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논문 : 근대적 시간체제 비판과 민속적 시간문화의 가치 재인식

논문상세정보
' 일반논문 : 근대적 시간체제 비판과 민속적 시간문화의 가치 재인식'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annual customs
  • modern society
  • modern time
  • money
  • traditional temporal culture
  • 근대적 시간체제
  • 민속적 시간문화
  • 세시풍속
  • 시간문화
  • 화폐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53 0

0.0%

' 일반논문 : 근대적 시간체제 비판과 민속적 시간문화의 가치 재인식' 의 참고문헌

  • 현대 사회의 세시풍속에 살아남은 전통성의 변모 양상
    박성식 경남문화연구 21 : 71 ~ 136 [1999]
  • 한국전쟁과 자본축적
    신광영 아시아문화 16 : 311 ~ 335 [2000]
  • 한국의 세시풍속-서울․경기․강원․충청도 편 1, 1997; 한국의 세시풍속-전북․전남․경북․경남․제주 편 2, 1998․김명자, 한국세시풍속 1-1970년대~1980년대 조사자료
    국립민속박물관 민속원 [2005]
  • 한국의 세시풍속
  • 한국세풍속연구
    임동권 집문당 [1985]
  • 한국세시풍속연구
    김명자 경희대 [1989]
  • 한국세시풍속 2-1980년대 서산 태안지역 조사자료
    김명자 [2007]
  • 한국생활사박물관 9
  • 한국사-식민지시기의 사회경제 2
    강만길 한길사 [1995]
  • 한국민속연구사
    김명자 지식산업사 : 361 ~ 376 [1994]
  • 한국농경세시의 연구
    김택규 영남대 출판부 [1985]
  • 한국 크리스마스의 역사-‘통금 해제의 감격’에서 ‘한국형 다원주의’로
    강준만 인물과 사상 105 : 155 ~ 205 [2007]
  • 한국 크리스마스 前史, 1884~1945-이원적 크리스마스 문화의 형성
    방원일 종교문화연구 11 : 79 ~ 107 [2008]
  • 한국 전근대 역사와 시간
    박성래 역사비평 50 : 171 ~ 183 [2000]
  • 한국 세시풍속의 변화와 문화콘텐츠화 연구
    최명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3]
  • 한국 세시풍속 자료 집성 , 국립민속박물관 자료총서 1~5권([제1권(2003): 삼국․고려시대편; 제2권(2003): 신문․잡지편(1876~1945); 제3권(2004): 조선전기 문집편; 제4권(2005): 조선후기문집편; 제5권(2006): 현대신문편(1946-1970)])․
  • 한국 세시풍속 사전 , 제1권 정월편(2004), 제2권 봄편(2005), 제3권 여름편(2005), 제4권 가을편(2006), 제5권 겨울편(2006), 제6권 색인편(2007)․
  • 한국 농경세시의 이원성
    김택규 한국문화인류학 20 : 107 ~ 134 [1988]
  • 한 해, 사계절에 담긴 우리 풍속
    국사편찬위원회 경인문화사 [2011]
  • 폭력과 성스러움
    르네 지라르 민음사 [2000]
  • 편쌈 소멸의 문화사: 식민지의 근대주의와 놀이 대중의 저항
    유선영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86) : 5 ~ 46 [2010]
  • 크리스마스의 도입과 세시풍속화 과정에 대한 연구 ―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를 중심으로
    염원희 국학연구 (22) : 299 ~ 330 [2013]
  • 총괄편 세시풍속 (2006), 전라남도 세시풍속 (2003), 전라북도 세시풍속 (2003), 경상북도 세시풍속 (2002), 경상남도 세시풍속 (2002), 충청남도 세시풍속 (2002), 강원도 세시풍속 (2001), 경기도 세시풍속 (2001), 충청북도 세시풍속 (2001), 제주도 세시풍속 (2001)․
  • 철학과 굴뚝청소부
    이진경 그린비 [2013]
  • 중국 대세시기 , 국립민속박물관 세시기번역총서 3~4권([제3권(2006): 형초세시기 , 초학기 , 동경몽화록 , 세화기려보 ; 제4권(2006): 희조락사 , 제경경물략 , 제경세시기승 , 연경세시기 ])
  • 조선총독부 기관지 조선 소재-1920~30년대 세시풍속
  • 조선의 '세시기(歲時記)'에서의 사회적 시간 의식에 관하여
