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토음식의 인지도와 기호도 및 소비행동에 관한 연구

논문상세정보
' 향토음식의 인지도와 기호도 및 소비행동에 관한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식품과 식료
  • awareness
  • consumption behavior
  • gyeongju
  • inheriting
  • local food
  • preference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641 1

0.0%

' 향토음식의 인지도와 기호도 및 소비행동에 관한 연구' 의 참고문헌

  • 향토음식에 대한 인식 및 선호도에 관한 연구 -전북 정읍지역을 중심으로-
    문성식 관광연구저널 26 (6) : 435 ~ 445 [2012]
  • 향토음식에 대한 의식 및 인지도에 관한 연구 -경남 김해지역을 중심으로-
    박경태 한국조리학회지 17 (2) : 98 ~ 110 [2011]
  • 향토음식산업의 육성방안 : 164 ~ 167
    이동필 [2007]
  • 향토음식 관광상품화 방안
    한국관광공사 경상북도 주요 향토음식 12 [1993]
  • 한국의 전통향토음식 경상북도
  • 울산향토음식의 대중화 및 관광상품화를 위한 중요도와 만족도 연구
    최수근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22 (3) : 346 ~ 354 [2006]
  • 생활문화속의 향토음식문화
    김상보 신광출판사 : 413 ~ 422 [2004]
  • 부산, 경남 지역 대학생의 향토음식에 대한 의식 및 중요도에 관한 연구
    백종온 한국조리학회지 15 (1) : 137 ~ 148 [2009]
  • 대학생의 향토음식에 대한 인식 및 중요도, 만족도에 관한 연구- 경산시를 중심으로 -
    정우석 한국조리학회지 20 (1) : 120 ~ 132 [2014]
  • 남원 향토음식에 대한 관광객의 인지도 및 만족도
    김병숙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4 (4) : 385 ~ 390 [2009]
  • 김제지역의 향토음식 개발을 통한 관광상품화 연구
    민계홍 관광연구저널 24 (3) : 295 ~ 309 [2010]
  • 국립농업과학원 전통향토음식정보관리 시스템
  • 구전으로 전해지는 경주 향토음식 채록집 : 1 ~ 19
  • 경주지역 향토음식의 성인의 연령별 이용실태 분석
    이연정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1 (6) : 577 ~ 588 [2006]
  • 경주지역 향토음식의 선택속성에 관한 연구- 별채반을 중심으로 -
    김민정 관광연구 28 (5) : 111 ~ 129 [2013]
  • 경주지역 향토음식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과 기호도 조사연구
    이연정 외식경영연구 7 (1) : 157 ~ 174 [2004]
  • 경주지역 향토음식 발굴 및 개발에 대한 주민의식 연구
    이연정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24 (4) : 549 ~ 559 [2008]
  • 경주시청 홈페이지
  • 경북 향토음식에 대한 인식도 조사
    민영희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26 (1) : 72 ~ 78 [2010]
  • 강원지역 일부 대학생들의 한국음식섭취와 영양지식 조사
    민성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9 (1) : 43 ~ 51 [2004]
  • http://koreanfood.rda.go.kr
  • Tourism and Gastronomy
    Hjalager AM Routledge [2002]
  • The consumption of experiences or the experience of consumption? An Introduction to the Tourism of Taste : 1 ~ 24
    Hall CM [2003]
  • Food, Health and Indentity
    Williams J Routledge [1997]
  • Dimensions of Hospitality Industry: An Introduction
    Dittemer P Wiley [2001]
  • Development of native local foods of the northern part of Gyongsang-bukdo and their commercialization
    Kwon SJ Tourism Research 19 : 49 ~ 60 [2004]
  • A study on the excavation and tourism commercialization of local foods -Focused on Yeongcheon area-
    Jang SO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Management, Gyeongju University [2009]
  • A study on the consumer’s recognition for tourism merchandising of regional cuisine in Kyonggi province
    Son YJ The Graduate School of Tourism Management, Kyonggi University [2014]
  • A study of traditional cuisine as tourism resource
    Jin YH J Culture & Tourism 3 (2) : 49 ~ 83 [2001]
  • A study of traditional cuisine as commercial scale in regional festive events
    Kim SC Korean Journal Culinary Research 6 (3) : 193 ~ 223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