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 :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과육과 씨앗 추출물의 피부상재균에 대한 항균활성

논문상세정보
' 연구논문 :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과육과 씨앗 추출물의 피부상재균에 대한 항균활성'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antimicrobial
  • flesh
  • schisandra chinensis extract
  • seed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36 0

0.0%

' 연구논문 :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과육과 씨앗 추출물의 피부상재균에 대한 항균활성' 의 참고문헌

  • 한약재 추출물의 항균효과 검색
    박욱연 한국영양식량학회지 21 (1) : 91 ~ 96 [1992]
  • 지표수에서의 분변오염지표세균 (대장균군) 검출방법의 비교연구
    박지은 한국물환경학회지 22 (6) : 1052 ~ 1059 [2006]
  • 정상부인 및 질염환자의 질내 균종에 관한 비교 연구
    김옥화 대한병리학회지 17 (3) : 288 ~ 296 [1983]
  • 오미자종자의 항산화성, 항균성, 아질산염소거능
    정기태 한국식품과학회지 32 (4) : 928 ~ 935 [2000]
  • 오미자의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효과
    이신호 한국식품영양학회지 27 (2) : 239 ~ 243 [1998]
  • 오미자로부터 항균활성 물질의 분리 및 항균효과
    이주연 한국식품과학회지 33 (3) : 389 ~ 394 [2001]
  • 오미자 추출물의 항균활성
    정강현 한국식품영양학회지 30 (1) : 127 ~ 132 [2001]
  • 오미자 추출물의 항균물질 분리
    이상호 한국식품과학회지 35 (3) : 483 ~ 487 [2003]
  • 오미자 발효액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과 미용효과
    조은경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53 (4) : 212 ~ 218 [2010]
  • 여드름병변에서 채취한 Propionibacterium acnes의 분리, 동정 및 생화학적 특성 연구
    이경숙 한국의류산업학회지 8 (5) : 571 ~ 576 [2006]
  • 여드름 원인균의 성장에 미치는 오미자와 솔잎의 효과
    성준모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31 (1) : 69 ~ 74 [2003]
  • 식물 추출물의 Pityrosporum ovale 및 Candida albicans에 대한 항진균 활성
    장소영 생약학회지 34 (4) : 303 ~ 307 [2003]
  • 비듬유발균 (Pityrosporum ovale) 에 대한 은행잎으로부터 추출한 Ginkgolide 및 Bilobalide의 항진균 효과
    이인화 KSBB Journal 25 (2) : 173 ~ 178 [2010]
  • 백반증 환자의 표피이식 부위에 발생한 표재성 칸디다 감염
    하동주 대한의진균학회지 5 (4) : 179 ~ 181 [2000]
  •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생육에 미치는 오미자 추출물의 영향
    이신호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25 (2) : 224 ~ 228 [1997]
  • Treatment of pityriasis versicolor with ketoconazloe
    Borelli D. Rev. Infect. Dis. 4 : 592 ~ [1980]
  • The relationship between seborrhea and acne vulgaris
    Burton JL Br. J. Dermatol. 84 : 600 ~ 604 [1971]
  • The follicular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resident bacteria on human skin
    Kearney JK J. Gen. Microbiol 130 : 797 ~ 801 [1984]
  • Sherris Medical Microbiology
    Ryan KJ McGraw Hill : 635 ~ 636 [2004]
  • Review of the innate immune response in acne vulgaris: activation of Toll-like receptor 2in acne triggers inflammatory cytokine responses
    Kim J. Dermatology(Basel) 211 (3) : 193 ~ 198 [2005]
  • Proteomic identification of secreted proteins of Propionibacterium acnes
    Holland C BMC Microbiol 10 (1) : 230 ~ [2010]
  •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nhibiting the proliferation of Propionibacterium acnes and Staphylococcus epidermidis
    Kang SM J. Bacteriol. Virol. 39 (1) : 11 ~ 19 [2009]
  • Inhibition of Foodborne Pathogens and Spoilage Bacteria and Their Structural Changes by Ethanol Extract of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김세령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22 (1) : 109 ~ 119 [2012]
  • Escherichia coli O157:H7 outbreak associated with consumption of ground beef, June-July 2002
    Vort R Public Health Rep.( 120 (2) : 174 ~ 178 [2005]
  • Candida Comparative and Functional Genomics
    D'Enfert C Caister Academic Press : 263 ~ [2007]
  • Biosynthesis of vitamin K (menaquinone) in bacteria
    Bentley R Microbiol. Rev. 46 (3) : 241 ~ 280 [1982]
  • Bacteria in Biology, Biotechnology and Medicine
    Singleton P. Wiley : 444 ~ 454 [1999]
  • Acne and sebaceous gland function
    Zouboulis CC. Clin. Dermatol. 22 (5) : 360 ~ 366 [2004]
  • A survey of antifungal compounds from high plants
    Grayer RJ Phytochemistry 37 : 19 ~ 42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