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대동법 시행 이후 대동세 배분방식의 변화와 儲置米 운영

논문상세정보
' 영남대동법 시행 이후 대동세 배분방식의 변화와 儲置米 운영'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한국
  • byulchimi
  • daedonglaw
  • daedongtax
  • jeochimi
  • sunhyechung
  • 대동법
  • 대동세
  • 별치미
  • 선혜청
  • 저치미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090 0

0.0%

' 영남대동법 시행 이후 대동세 배분방식의 변화와 儲置米 운영' 의 참고문헌

  • 한국사 30
    한영국 국사편찬위원회 [1998]
  • 특집2논문: 18세기 중반『탁지정례(度支定例)』류(類) 간행의 재정적 특성과 정치적 의도
    최주희 역사와 현실 (81) : 251 ~ 288 [2011]
  • 조선후기 재정구조의 변동과 환곡의 부세화
    오일주 역사와 실학 3 [1992]
  • 조선후기 양산 甘同倉의 설치와 변천
    문광균 한국문화 (66) : 361 ~ 391 [2014]
  • 조선후기 동래부의 공작미(公作米) 운영실태와 그 성격
    김경란 역사와 현실 (72) : 103 ~ 129 [2009]
  • 조선후기 경제사론
    방기중 연세대학교출판부 [2010]
  • 조선후기 경자양전 연구
  • 조선후기 宣惠廳의 운영과 中央財政構造의 변화-재정기구의 합설과 지출정비 과정을 중심으로-
    최주희 고려대 [2013]
  • 영조의 국가정책과 정책이념
    송양섭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2]
  • 영남대동법 시행 초기 지방재정의 개편과 그 성격
    문광균 한국사연구 (161) : 171 ~ 206 [2013]
  • 萬機要覽
  • 英祖代 郡縣地圖集의 編纂과 活用
    裵祐晟 韓國學報 4 [1995]
  • 續大典
  • 穀簿合錄
  • 湖南廳事例
  • 海東地圖
  • 朝鮮王朝實錄
    [1970]
  • 朝鮮後期의 貢物貿納制-貢人硏究의 前提作業으로
    德成外志子 역사학보 113 [1987]
  • 朝鮮後期 浦項倉의 設置와 運營
    鄭亨芝 오산전문대학 산업기술연구소보 3 [1997]
  • 朝鮮後期 常賑穀의 設置
    문용식 史叢 46 [1997]
  • 承政院日記
  • 度支田賦考
  • 嶺要
  • 嶺營事例
  • 嶺南廳事例
  • 嶺南大同事目
  • 均役法 施行 이후의 지방재정의 변화
    鄭演植 震檀學報 87 [1989]
  • 均役事目
  • 典錄通考
  • 備邊司謄錄
  • 『度支田賦考』를 통해 본 호조의 재원 파악방식과 재정구조 변화
    임성수 민족문화연구 (59) : 515 ~ 558 [2013]
  • 18~19世紀前半の大同米ㆍ木ㆍ布ㆍ錢の徵收支出と國家財政
    安達義博 朝鮮史硏究會論文集 13 [1976]
  • 17세기 경상도지역 공물수취체제와 영남대동법의 실시
    문광균 韓國史學報 (46) : 49 ~ 85 [2012]
  • 17ㆍ18세기 전정 운영론과 전세제도 연구
    이철성 도서출판선인 [2003]
  • 17~18세기 경상도 세곡운송체계의 변화와三漕倉의 설치
    문광균 대동문화연구 (86) : 261 ~ 298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