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개의 과학, 두 개의 문명

논문상세정보
' 두 개의 과학, 두 개의 문명'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한국문학
  • chemistry
  • civilization
  • culture
  • evolution
  • morality
  • reason
  • science
  • vital(life)
  • 과학
  • 도덕
  • 문명
  • 문화
  • 생명
  • 이성
  • 진화
  • 화학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7,351 1

0.0%

' 두 개의 과학, 두 개의 문명' 의 참고문헌

  • 형이상학서설
    Kant, Immanuel 아카넷 [2012]
  • 박사
  • 학지광
  • 키워드
    Williams, Raymond 민음사 [2010]
  • 코젤렉의 개념사 사전 1: 문명과 문화
    Fisch, Jörg 푸른역사 [2010]
  • 칸트와 문화 철학
    김석수 철학과현실사 [2003]
  • 칸트 이성철학 9서 5제
    백종현 아카넷 [2012]
  • 칸트 ‘인간 존엄성의 원칙’에 비춰 본자살의 문제
    백종현 칸트연구 32 : 197 ~ 222 [2013]
  • 청춘
  • 지식과 소설의 연대
    구장률 소명출판 [2012]
  • 조선총독부 법제 정책
    이승일 역사비평사 [2008]
  • 제국의 근대와 식민지, 그리고 이광수 -제2차 유학시절 이광수의 사상적 궤적을 중심으로-
    최주한 어문연구(語文硏究) 36 (4) : 421 ~ 446 [2008]
  • 정열의 근대적 재배치 - 최찬식의 《능라도》와 이광수의 《개척자》를 중심으로 -
    소영현 현대소설연구 24 : 159 ~ 186 [2004]
  • 자유를 향한 참을 수 없는 열망
    Foucault, Michel 새물결 [1999]
  • 일본근대화에서의 칸트철학수용과 그 토착화
    한단석 일본학보 25 [1990]
  • 일본근대철학사
    宮川透 생각의나무 [2001]
  • 이광수의 <개척자 >와 나혜석의 <경희 >에 대한 비교 연구
    비교문학 비교문학 20 [1995]
  • 이광수와 식민지 문명화론
    최주한 서강인문논총 27 (27) : 369 ~ 395 [2010]
  • 이광수와 그의 시대 2
    김윤식 [1999]
  • 이광수, 근대성의 윤리
    서영채 한국근대문학연구 1 (19) : 147 ~ 180 [2009]
  • 이광수 전집 1, 6, 10
    이광수 삼중당 [1971]
  • 이광수 소설의 '생명' 의식 연구
    와다 토모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 이광수 문학의 지적 편력
    이재선 서강대학교출판부 [2011]
  • 이광수 문학사전
    한승옥 고려대학교출판부 [2002]
  • 이광수 〈개척자〉연구-과학적 세계관의 영향을 중심으로
    김종욱 국어국문학 132 [2002]
  • 영혼, 생명, 우주 - 1910년대, 제1차 세계대전의 충격과 '죽음'의 극복 -
    권보드래 개념과 소통 (7) : 5 ~ 34 [2011]
  • 박사
  • 언어횡단적 실천
    Liu, Lydia 소명출판 [2005]
  • 실천이성비판
    Kant, Immanuel 아카넷 [2009]
  • 신 없는 자연-초기 이광수 문학에서의 과학-
    황종연 상허학보 36 : 143 ~ 182 [2012]
  • 소설형식의 기본유형
    Stanzel, Franz Karl 탐구당 [1982]
  • 세상의 이치
    Moretti, Franco 문학동네 [2005]
  • 삼천리
  • 사회진화론에 대한 비판과 ‘생명’ 인식의 변화 - 『학지광』을 중심으로
    안지영 한국현대문학연구 38 : 83 ~ 113 [2012]
  • 법원과 검찰의 탄생
    문준영 역사비평사 [2010]
  • 번역어 성립사정
    柳父章 일빛 [2003]
  • 번역과 일본의 근대
    丸山眞男 이산 [2009]
  • 문학이란 하오와 무정, 그 논리구조와 한국 문학의 근대 이행
    방민호 춘원연구학보 5 [2012]
  • 매일신보
    [1910]
  • 동아시아의 칸트철학
    牧野英二 아카넷 [2014]
  • 동아시아의 사회진화론 재고-중국과 한국의 ‘진화’ 개념의 형성
    양일모 한국학연구 17 [2007]
  • 노블, 청년, 제국
    황종연 상허학보 14 : 263 ~ 297 [2005]
  • 근현대 한국사회의 과학
    박성래 창작과 비평사 [1998]
  • 근대라는 아포리아
    高坂史朗 이학사 [2007]
  • 朱熹 사상에 미친 李?의 영향
    최복희 한국철학논집 16 (16) : 227 ~ 248 [2005]
  • 春園의 『개척자』 연구
    崔洙逸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93]
  • 大正生命主義と現代
    鈴木貞美 河出出版社 [1995]
  • 『학지광』 제8호, 편집장 이광수와 새 자료
    권보드래 민족문학사연구 (39) : 388 ~ 397 [2009]
  • 1910~20년대 초 제1차 세계대전의 소개양상과 논의지형
    이태훈 사학연구 (105) : 187 ~ 228 [2012]
  • 1910년대 이광수 소설에 나타난 '과학'의 의미
    백지혜 한국현대문학연구 14 : 143 ~ 171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