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항쟁’의 역사화 투쟁과 문학적 표상 - 조선문학가동맹의 1947년 위기 극복의 방법론 -

조은정 2015년
논문상세정보
' ‘10월항쟁’의 역사화 투쟁과 문학적 표상 - 조선문학가동맹의 1947년 위기 극복의 방법론 -'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10월 인민항쟁
  • <문학>지
  • culturepopularizationmovement
  • daeguevent
  • democraticnationalliterature
  • hwangsoon-won
  • koreanwritersalliance
  • octoberpeoplesuprising
  • “literature” journal
  • 대구사건
  • 문화대중화운동
  • 민주주의민족문학
  • 조선문학가동맹
  • 황순원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47 0

0.0%

' ‘10월항쟁’의 역사화 투쟁과 문학적 표상 - 조선문학가동맹의 1947년 위기 극복의 방법론 -' 의 참고문헌

  • 해제-김남천의 해방기 문학과 『시월(十月)』
    이희환 민족문학사연구 35 : 503 ~ 522 [2007]
  • 해방직후 10월항쟁의 시적 형상화 과정 연구
    박용찬 국어교육연구 : 275 ~ 304 [1993]
  • 해방전후사의 인식 2
    성한표 한길사 [1985]
  • 해방기 조선문학가동맹의 문화대중화 담론과 조직적 실천
    박정선 어문학 (93) : 433 ~ 469 [2006]
  • 해방기 문화공작대의 의제와 성격
    조은정 상허학보 41 : 283 ~ 327 [2014]
  • 해방공간에서의 10월항쟁-그 의미와 평가
    정해구 통일문제연구 30 [2011]
  • 한국현대문학사
    김선학 동국대학교출판부 [2001]
  • 폭풍의 10월
    정영진 한길사 [1991]
  • 조선문학가동맹 ‘詩部’의 시 대중화 운동과 시론
    박민규 한국시학연구 (33) : 183 ~ 217 [2012]
  • 전형기의 작품들-전진하는 문학과 퇴보하는 문학
    백철 경향신문 [1947]
  • 자료-김남천 연재소설 『十月
    민족문학사연구 35 [2007]
  • 사회과학사전
    이석태 문우인서관 [1948]
  • 문학자의 새로운 임무-문화공작자로서의 문학자
    김영석 백제 [1947]
  • 문학
    현대문화사 [1999]
  • 동아일보
    [1937]
  • 동북아 한인 언론의 발자취, 1945〜1949
    이신철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3]
  • 대구와 10월항쟁-‘10. 1사건’을 보는 눈, 폭동에서 항쟁으로
    김일수 기억과 전망 8 : 145 ~ 157 [2004]
  • 기억의 ‘10․1사건’: 기억의 변경에서 변경의 기억으로
    이동진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97) : 5 ~ 45 [2013]
  • 경향신문
    [1946]
  • ‘기억함’과 ‘보았음’ ― ‘대구10월사건’ 소재 단편소설의 주체 문제를 중심으로 ―
    손미란 어문학 (123) : 293 ~ 322 [2014]
  • ‘10월 인민항쟁’의 소설적 형상화에 관한 고찰
    전흥남 한국언어문학 31 : 489 ~ 508 [1993]
  • 1946년 9월총파업과 10월항쟁의 상호 융합, 운동의 급진화
    김무용 대구사학 85 : 31 ~ 56 [2006]
  • 10월인민항쟁 연구
    정해구 열음사 [1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