    박태호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66) : 294 ~ 327 [2004]
  • 조선시대 달력의 변천과 세시의례
    이창익 창비 [2013]
  • 조선대세시기 , 국립민속박물관 세시기 번역총서 1~2권, 5~6권([제1권(2003): 세시기(추재집) , 세시기속(면암집) , 한양세시기 , 세시잡영 , 농가십이월속시 , 명절풍속(해동죽지) ; 제2권(2005): 세시풍요 , 세시잡영 , 원조희작 , 원석 , 비년사 , 도도곡 , 상원요 , 우오절 , 농제속담 , 상원리곡 , 상원죽지사 , 상원잡영 ;제5권(2007): 경도잡지 , 열양세시기 , 동국세시기 ; 제6권(2007): 동경잡기 ])
  • 조선 후기의 농경의례와 세시
    김택규 정신문화연구 16 (4) : 81 ~ 105 [1993]
  • 조선 후기 세시기에 나타난 역법 학적 시간 인식과 도교 민속 연구
    김일권 역사민속학 (29) : 145 ~ 184 [2009]
  • 일제말기 파시즘과 한국사회
    최원규 청아 [1988]
  • 인체시장
    로리 앤드루스 궁리 [2006]
  • 인간 불평등 기원론
    장 자크 루소 책세상 [2003]
  • 영남민속의 복합성-잡곡문화와 수도문화의 이원성
    김택규 한국학논집 16 : 193 ~ 204 [1989]
  • 역사와 기억 그리고 재현의 정치
    戴錦华 문화과학 79 : 286 ~ 305 [2014]
  • 신자유주의 세계화의 공간들
    데이비드 하비 문화과학사 [2010]
  • 시헌력 역주에 나타난 시간 선택의 의미
    이창익 종교문화비평 1 : 255 ~ 301 [2002]
  • 시간의 경제와 문화사회론
    강내희 마르크스주의 연구 8 (4) : 196 ~ 225 [2011]
  • 송천동의 가신신앙과 세시풍속
    김명자 안동문화 9 : 55 ~ 93 [1988]
  • 세시풍속의 전승과 현대화 방안 모색.
    김명자 민속연구 13 : 145 ~ 166 [2004]
  • 세시풍속의 역사와 변화
    서해숙 민속원 [2010]
  • 세시풍속의 순환의미
    김명자 한국민속학 16 : 53 ~ 76 [1983]
  • 세시풍속의 변화와 공휴일 정책의 문제
    임재해 비교민속학 10 : 21 ~ 50 [1993]
  • 세시풍속의 미래전설
    천진기 한국문화연구 7 : 265 ~ 282 [2003]
  • 세시풍속의 기반 변화와 현대적 변용
    김만태 비교민속학 (38) : 317 ~ 349 [2009]
  • 세시풍속의 기능과 그 변화
    김명자 민속연구 2 : 233 ~ 255 [1990]
  • 세시풍속을 통해본 물의 종교적 기능
    김명자 한국민속학 49 : 157 ~ 182 [2009]
  • 세시풍속을 통해 본 윤달의 의미
    김명자 고문화 49 : 171 ~ 186 [1996]
  • 세시풍속에 나타난 禳鬼俗
    임동권 한국문화인류학 5 (1) : 135 ~ 149 [1972]
  • 세시풍속 전통지식기술의 개발가치 평가와 활용방안 분석
    김미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7 (4) : 175 ~ 197 [2006]
  • 세시풍속
    임재해 한국민속학 23 : 285 ~ 308 [1990]
  • 세시와 주거공간의 관련 양상
    배영동 비교민속학 (37) : 109 ~ 136 [2008]
  • 세시와 생업의 불이 관계 : '오방풍토부동'의 법칙
    주강현 역사민속학 19 (19) : 7 ~ 51 [2004]
  • 세시 관련 기록들을 통해 본 조선시기 세시풍속의 변화
    정승모 역사민속학 13 : 49 ~ 69 [2001]
  • 세미나 11에 대하여: 아파니시스라는 질문
    최원 라깡과 현대정신분석 15 (1) : 177 ~ 210 [2013]
  • 설과 보름 민속의 대립적 성격과 유기적 상관성
    임재해 한국민속학 19 : 295 ~ 319 [1986]
  • 서양인이 본 한국의 세시풍속
    서영수 사학지 46 : 269 ~ 293 [2013]
  • 상징으로부터 떠나는가, 상징을 향해 떠나는가? 지젝의 이데올로기의숭고한 대상 비판
    최원 문화과학 75 : 331 ~ 355 [2013]
  • 상대의 세시풍속과 그 전승 맥락
    이경엽 남도민속연구 (5) : 115 ~ 144 [1999]
  • 사월초파일의 민속화 과정 연구
    진철승 역사민속학 15 : 231 ~ 250 [2002]
  • 불교의례 풍속의 의미 연구-정기의례를 중심으로-
