 [1972]
  • 한국어 통사구조와 시간 해석
    양정석 한국문화사 [2010]
  • 한국어 시간요소들의 형태통사론
    양정석 언어 33 (4) : 693 ~ 722 [2008]
  • 한국어 명제태도 구문의 보문절에 나타난 '-었'의 의미분석
    송민영 현대문법연구 (35) : 83 ~ 110 [2004]
  • 우리말본
    최현배 연희전문학교 출판부 [1971]
  • 시상성과 논항연결
    양정석 태학사 [2002]
  • 무시제 가설 하에서의 시간 해석 방법
    양정석 배달말 (43) : 121 ~ 178 [2008]
  • 국어의 시제 연구
    한동완 태학사 [1996]
  • 개정판 한국어 통사구조론
    양정석 한국문화사 [2010]
  • ‘었었’ 고
    이남순 진단학보 78 : 377 ~ 393 [1994]
  • ‘느’ 분석론과 ‘있다’, ‘없다’의 문제
    양정석 한글 (296) : 81 ~ 122 [2012]
  • ‘-었-’의 중의성
    염재일 언어학 (58) : 237 ~ 264 [2010]
  • Word Meaning and Montague Grammar
    Dowty, D Reidel [1979]
  • Time in a language without tense: the case of Chinese
    Lin, J.-W Journal of Semantics 23 : 1 ~ 53 [2005]
  • Time in Language
    Klein, W Routledge [1994]
  • The Temporal Semantics of Noun Phrases: Evidence from Guarani
    Tonhauser, J Stanford University [2006]
  • The Semantics of Tense and Propositional Attitudes
    송민영 Georgetown University [1999]
  • The Parameter of Aspect
    Smith, C Kluwer Academic Publishers [1991]
  • Tense and Aspect in the Languages of Europe
    Dahl, Ö Mouton de Gruyter : 3 ~ 25 [2000]
  • Temporal expressions in Korean
    이정민 the Fir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ragmatics : 405 ~ 447 [1987]
  • 박사
    Temporal Reference in English and Japanese
    Ogihara, T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1989]
  • Temporal Adverbials and Aktionsarten in Korean
    윤재학 Thaehaksa [1996]
  • Spatial deictic tense and evidentials in Korean
    정경숙 Natural Language Semantics 15 : 187 ~ 219 [2007]
  • Semantics and Pragmatics of -ess in Korean
    염재일 어학연구 46 (2) : 199 ~ 236 [2010]
  • Predicate Types and the Tense Marker -ess in Korean
    Mean-YoungSong 어학연구 38 (1) : 1 ~ 29 [2002]
  • Perfect Explorations
    Pancheva, R Mouton de Gruyter : 277 ~ 306 [2003]
  • From Discourse to Logic
    Kamp, H Kluwer [1993]
  • Evidentiality and its Interaction with Tense: Evidence from Korean
    이정미 Ohio State University [2011]
  • Elements of Symbolic Logic
    Reichenbach, H The MacMillan Co [1947]
  • Dynamic and Stative Information in Temporal Reasoning: Interpretation of Korean Past Markers in Narrative Discourse
    이은희 Journal of East Asian Linguistics 16 : 1 ~ 25 [2007]
  • Case Variation in Guarani
    양정석 언어와 정보 14 (1) : 93 ~ 111 [2010]
  • Attitudes De Dicto and De Se
    Lewis, D Philosophical Review 88 : 513 ~ 543 [1979]
  • Aspect
    Comrie, B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6]
  • As Time Goes By
    Hornstein, N MIT [1990]
  • Anchoring conditions for tense
    Enç, M Linguistic Inquiry 18 : 633 ~ 657 [1987]
  • -고 있-'과 '-어 있-'의 상보성 여부 검토와 구문 규칙 기술
    양정석 한글 (266) : 105 ~ 137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