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균열구조의 등장과 투표기제의 변화

논문상세정보
' 이중균열구조의 등장과 투표기제의 변화'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사회학
  • dualcleavagestructure
  • generationalcleavage
  • rational voting
  • regional cleavage
  • valence voting
  • 세대균열
  • 이중균열구조
  • 지역균열
  • 합리적 투표
  • 합의투표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074 0

0.0%

' 이중균열구조의 등장과 투표기제의 변화' 의 참고문헌

  • 한국지역주의 논의의 재검토: 정치적 정체성 개념과 동기부여구조를 중심으로
    최영진 한국정치학회보 33 (2) : 135 ~ 155 [1999]
  • 한국인의 투표 행태
    이갑윤 후마니타스 [2011]
  • 한국의 이념성향과 생애주기효과: 2007년과 2012년 대통령선거
    이준한 정치·정보연구 16 (2) : 1 ~ 26 [2013]
  • 한국의 보수, 그들은 누구인가?
    장덕진 한반도선진화재단 심포지움 [2008]
  • 한국사회의 세대갈등: 연금과 일자리를 중심으로
    박길성 한국사회 12 (1) : 3 ~ 25 [2011]
  • 한국 지역주의의 변화: 투표행태와 정당을 중심으로
    김진하 현대정치연구 3 (2) : 89 ~ 113 [2010]
  • 한국 지역주의 현상에 대한 신제도주의적 이해:지역정당체제의 경로의존성을 중심으로
    김성수 아태연구 20 (3) : 69 ~ 99 [2013]
  • 한국 유권자의 선택 2: 18대 대선
    박원호 아산정책연구원 [2013]
  • 지역주의와 이념성향: 17대 총선 분석
    문우진 한국정당학회보 8 (1) : 87 ~ 114 [2009]
  • 지역주의 투표행태의 변화를 통해 본 2012 대선 예측: 지역투표 약화될것인가? 교차압력(cross-pressures)이 변수
    정한울 EAI 오피니언 리뷰 (29) : 1 ~ 11 [2012]
  • 지역불평등의 정치동학과 지역정책 분석-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의 비교
    성경륭 지역사회학(Korean Regional Sociology) 14 (2) : 5 ~ 45 [2013]
  • 지역균열의 변화 가능성에 대한 경험적 고찰: 제17대 국회의원선거에서 나타난 이념과 세대 균열의 효과를 중심으로
    최준영 한국정치학회보 39 (3) : 375 ~ 394 [2005]
  • 제18대 대통령선거와 회고적 투표: 왜 제18대 대통령선거에서 집권정부에 대한 회고적 평가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나?
    이내영 한국정당학회보 12 (2) : 5 ~ 36 [2013]
  • 제18대 대통령선거 투표율 분석
  • 정치 균열의 전환과 2012년 대통령선거 세대와 계층 변수를 중심으로
    고원 동향과 전망 (88) : 143 ~ 176 [2013]
  • 저소득층일수록 보수정당을 지지하는가? :한국에서 계층별 정당 지지와 정책 태도, 2003∼2012
    전병유 동향과 전망 (91) : 9 ~ 51 [2014]
  • 응답하라 1219
  • 연령별 소비성향의 변화와 거시경제적 시사점
    권규호 [2014]
  • 신지역발전론. 한울
    김중웅 한울 [2014]
  • 세대투표율 분석을 통해 본 2012 대선 예측: 10년 새 570만표 불어난5060세대가 대선 좌우한다
    정한울 EAI 오피니언 리뷰 (5) : 1 ~ 14 [2012]
  • 세대정치와 정치균열* 1997년 이후 출현과 소멸의 동학
    윤상철 경제와 사회 (81) : 61 ~ 88 [2009]
  • 세대전쟁
    박종훈 21세기북스 [2014]
  • 세대균열의 구성 요소: 코호트 효과와 연령 효과
    이내영 의정연구 19 (3) : 37 ~ 83 [2013]
  • 사회자본(Social Capital) 특성이 지역주의에 미치는 영향: 결속형과 교량형을 중심으로
    이현우 한국정치학회보 45 (2) : 149 ~ 171 [2011]
  • 비정규직 규모와 실태: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부가조사’(2012.8) 결과
    김유선 [2012]
  • 변화하는 한국유권자 5: 패널조사를 통해 본 2012 총선과 대선
    이내영 EAI [2013]
  • 변화하는 한국유권자 5: 패널조사를 통해 본 2012 총선과 대선
    강원택 EAI [2013]
  • 변화하는 한국유권자 5: 패널조사를 통해 본 2012 총선과 대선
    우정엽 EAI [2013]
  • 변화하는 한국유권자 5: 패널조사를 통해 본 2012 총선과 대선
    윤광일 EAI [2013]
  • 변화하는 한국 유권자 5: 패널조사를 통해 본 2012 총선과 대선
    지병근 EAI [2013]
  • 방송매체 이용행태조사
  • 만들어진 현실: 한국의 지역주의, 무엇이 문제이고, 무엇이 문제가 아닌가
    박상훈 후마니타스 [2009]
  • Which democracies prosper? Electoral rules, form of government and economic growth
    Knutsen, C.H Electoral Studies 30 : 83 ~ 90 [2011]
