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화(物化)가 보여준 오장환 시의 근대성

' 물화(物化)가 보여준 오장환 시의 근대성'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한국문학
  • capitalism
  • colony
  • commercialization
  • exchangevalue
  • imaginarycommunity
  • marginal man
  • modernity
  • oh jang-hwan
  • reification
  • 교환가치
  • 근대성
  • 물화
  • 상상의 공동체
  • 상품화
  • 식민지
  • 오장환
  • 자본주의
  • 주변인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5,340 0

0.0%

' 물화(物化)가 보여준 오장환 시의 근대성' 의 참고문헌

  • 현대시에 나타난 ‘공동체’ 연구 - 1990년대 시를 중심으로 -
    손민달 어문학 (118) : 305 ~ 333 [2012]
  • 한국현대시사
    남기혁 민음사 [2007]
  • 한국문학의 근대와 근대성
    유성호 소명출판 [2006]
  • 한국 현대시문학사
    김유중 소명출판 [2005]
  • 한국 모더니즘 문학 연구
    서준섭 일지사 [1988]
  • 한국 근대 문학과 ‘민족’(民族)이라는 상상 공동체-민족주의적 정열, 혹은 한국 근대문학 형성의 주동력
    한형구 한국근대문학연구 12 (12) : 202 ~ 236 [2005]
  • 짐멜의 모더니티 읽기
    게오르그 짐멜 새물결 [2005]
  • 임화평론집
    임화 서음출판사 [1989]
  • 이상, 욕망의 기호
    김승구 월인 [2004]
  • 이름 없는 공동체:레비나스와 블랑쇼에 대해
    박준상 철학과 현상학 연구 (18) : 3 ~ 141 [2002]
  • 유곽의 역사
    홍성철 페이퍼로드 [2007]
  • 오장환 평전
    김학동 새문사 [2004]
  • 오장환 전집
    김재용 실천문학사 [2002]
  • 오장환 시의 육체와 퇴폐, 그리고 모럴의 문제-해방 이전의 시 창작을 중심으로
    남기혁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16 (1) : 155 ~ 190 [2012]
  • 오장환 시의 여성성에 나타난 현실 인식 방법 연구
    김종태 한국시학연구 (14) : 209 ~ 235 [2005]
  • 오장환 시의 부정의식 연구* - 초기시를 중심으로
    이현승 한국시학연구 (25) : 227 ~ 248 [2009]
  • 오장환 시의 모더니티 연구
    서지영 한국근대문학연구 (3) : 137 ~ 160 [2001]
  • 오장환 시 연구-비판적 인식이 변모과정을 중심으로
    박윤우 서울대 [1989]
  • 오장환 시 연구
    도종환 충남대 [2005]
  • 역사와 계급의식
  • 식민지 지식인의 근대 풍경에 대한 내면의식과 시적 양식의 모색 - 1930년대 오장환의 경우 -
    김용희 한국문학논총 (43) : 229 ~ 258 [2006]
  • 시와 리얼리즘
    최두석 창작과비평사 [1996]
  • 소통과 상황의 시학
    백수인 국학자료원 [2007]
  • 섹슈얼리티의 매춘화
    캐슬린 배리 삼인 [2002]
  • 부정의 아이러니와 환멸의 낭만주의 - 오장환 초기시의 시의식
    장만호 비평문학 (32) : 173 ~ 196 [2009]
  • 반근대적 상상력의 임계들 : 식민지 조선 담론장에서의 전통․세계․주체
    차승기 푸른역사 [2009]
  • 물화 인정이론적 탐구
    악셀 호네트 나남출판
  • 문화산업에 의해 물화된 몸과 그 비판으로서의 아도르노의 몸
    최준호 철학연구 (36) : 215 ~ 241 [2008]
  • 김기림 전집2 시론
    김기림 심설당 [1988]
  • 극단의 예언자들:니체, 하이데거, 푸코, 데리다
    앨런 매길 새물결 [1996]
  • 그림을 통해 본 가부장적 근대 유럽에서 활용한 여성 이미지의 이중성
    전경옥 아시아여성연구 50 (2) : 165 ~ 210 [2011]
  • 권력자들의 만찬
    로이 스트롱 넥서스 [2005]
  • 교지 『徽文』의 오장환 ―발굴작을 중심으로 본 오장환 문학의 기원
    장석원 Journal of korean Culture 23 : 39 ~ 73 [2013]
  • 계몽의 변증법
    테오도르 아도르노 문학과지성사 [2001]
  • 1930년대 후반 시의 도시표상 연구 - 오장환, 김광균, 박팔양을 중심으로
    고봉준 한국시학연구 (25) : 109 ~ 138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