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논문 : 18세기 후반~19세기 전반 연암그룹 지식인들의 천(天) 인식

논문상세정보
' 일반논문 : 18세기 후반~19세기 전반 연암그룹 지식인들의 천(天) 인식'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hongkil-chu
  • hongtae-yong
  • pak chi-won
  • song tae-chung
  • thetheoryofheavensrewardandnemesis
  • yonam group
  • 박지원
  • 성대중
  • 연암그룹
  • 인과보응론
  • 홍길주
  • 홍대용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86 0

0.0%

' 일반논문 : 18세기 후반~19세기 전반 연암그룹 지식인들의 천(天) 인식' 의 참고문헌

  • 林下筆記
  • 栗谷全書
  • 중국철학사 상하
    풍우란 까치 [1999]
  • 중국고대철학의 天학설
    유문영 인문연구논집 3 [1998]
  • 주역철학사
    廖名春 예문서원 [1994]
  • 조선 후기 낙론계 학풍의 형성과 전개
    조성산 지식산업사 [2007]
  • 역학철학사 3
    朱伯崑 소명출판사 [2012]
  • 수정증보판 연암그룹 연구
    오수경 월인 [2013]
  • 서학을 만난 조선 유학의 인간 이해 — 홍대용과 정약용을 중심으로 —
    김선희 동양철학연구 (68) : 41 ~ 78 [2011]
  • 범애와 평등
    박희병 돌베개 [2013]
  • 맹자에서 자연과 도덕본성 사이의 일관성과 모순성 문제
    엄연석 인문과학연구 14 [2008]
  • 韓國近代에 있어서 勸善書의 流行에 대하여-三敎融會와 善
    양은용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20 [1996]
  • 靑城雜記의 사상과 문학성-試論 10
    최경렬 [2004]
  • 靑城雜記에 나타난 18세기 조선의 사회상
    노대환 선비문화 19 [2011]
  • 靑城雜記
  • 靑城 成大中의 史論 散文 硏究 ― 『靑城雜記』 「揣言」을 중심으로
    손혜리 대동문화연구 (80) : 367 ~ 399 [2012]
  • 退溪集
  • 退溪先生言行錄
  • 花潭集
  • 縹礱乙㡨
  • 石洲集
  • 皇極經世書
  • 燕巖의 우정론과 西學의 영향 -마테오 리치의「交友論」을 중심으로-
    김명호 고전문학연구 (40) : 265 ~ 288 [2011]
  • 燕巖集
  • 燕巖一派 北學思想 硏究
    유봉학 일지사 [1995]
  • 湛軒書
    洪大容 [1939]
  • 朝鮮後期時憲曆도입 과정의 대립과 갈등-顯宗年間(1660~1674)의논의를 중심으로
    구만옥 한국과학사연구 40년과 한국근대과학 100년(한국과학사회 학술대회 논문집) [2000]
  • 朝鮮後期善書의 倫理思想硏究
    최혜영 한국교원대 [1997]
  • 朝鮮後期 批評談論의 두 가지 흐름 ― 燕巖과 茶山의 차이에 대하여
    고미숙 대동문화연구 41 : 1 ~ 25 [2002]
  • 智水拈筆
  • 周易의 宗敎性에 관한 小考
    김재홍 동양철학연구 (65) : 221 ~ 250 [2011]
  • 中國古代宗敎史硏究
    地田末利 東海大學出版社 [1981]
  • 中國先秦政治思想에서의 天의 성격
    김명하 한국정치학회보 30 [1996]
  • 『청성잡기(靑城雜記)』를 통해 본 거지와 거지 이야기
    김준형 민족문학사연구 (40) : 168 ~ 192 [2009]
  • 『靑城雜記』에 대한 일고찰
    孫惠莉 동방한문학 24 : 141 ~ 172 [2003]
  • 『熱河日記』와 『天主實義』
    김명호 한국한문학연구 (48) : 333 ~ 358 [2011]
  • ‘내부⇄외부’에 대한 두 개의 시선-이덕무와 박제가 -
    김대중 한국사연구 (162) : 165 ~ 209 [2013]
  • 18세기 후반~19세기 중반 노론 척사론의 전개
    노대환 조선시대사학보 (46) : 199 ~ 233 [2008]
  • 18세기 후반~19세기 전반 주자학적 지식체계의 균열과 그 의미
    조성산 역사교육 (110) : 61 ~ 102 [2009]
  • 17세기 후반 경기지역 西人象數學風의 형성과 의미
    조성산 한국사연구 115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