  • Voting and identity
    Pattie, C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 Theoretical Models of Voting Behaviour
    Antunes, Rui exedra (4) : 145 ~ 170 [2010]
  • The Strategy of Development
    Hirschman, A.O Yale University Press [1958]
  • The Rise of Gerontocracy? Addressing the Intergenerational Democratic Deficit
  • The Political Participation of Older People in Europe: The Greying of Our Democracies
    Goerres, A Palgrave Macmillan [2009]
  • The Obama Coalition in the 2012 Election and Beyond
    Teixeira, R [2012]
  • The American Voter Revisited
    Lewis-Beck, M.S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8]
  • Success and failure in electoral competition: Selective issue emphasis under incomplete issue ownership
    Geys, B Electoral Studies 31 : 406 ~ 412 [2012]
  • Strategic Regionalism and Realignment of Regional Electoral Coalitions: Emergence of a Conservative Government in the 2007 Presidential Election
    성경륭 한국사회학 42 (8) : 13 ~ 38 [2008]
  • Retrospective Voting in American National Elections
    Fiorina, M.P Yale University Press [1981]
  • Proximity and directional theory compared:Taking discriminant positions seriously in multi-party systems
    Fazekas, Z Electoral Studies 32 : 693 ~ 707 [2013]
  • Party Systems and Voter Alignments: Cross-National Perspectives
    Lipset, S.M The Free Press [1967]
  • Party Appeals and Voter Loyalty in New Democracies
    Toka, G Political Studies 46 : 589 ~ 610 [1998]
  • Living Reviews in Democracy
    Bornschier, S University of Zurich. Institute for Political Science [2009]
  • How Ideology Divides Generations: The 2002 and 2004 South Korean Elections
    Kang, W.T Canadi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41 (2) : 461 ~ 480 [2008]
  • Generational Conflict or Methodological Artifact? Re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ge and Policy Attitutes in the U.S.: 1984–2008
    Fullerton, A.S Public Opinion Quarterly 74 (4) : 643 ~ 673 [2010]
  • Essays on the Sociology of Knowledge by Karl Mannheim
    Manheim, K Routledge & Kegan Paul [1923]
  • An Economic Theory of Democracy
    Downs, A Harper and Row [1957]
  • Age Significantly Impacts on the Choices that Voters Make at Elections
    Tilley, James Democratic Audit Blog [2014]
  • A Directional Theory of Issue Voting
    Rabinowitz, G APSR 83 : 93 ~ 121 [1989]
  • 2017년 대선 대비 정치경제적 환경변화에 따른 세대전략 검토:경제·고용상황을 중심으로
    김유선 [2014]
  • 2014 복지정책 이슈와 대응전략
    김연명 [2014]
  • 2012년 대통령선거 분석
    강원택 나남 [2013]
  • 2012년 대통령선거 분석
    노환희 나남 [2013]
  • 2012년 대통령선거 분석
    박찬욱 나남 [2013]
  • 2012년 대통령선거 분석
    윤광일 나남 [2013]
  • 18대 대통령선거 관련 유권자 의식조사
  • 18대 대선의 의미와 진보의 재구성: 파국적 균형을 넘어
    김정훈 경제와 사회 (97) : 121 ~ 154 [2013]
  • 18대 대선 데이터 자료분석과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