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상세정보
' 오미자 첨가율이 오디청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식품과 식료
  • addition ratio
  • mulberry
  • omija (schisandra chinensis baillon)
  • quality characteristics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803 0

0.0%

' 오미자 첨가율이 오디청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의 참고문헌

  • 화장품 소재를 위한 오디 발효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권혁년 대한미용학회지 9 (3) : 221 ~ 227 [2013]
  • 품종을 달리한 오디즙 첨가 샐러드 드레싱의 품질특성
    이정애 한국조리학회지 18 (2) : 216 ~ 227 [2012]
  • 품종을 달리한 오디 추출물의 Resveratrol 및 기능성 성분과 항산화 활성
    최일숙 원예과학기술지 30 (3) : 301 ~ 307 [2012]
  • 품종에 따른 오디와 오디발효주의 특성
    김혜련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49 (3) : 209 ~ 214 [2006]
  • 최소가공기술을 이용한 오디 과실주스의 제조
    김인숙 한국식품과학회지 36 (2) : 321 ~ 328 [2004]
  • 용매에 따른 뽕잎과 오디의 생리활성 효과
    주민정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16 (3) : 442 ~ 448 [2009]
  • 오미자첨가 연근정과의 제조와 저장중 품질 변화
    권후자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17 (4) : 457 ~ 465 [2010]
  •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Baillon) 추출물 첨가 Drinkable Yoghurt의 제조 및 특성
    홍경현 한국식품영양학회지 17 (2) : 111 ~ 119 [2004]
  • 오미자 추출물의 구강병원균에 대한 항균효과 및 구취억제 효과
    허남숙 생명과학회지 23 (3) : 443 ~ 447 [2013]
  • 오미자 추출물을 첨가한 두부의 품질특성
    최선영 한국식품영양학회지 21 (1) : 43 ~ 50 [2008]
  • 오미자 추출물을 첨가한 도라지와 연근 정과의 품질특성
    권후자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16 (1) : 53 ~ 59 [2009]
  • 오미자 열매 추출액을 첨가한 식혜의 품질특성
    이준호 산업식품공학 15 (1) : 80 ~ 84 [2011]
  • 오미자 물 추출물을 이용한 물김치의 품질특성
    정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7 (10) : 1301 ~ 1306 [2008]
  • 오디분말을 첨가한 요구르트의 품질 및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성정민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3 (5) : 690 ~ 697 [2014]
  • 오디박 첨가 모닝빵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성
    김현정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29 (6) : 769 ~ 776 [2013]
  • 오디를 첨가한 막걸리의 발효기간 중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
    김은경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2 (10) : 1682 ~ 1689 [2013]
  • 오디 추출물이 갱년기 유도 흰쥐의 혈행 개선에 미치는 영향
    김미향 생명과학회지 17 (4) : 575 ~ 580 [2007]
  • 오디 추출물의 알코올 분해능 및 항산화 효과
    이은주 한국식품영양학회지 24 (2) : 204 ~ 209 [2011]
  • 오디 착즙액을 이용한 와인발효 특성
    김강일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17 (4) : 563 ~ 570 [2010]
  • 오디 와인 제조 및 품질특성
    정기태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12 (1) : 90 ~ 94 [2005]
  • 오디 색소의 안정성
    강창수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2 (7) : 960 ~ 964 [2003]
  • 수침 조건을 달리하여 제조한 오미자 추출액의 이화학적 특성
    한은숙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18 (3) : 368 ~ 375 [2008]
  • 생마즙과 오디가 첨가된 오미자청 샐러드드레싱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성
    김형돈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28 (5) : 531 ~ 540 [2012]
  • 산야초 발효액의 품질 특성
    안유복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3 (11) : 1731 ~ 1736 [2014]
  • 뽕나무(Morus alba L.) 품종별 오디의 영양 및 기능성 성분과 이화학적 품질 특성 비교
    김은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9 (10) : 1467 ~ 1475 [2010]
  • 복분자 음료의 이화학적 특성 및 묘사적 관능평가
    양향숙 한국생활과학회지 21 (2) : 363 ~ 376 [2012]
  • 건조조건에 따른 오디분말을 첨가한 마들렌의 품질특성
    이민애 한국조리학회지 19 (4) : 13 ~ 24 [2013]
  • The constituents of Schizandra chinensis Baill. Ⅰ. isolation and structure determination of five new lignans, gomisin A, B, C, F and G and the absolute structure of Schizandrin
    Ikeya Y Chem Pharmacol Bull 27 : 1383 ~ 1394 [1979]
  • The Effects of Mulberry Fruit on the Antioxidative Defense Systems and Oxidative Stress in the Erythrocytes of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ung-Hee Hong Nutritional Sciences 7 (3) : 127 ~ 132 [2004]
