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년대 한국 소설의 심신 의학적 상상력

' 1960년대 한국 소설의 심신 의학적 상상력'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한국문학
  • body
  • kimseung-ok
  • literatureandmedicine
  • mind
  • narrative
  • psychosomaticmedicine
  • soejoeng-in
  • 김승옥
  • 문학과 의학
  • 서사
  • 서정인
  • 신체
  • 심신의학
  • 정신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5,480 0

0.0%

' 1960년대 한국 소설의 심신 의학적 상상력' 의 참고문헌

  • 환상소설첩 – 근대편
    현상윤 [2004]
  • 현대소설의 서사주제학 : 문학 모티프와 테마를 찾아서
    이재선 문학과지성사 [2007]
  • 현대 한국소설사 1945~1990
    이재선 민음사 [1992]
  • 현대 서술 이론의 흐름
    주네트 [1997]
  • 혁명과 웃음 - 김승옥의 시사만화 <파고다 영감 >을 통해본 4.19 혁명의 가을
    이정숙 앨피 [2005]
  • 한국문학 주제론
    이재선 서강대학교 출판부 [2009]
  • 플롯 찾아 읽기
    피터 브룩스 [2011]
  • 프로이트 심리학
    캘빈 S. 홀 문예출판사 [2000]
  • 텍스트의 수사학
    우찬제 서강대학교 출판부 [2005]
  • 타인의 방
    최인호 문학동네 [2002]
  •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프리드리히 니체 책세상 [2000]
  • 질병과 이야기 - 문학과 의학이 만나는 지점들
    황임경 文學의 人文學적 해석 (봄 학술대회 자료집) [2014]
  • 질병 체험과 서사
    황임경 의철학연구 10 : 3 ~ 28 [2010]
  • 진단과 처방 — ‘뫎의 의학’을 향해서, 120호
    노대원 서강대대학원신문 [2012]
  • 정신신체의학
  • 정신분석 강의
    지그문트 프로이트 열린책들 [2007]
  • 정신병리학의 문제들
    지그문트 프로이트 열린책들 [2007]
  • 정신병리학의 근본개념
    지그문트 프로이트 열린책들 [2007]
  • 일본근대문학의 기원
    가라타니 고진 민음사 [1997]
  • 인문의학 : 인문의 창으로 본 건강
  • 박사
  • 박사
    의학과 서사
    황임경 서울대학교 [2011]
  • 의식의 곤경, 미궁의 길 - 서정인의 「후송」-
    김주언 국문학논집 (16) [1999]
  • 육체와 예술
    피터 브룩스 문학과지성사 [2007]
  • 우리는 왜 아플까: 몸과 마음의 관계로 읽는 질병의 심리학
    대리언 리더 동녘 사이언스 [2011]
  • 식민지 근대성의 ‘문화 의사(cultural physician)’로서 이상(李箱) 시 - 니체와 들뢰즈의 ‘문화 의사로서 작가’의 비평적 관점으로 -
    노대원 문학치료연구 27 : 251 ~ 279 [2013]
  • 소설은 어떻게 눈 뜨는가 —서정인 단편 다시 읽기
  • 선악의 저편 ‧ 도덕의 계보
    프리드리히 니체 책세상 [2007]
  • 서정인의 초기 소설에 나타난 죽음의 문제
    김주언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13 (4) : 215 ~ 234 [2009]
  • 서정인 초기 소설에 나타난 주체의 타율성과 책임의 관련 양상
    이수형 한국학논집 (34) : 111 ~ 140 [2007]
  • 서사학 강의
    H. 포터 애벗 문학과지성사 [2010]
  • 생명의료윤리에서 서사(narrative)의 역할과 의의
    황임경 생명윤리 12 (1) : 1 ~ 18 [2011]
  • 새로운 정신분석 강의
    지그문트 프로이트 열린책들 [2003]
  • 불안의 수사학
    우찬제 소명출판 [2012]
  • 문명 속의 불만
    지그문트 프로이트 열린책들 [2007]
  • 무진기행
    김승옥 문학동네 [2010]
  • 몸중심적 사유로서의 서사와 서사중심 의학(narrative-based medicine)
    최혜실 현대문학이론연구 (44) : 21 ~ 46 [2011]
  • 몸의 증언: 상처 입은 스토리텔러를 통해 생각하는 질병의 윤리학
    아서 프랭크 갈무리 [2013]
  • 몸의 미학: 신체미학―솜에스테틱스
    리처드 슈스터만 북코리아 [2013]
  • 몸과 마음의 상관성: 신체적 경험에 근거한 개념과 언어 표현 -감정 표현을 중심으로-
    봉원덕 인문학연구 (19) : 53 ~ 76 [2011]
  • 마음은 몸으로 말을 한다: 과학과 종교를 유혹한 심신 의학의 문화사
    앤 해링턴 살림 [2009]
  • 니체, 생명과 치유의 철학
    김정현 책세상 [2006]
  • 니체 극장
    고명섭 김영사 [2012]
  • 내러티브를 통해 본 정신분석학과 내러티브 치료 - 프로이트의 엠마(Emma) 치료를 중심으로 -
    이민용 문학치료연구 25 : 103 ~ 130 [2012]
  • 경향신문 ‧ 동아일보 ‧ 한국일보 기사 · 칼럼 · 광고
  • 서정인 문학과지성사 [2007]
  • 韓國 現代 小說에 나타난 醫師와 患者간의 만남의 場面 : 醫師의 患者읽기 유형을 중심으로
    이상규 醫史學 (16) [2000]
  • TMS 통증치료혁명
    존 E. 사르노 승산 [2000]
  • 60年代에 대한 記錄 : 金承鈺論
    윤영돈 學術論叢 22 [1999]
  • 1960년을 묻다: 박정희 시대의 문화정치와 지성
    권보드래 천년의상상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