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귀촌인구 증가에 따른 제주도 촌락지역의 변화

논문상세정보
' 귀농·귀촌인구 증가에 따른 제주도 촌락지역의 변화'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아시아지리
  • jeju island
  • localorganization
  • rural area
  • tourism service sector
  • urban-to-rural migrants
  • 관광서비스업
  • 귀농 · 귀촌
  • 제주도
  • 지역조직
  • 촌락지역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059 0

0.0%

' 귀농·귀촌인구 증가에 따른 제주도 촌락지역의 변화' 의 참고문헌

  • 휴양펜션 등록현황(2008~2013) 자료
  • 휴양펜션 등록현황(2008~2013) 자료
    서귀포시청
  • 현대 촌락지리학 촌락 재구조화의 과정, 반응, 경험
    Woods, Michael 시그마프레스 [2014]
  • 한국 대도시의 인구이동 특성: 지리 적, 사회적 측면에서의 고찰
    권상철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3 (3) : 15 ~ 26 [2010]
  • 한겨레 프리즘 30대 이야기
    한겨레신문 esc매거진 2011년 3월 24일자 기사 [2011]
  • 취락지리학
    오홍석 교학연구사 [1985]
  • 충남지역 귀농・귀촌의 실태 및 유형별 특징
    유학렬 열린충남 54 : 18 ~ 25 [2011]
  • 제주지역의 인구이동과 지역구조변화 분석
    이성용 국토계획 49 (2) : 41 ~ 53 [2014]
  • 제주지역 귀농・귀촌 실태와 활성화 방안
    강승진 [2011]
  • 제주지역 귀농⋅귀촌 교육 참여자 특성 및 교육 만족도 분석
    고상환 농촌지도와 개발 18 (4) : 983 ~ 1010 [2011]
  • 제주지 역 인구변화와 도시관리 방안
  • 제주시 인구 46만명 돌파... 두 달새 1800명 늘어
    제주일보 2015년 3월 12일자 기사 [2015]
  • 제주도 유 휴공간의 활용 실태에 관한
    오성훈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9 (1) : 183 ~ 184 [2013]
  • 제주도 애월읍의 지리적 환경과 인구변화의 특징
    정광중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3 (3) : 57 ~ 79 [2013]
  • 제주도 귀농, 귀촌 가구 5년 새 32배 급증, ‘해동 그린앤골드’관심 늘어
    조선비즈 2015년 2월 12일자 기사 [2015]
  • 제2의 고향을 잘 사는 공동체로 만든다
    서귀포신문 2014년 6월 16일자 기사 [2014]
  • 젊은 도시민의 농촌 이주의 양상 과 성격: 전라북도 진안군의 사례를 중심으로
    진양명숙 지역사회연구 16 (4) : 105 ~ 131 [2008]
  • 일본 과소산촌에서의 지역 자치조 직 재편과 주민자치 -히로시마현 아키타카타시 이케쿠와 지구를 사례로
    부혜진 대한지리학회지 46 (5) : 608 ~ 625 [2011]
  • 은퇴 후 귀농인의 농촌 이주준비 및 농촌 적응과정 실태에 관한 연구
    박공주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5 (1) : 9 ~ 21 [2007]
  • 월정리 위성사진
  • 월정리 사진자료
  • 우리나라 농촌의 인구유입과 지역변화에 관한 연구 -전남 장흥군 귀촌을 사례로
    구지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 올레 걷다 눌러사는 사람들... ‘제주이민’ 꼬리문 행렬
    한겨레신문 2013년 4월 8일자 기사 [2013]
  • 변화하는 농촌성과 지역 귀농운동 조직의 대응: 부산귀농학교를 사례로,
    엄은희 농촌사회 22 (1) : 133 ~ 172 [2012]
  • 마을조직
  • 따뜻한 제주 감귤은 뜨거운 사랑입니다
    제주의 소리 2014년 1월 7일자 기사 [2014]
  • 도시민의 농촌지향 인구이동에 관한 연구동향: 1996~2010년의 국내문헌을 중심 으로
    오수호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4 (2) : 77 ~ 90 [2011]
  • 도시민 농촌 이주에 나타 난 농촌성 담론분석
    진양명숙 농촌사회 24 (2) : 121 ~ 160 [2014]
  • 농촌 이주 도시민의 지역사회 참여활동 실태 및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분석
    황정임 농촌지도와 개발 18 (4) : 729 ~ 764 [2011]
  • 농어촌 숙박업소 현황(2008~2013) 자료
    서귀포시청
  • 기초자치단체 귀농지원체계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충청남도를 중심으로
    윤석환 한국공공관리학보 24 (4) : 135 ~ 159 [2010]
  • 귀향농가의 발생원인과 적응과정
    우종현 한국지역지리학회지 3 (1) : 99 ~ 113 [1997]
  • 귀농・귀촌의 현황과 정책과제
    강대구 농촌지도와 개발 17 (4) : 743 ~ 771 [2010]
  • 귀농자의 농촌정착에 관한 탐색적 연구
    서만용 농어촌관광연구 12 (2) : 145 ~ 171 [2005]
  • 귀농귀촌인구현황(2008~2013) 자료
    서귀포시청
  • 귀농귀촌의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전북 진안군의 사례
    홍성효 농촌사회 22 (2) : 49 ~ 82 [2012]
  • 귀농․귀촌 활성화를 위한 농촌 지방자치단체의 과제
    김정섭 농촌지도와 개발 16 (3) : 533 ~ 556 [2009]
  • 귀농, 귀촌자 실태조사를 통해 본 귀농, 귀촌 정책의 방향 및 시사점 -진안군 사례를 중심으로
    전북지역농업연구원 지역과농업 3 : 83 ~ 98 [2008]
  • 국내인구이동
    통계청 보도자료 [2014]
  • 개발과 이주 그리고 주거지 분화: ‘해남촌’ 사례를 통해서 본 제주사회 이주민 연 구의 과제
    염미경 濟州島硏究 35 : 1 ~ 38 [2011]
  • 韓国中山間過疎農村における地域自治組織主導による地域づくり-済州特別自治道西歸浦市南元邑新興2里を事例に-
    夫惠眞 地域地理研究 16 (2) : 1 ~ 16 [2010]
  • ルイス農村社会地理学
    Lewis, G.J 大明堂 [1986]
  • Talking About Rurality:Social Representations of the Rural as Expressed by Residents of Six English Parishes
    Halfacree, K.H Journal of Rural Studies 11 (1) : 1 ~ 20 [1995]
  • Locality and Social Representation: Space, Discourse and Alternative Definitions of the Rural
    Halfacree, K.H Journal of Rural Studies 9 (1) : 23 ~ 37 [1993]
  • Dimensions of Community Attachment and Their Relationship to Well-Being in the Amenity-Rich Rural West
    Brehm, J.M Rural Sociology 69 (3) : 405 ~ 429 [2004]
  • Cultural Clash” Revisited: Newcomer and Longer-Term Residents' Attitudes Toward Land Use,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Issues in Rural Communities in the Rocky Mountain West
    Smith, M.D Rural Sociology 65 (3) : 396 ~ 421 [2000]
  • Amenity migration:diverse conceptualizations of drivers, socioeconomic dimensions, and emerging challenges
    Gosnell, H Geo-Journal 76 : 303 ~ 322 [2011]
  • 2013년 국내인구이동 통계
    통계청 보도자료 [2014]
  • 2013 서귀포시 귀농・귀촌 정착지원 프로그램 결과 보고서
  • 2000, 2005, 2009, 2010, 2011, 2012, 2013, 주민등록인구통계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