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 : 초등학교에서의 교사와 학급의 공동체적 수업 실천이 학교폭력에 미치는 영향

' 연구논문 : 초등학교에서의 교사와 학급의 공동체적 수업 실천이 학교폭력에 미치는 영향'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school violence
  • the communal instructional practices of the classroom
  • the communal instructional practices of the teacher
  • 교사의 공동체 수업실천
  • 학교폭력
  • 학급의 공동체적 수업실천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059 0

0.0%

' 연구논문 : 초등학교에서의 교사와 학급의 공동체적 수업 실천이 학교폭력에 미치는 영향' 의 참고문헌

  • 학급공동체의 필요성과 성공적인 학급공동체의 특징: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김정섭 사고개발 3 (2) : 37 ~ 59 [2007]
  • 박사
  • 학교폭력의 실태와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류영숙 한국교원교육연구 29 (4) : 615 ~ 636 [2012]
  •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사회 규범적 접근
    손경원 도덕윤리과교육 26 (26) : 101 ~ 124 [2008]
  •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초등 체육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이옥선 한국교원교육연구 30 (2) : 1 ~ 23 [2013]
  •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유아기 인성교육에 관한 탐색: ‘돌봄’의 특성을 중심으로
    오경희 유아교육학논집 17 (4) : 323 ~ 347 [2013]
  • 학교체계가 중학생의 학교폭력에 미치는 영향
    김미영 한국청소년연구 18 (2) : 287 ~ 314 [2007]
  • 학교공동체의 특성에 관한 분석적 고찰
    주철안 교육사상연구 21 (1) : 201 ~ 224 [2007]
  • 학교공동체 의식의 개념적 분석과 그 구축 전략
    노종희 교육행정학 연구 16 (2) : 385 ~ 401 [1998]
  • 학교공동체 만들기
    Sergiovanni, T. J. 에듀케어 [2004]
  • 초등학생의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배려증진 프로그램 효과 검증 연구
    양미진 초등교육연구 22 (2) : 205 ~ 232 [2009]
  • 초등학교에서의 공동체적 수업실천과 공동체의식이 학교폭력 자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대동 교육사회학연구 23 (4) : 207 ~ 235 [2013]
  • 청소년들의 학교 폭력 실태와 대책
    이종복 평택대학교 논문집 9 (2) : 135 ~ 156 [1997]
  • 집단괴롭힘의 전개과정과 역할구조에 관한 연구 : 중학생들의 집단괴롭힘 사례를 중심으로
    박혜경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0]
  • 주변인 대상 학교폭력 예방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정제영 교육과학연구 44 (2) : 119 ~ 143 [2013]
  • 일상생활의 사회학
    Maffesoli, M. 한울 출판사 [2002]
  • 이야기치료의 기법을 활용한 초등학교 저학년의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개발
    이춘정 상담학연구 11 (1) : 265 ~ 282 [2010]
  • 우종필 교수의 구조방정식모델개념과 이해
    우종필 한나래 [2012]
  • 수업협의회에 기초한 배움의 학교공동체 형성에 관한 연구
    전현곤 한국교원교육연구 24 (3) : 199 ~ 221 [2007]
  • 수업이 바뀌면 학교가 바뀐다
    佐藤 学 에듀케어 [2006]
  • 수업을 중핵으로 한 ‘배움’의 학교공동체에 관한 연구
    김대현 교육과정연구 23 (4) : 131 ~ 155 [2005]
  • 수업을 중심으로 한 ‘배움의 학교공동체’ 형성에 관한 연구: 부산 B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전현곤 교육학연구 47 (1) : 119 ~ 144 [2009]
  • 사회과학 연구를 위한 SPSS AMOS 활용의 실제
    김석우 학지사 [2010]
  • 배움으로부터 도주하는 아이들
    佐藤 学 북코리아 [2003]
  • 배움과 돌봄의 학교공동체
    한대동 학지사 [2009]
  • 방관자의 집단 특성에 따른 또래괴롭힘 참여 역할행동
    서미정 아동학회지 29 (5) : 79 ~ 96 [2008]
  • 또래괴롭힘 완화요인의 탐색 : 주변또래의 유형 분석을 중심으로
    서미정 부산대학교 [2006]
  • 또래 괴롭힘 상황에서 학령기 아동의 역할과 사회적 이해
    차윤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 도시형 대안학교 학생들의 또래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학교환경요인을 중심으로
    김덕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 교육개혁을 Desing한다
    佐藤 学 공감 [2001]
  • 공동체로서의 학급만들기
    Jones, V. 원미사 [2008]
  • ‘배움’과 ‘돌봄’을 위한 학교공동체 실천모형 탐색
    한대동 교육연구 16 : 31 ~ 49 [2004]
  • The challenge to care in schools: An alternative approach to education
    Noddings, N. College Press [1992]
  •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Sense of Their School as a Community and Their Involvement in Problem Behaviors
    Battistich, V.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87 (12) [1997]
  • Sense of community : A theory and definition
    MacMillan, D. W.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4 : 6 ~ 23 [1986]
  •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Klein, R. B. Guilford Press [2011]
  • Prevention effect of the child development project : Early findings from an ongoing multi-site demonstration trial
    Battistich, V. Journal of Adolescent Research 11 (1) : 12 ~ 35 [1996]
  • Performance of bootstrapping approaches to model test statistics and parameter standard error estimation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evitt, J.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8 (3) : 353 ~ 377 [2001]
  • Participant role approach to school bullying :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s
    Salmivalli, C. Journal of Adolescence 22 : 453 ~ 459 [1999]
  • Effects of the Child Development Project on students' drug use and other problem behaviors
    Battistich, V. Journal of Primary Prevention [1997]
  • Disruptive Behavior in Schools
    Olweus, D. JohnWiley [1984]
  • Creating urban clssroom communities worthy of trust
    Ennis, C.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4 (2) : 149 ~ 172 [2002]
  • Bulling
    Roland, E. Trentham Books [1989]
  • Assessing implementation of the Child Development Project
    Battistich, V. Presented at the meeting on Implementation Research in School-Based Models of Prevention and Promotion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