  • Scavenging effects on active oxygen radicals by schizandrins with different structures and configurations
    Li XJ Free Radic Biol Med 9 : 99 ~ 104 [1990]
  • On the proximate composition, organic acids and anthocyanin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Kim KI Korean J Food Sci Technol 5 : 178 ~ 182 [1973]
  • In vitro system에서 오미자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신경세포 보호효과
    김지혜 한국식품과학회지 41 (6) : 712 ~ 716 [2009]
  • Identification of a novel anti-inflammatory compound, α-cubebenoate from Schisandra chinensis
    Kang S J Ethnopharmacol 153 : 242 ~ 249 [2014]
  • Gomisin A, a lignan component of Schizandora fruits, inhibits development of preneoplastic lesions in rat liver by 3'-methyl-4-dimethylamino-azobenzene
    Nomura M Cancer Lett 76 : 11 ~ 18 [1994]
  • Effects of water extract of the part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on metabolism in normal rats
    Lee JS Korean J Dietary Culture 4 : 253 ~ 256 [1989]
  • Effects of extraction temperature of plum(Japenese apricote)extract juice by osmosis of yellow sugar
    Lee SD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Agric Products 3 : 131 ~ 136 [1996]
  • Effects of Schizandra chinensis fructus on the immunoregulatory action and apoptosis of L120 cells
    Kwon J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 384 ~ 388 [2001]
  • Effect of ultra-high pressure homogenisation processing on phenolic compounds, antioxidant capacity and anti-glucosidase of mulberry juice
    Yu Y Food Chem 153 : 114 ~ 120 [2014]
  •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purified mulberry(Morus australis Poir)anthocyanins suppresses body weight gain in high-fat diet fed C57BL/6 mice
    Wu T Food Chem 141 : 482 ~ 487 [2013]
  • Deoxycholic acid as an endogenous risk factor for hepatocarcinogenesis and effects of gomisin A, a lignan component of Schizandra fruits
    Ohtaki Y Anticancer Res 16 : 751 ~ 755 [1996]
  • Chemical composition of white (Morus alba), red (Morus rubra) and blank (Morus nigra)mulberry fruits
    Ercisli S Food Chem 103 : 1380 ~ 1384 [2007]
  • Changes in flavor component of Omija, Shizandra chinensis Baillon, with various extraction time
    Kim YM Korean J Soc Food Sci 7 : 27 ~ 34 [1991]
  • Changes in flavor component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with various extraction times
    Kim YM Korean J Soc Food Sci 7 : 27 ~ 31 [1991]
  • Antitumor and antiangiogenic activity of Schisandra chinensis polysaccharide in a renal cell carcinoma model
    Qu HM Int J Biol Macromol 66 : 52 ~ 56 [2014]
  • Antioxidant activity of mulberry fruit extracts
    Arfan M Int J Mol Sci 13 : 2472 ~ 2480 [2012]
  • Antioxidant Activities and Phenolic Compounds Compositionof Extracts from Mulberry (Morus alba L.) Fruit
    In Soo Bang 한국약용작물학회지 15 (2) : 120 ~ 127 [2007]
  • Antimicrobial activity of Omija(Schizandra chinensis). extracts
    Chung KH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 127 ~ 132 [2001]
  • Antiimflammatory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Morus spp. fruit extract
    Kim SY Korean J Medicinal Crop Sci 6 : 204 ~ 209 [1998]
  • Anthocyanin-rich Mulberry extract inhibit the gastric cancer cell growth in vitro and xenograft mice by inducing signals of p38/p53 and c-jun
    Huang HP Food Chem 129 : 1703 ~ 1709 [2011]
  • An herbal prescription, S-113m, consisting of biota, ginseng and schizandra, improves learning performance in senescence accelerated mouse
    Nishiyama N Biol Pharm Bull 19 : 388 ~ 393 [1996]
  • A study on the antidiabetic effect of mulberry fruits
    Kim TW Korean J Seric Sci 38 : 100 ~ 107 [1996]
  • 4배성 휘커스(Ficus-4x)오디품종의 영양성분 및 항산화능 검색
    김애정 한국식품과학회지 36 (6) : 995 ~ 1000 [2004]
  • 2013 National Health Statistics : 445 ~ 4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