    김용덕 비교민속학 (46) : 227 ~ 254 [2011]
  • 불교민속학의 연구서설-불교계 세시풍속을 중심으로
    이창식 한국민속학 26 : 301 ~ 334 [1994]
  • 백중의 기원과 성격-농경기원신화 세경본풀이와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이수자 한국민속학 25 : 267 ~ 300 [1993]
  • 민속적 시공간과 근대적 시공간
    이창익 민속학연구 7 : 161 ~ 196 [2000]
  • 민속예술의 본질적 성격과 인간해방 기능
    임재해 비교민속학 23 [2002]
  • 민속연구에서 문화이론의 문제설정
    이영배 비교민속학 (47) : 11 ~ 48 [2012]
  • 민속과 불교신앙-세시풍속을 중심으로
    진철승 승가 10 : 208 ~ 214 [1993]
  • 물맞이 세시풍속과 물의 생명성
    김재호 비교민속학 (36) : 363 ~ 390 [2008]
  • 문화와 시장 : 신자유주의 시대의 한국 문화
    강내희 마르크스주의 연구 5 (2) : 235 ~ 258 [2008]
  • 마을사회에서 세시풍속의 조사와 연구
    김명자 민속연구 11 : 101 ~ 132 [2002]
  • 동계성병희박사화갑기념 민속학논총
    김명자 형설출판사 : 357 ~ 379 [1990]
  • 도시생활과 세시풍속
    김명자 한국민속학 41 : 17 ~ 50 [2005]
  • 도시생활 속의 세시풍속
    박환영 중앙민속학 11 : 51 ~ 63 [2006]
  • 단오에서 추석으로-안동지역 세시풍속의 지속성과 변화
    임재해 한국문화인류학 21 : 341 ~ 365 [1989]
  • 농업생산형태 변화에 따른 초연의 소멸과 대체의례 등장-경북 영양군 수비면 수하리의 사례
    배영동 역사민속학 12 : 125 ~ 151 [2001]
  • 논문 : 성스러움의 테크닉 -세시기를 통해 본 우주론적 시공간의 형태론-
    이창익 종교와 문화 (10) : 207 ~ 232 [2004]
  • 나쁜 과학
    매완 호 당대 [2005]
  • 근대화에 따른 세시풍속의 변동과정
    김명자 문화재 (22) : 57 ~ 74 [1989]
  • 근대적 시공간체제와 사회이론
    정근식 민족문화논총 26 : 159 ~ 185 [2002]
  • 근대적 시간관념과 이윤개념의 내면화: 새마을부녀지도자의 노동활동 경험을 중심으로
    최인이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90) : 111 ~ 143 [2011]
  • 근대적 시간과 일상의 표준화
    이창익 역사비평 (59) : 405 ~ 420 [2002]
  • 근대적 대중의 형성과 문화의 전환
    유선영 언론과 사회 17 (1) : 42 ~ 101 [2009]
  • 궁중 내농작과 농가 내농작의 의미와 기능-궁중풍속과 민속의 관계를 생각하며-
    배영동 한국민속학 45 : 95 ~ 142 [2007]
  • 공산주의라는 쟁점-바디우와 발리바르
    최원 문화과학 79 : 308 ~ 329 [2014]
  • 객관주의 100년의 형식화 과정
    유선영 언론과 사회 10 : 86 ~ 128 [1995]
  • 가사에 치인 당신은 ‘시간빈곤층’
    조계완 한겨레 21 [2014]
  • 歲時風俗에 미친 佛敎民俗
    오출세 불교문화연구 5 : 181 ~ 201 [2005]
  • 歲時記에 나타난 농업주술
    임동권 어문논집 19 (1) : 179 ~ 191 [1977]
  • 歲時紀俗詩를 통한 조선 후기 歲時風俗의 의미와 양상
    신장섭 비교문학 (46) : 185 ~ 213 [2008]
  • Body bazaar-the market for human tissue in the biotechnology age
    Lori B. Andrews Crown Publishers [2001]
  • A Brief History of Neoliberalism
    David Harvey University Press [2005]
  • <동국세시기 >의 기술 태도와 특징- <경도잡지 > <열양세시기 >와의 비교를 통하여
    장장식 한국의 민속과 문화 2 : 191 ~ 218 [1999]
  • 3·1운동 이후의 근대 주체 구성 ―식민적 근대주체의 리미널리티
    유선영 대동문화연구 (66) : 255 ~ 295 [2009]
  • 1957~58년 세미나에서의 라캉의 이중전선-욕망의 그라프 구축의 쟁점들
    최원 진보평론 58 : 224 ~ 251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