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 일생의례 연구사

송재용 2015년
논문상세정보
'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 일생의례 연구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historyofresearch
  • japanese colonial period
  • lifetimetraditionalrituals
  • materials
  • modern civilization era
  • research outcome
  • 개화기
  • 연구사
  • 연구성과
  • 일생의례
  • 일제강점기
  • 자료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160 0

0.0%

'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 일생의례 연구사' 의 참고문헌

  • 林下筆記
  • 황성신문
    [1910]
  • 현대 한국 상례문화의 변화
    김시덕 한국문화인류학 40 (2) : 321 ~ 349 [2007]
  • 한국문학의 이해
    황패강 새문사 : 1 ~ 465 [1991]
  • 한국교회 초기 혼인관(婚姻觀)에 대한 연구애니 베어드(Annie L. Baird)의 고영규젼(高永規傳) (Two Short Stories) 를 중심으로
    오지석 기독교사회윤리 (12) : 75 ~ 96 [2006]
  • 출산의례의 변용과 근대적 변환-1940~1990
    주영하 한국의 민속과 문화 (7) : 201 ~ 232 [2003]
  • 조선후기 의례서에 나타난 혼례 연구
    이정숙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10]
  • 조선후기 서울 반가의 제례-기제의 준비 및 제수를 중심으로
    최배영 유교사상연구 (16) : 107 ~ 127 [2002]
  • 조선후기 상례의 미시적 연구-정재 류치명의 상례일기 『考終錄』을 중심으로-
    김미영 실천민속학 연구 12 : 237 ~ 257 [2008]
  • 조선총독부 기관지 「조선」 소재 혼례와 상제례
    최인학 채륜 : 1 ~ 235 [2013]
  • 조선중앙일보
  • 전통 상례의 변화를 통해 본 일제의 조선 인식 -일제강점기 신문, 잡지 기사를 중심으로-
    염원희 어문론집 (52) : 253 ~ 284 [2012]
  • 전통 관례와 현대 성년례 복식 연구
    김혜경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8]
  • 일제하 한국에서의 결혼과 이혼 및 출산 실태연구
    강병식 사학지 (28) : 419 ~ 447 [1995]
  • 일제시대 혼인결정과정을 통해서 본 혼인문화의 변화
    유가효 한국학논집 (36) : 417 ~ 450 [2008]
  • 일제강점기의 유교의례 변화양상 - 1930년대 『의례준칙』에서의 가정의례를 중심으로 -
    이희재 일본연구 (15) : 565 ~ 584 [2011]
  • 일제강점기 혼례문화의 지속과 변용 -택일․궁합․피로연․신혼여행을 중심으로-
    이영수 아시아문화연구 30 : 221 ~ 256 [2013]
  • 일제강점기 이후 한국혼례 양상의 변화에 관한 연구
    김선령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11]
  • 일제 후반기 결혼 예식과 혼수에 대한 사회사적 고착
    김주희 가족과 문화 15 (3) : 4 ~ 4 [2003]
  • 일생의례로 보는 근대 한국인의 삶
    송재용 채륜 : 1 ~ 328 [2013]
  • 우리나라 혼례복의 변천에 관한 연구-개화기 이후를 중심으로
    은영자 과학논집 (26) : 86 ~ 104 [2000]
  • 우리나라 婚禮服變遷에 관한 一硏究 : 開化期 以後의 婚禮服을 중심으로
    宋明見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74]
  • 시대일보
  • 상‧제례의 한국적 전개와 유교의례의 문화적 영향
    박종천 국학연구 (17) : 363 ~ 397 [2010]
  • 삼천리
  • 별건곤
  • 매일신보
    [1910]
  • 동아일보
    [1937]
  • 근대적 사고를 통해 본 근대시기 일생의례의 변화양상 고찰
    서종원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중점연구소 연구과제 학술대회 : 103 ~ 130 [2012]
  • 국민보
  • 구한말 서양인이 본 한국 의례 일고찰
    송재용 동양학 (36) : 45 ~ 74 [2004]
  •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 혼인유형과 혼례식의 변모양상
    이영수 아시아문화연구 28 : 151 ~ 184 [2012]
  •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 일생의례의 지속과 변용
    송재용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중점연구소 연구과제 학술대회 : 7 ~ 30 [2012]
  •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 일생의례 관련 자료집-일본어 잡지 편
    단국대 동양학연구원 채륜 : 1 ~ 492 [2012]
  •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 일생의례 관련 자료집-신문ㆍ잡지 편
    단국대 동양학연구원 채륜 : 1 ~ 197 [2012]
  •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 관ㆍ혼ㆍ상ㆍ제례의 지속과 변용
    송재용 동아시아고대학 (30) : 155 ~ 191 [2013]
  • 개화기 이후 한국 혼례복식의 변천동인과 미적특성 연구
    박정숙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4]
  • 개화기 서양인의 한국 의례에 대한 인식과 그 의미
    송재용 동양학 (38) : 291 ~ 302 [2005]
  • 개정증보판 한국 의례의 연구
    송재용 박문사 : 1 ~ 555 [2010]
  • 荷齋日記
  • 考終錄
  • 生活改善儀禮要覽
  • 朝鮮及滿洲
  • 朝鮮
  • 懸吐註解四禮便覽
  • 廣禮覽
  • 家禮輯解
  • 增補四禮便覽
  • 儀禮要覽
  • 儀禮備要
  • 『제국신문』에 나타난 혼인제도와 근대적 파트너십
    김현주 한국근대문학연구 (23) : 123 ~ 160 [2011]
  • 『林下筆記』에 나타난 儀禮 硏究
    송재용 동아시아고대학 (24) : 297 ~ 330 [2011]
  • The Capping Ceremony of Korea
    Eli Barr Landis Journal of the Anthropological Institute : 525 ~ 531 [1898]
  • Native Dyes and Methods of Dying in Korea
    Eli Barr Landis Journal of the Anthropological Institute : 453 ~ 457 [1897]
  • Mourning and Burial Rites of Korea
    Eli Barr Landis Journal of the Anthropological Institute : 340 ~ 361 [1896]
  • 1930-1940년대 출산풍속에 대한 사례 연구
    김주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0 (1) : 17 ~ 32 [2006]
  • 1920~1950년대의 출생의례복 -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
    김정아 복식 59 (7) : 1 ~ 16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