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億初期文學과 漢文脈의 再構成

' 金億初期文學과 漢文脈의 再構成'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한국문학
  • chinese classical poetry
  • contraposition
  • heavenslogic
  • introductiondevelopmentturnandconclusion
  • korean modern poetry
  • mourningpoetryoffriendsdeath
  • noble poetry
  • nomaliciousintentioninthinking
  • thecontextrelatedwithclassicalchinesewritings
  • 격조시(格調詩)
  • 기승전결
  • 대우(對偶)
  • 도붕시(悼朋詩)
  • 사무사(思無邪)
  • 천리(天理)
  • 한국 근대시
  • 한문맥(漢文脈)
  • 한시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3,474 0

0.0%

' 金億初期文學과 漢文脈의 再構成' 의 참고문헌

  • 理性과 感性의 관계로 본 朝鮮後期 文學論 -칸트와 헤겔의 美學 談論과 상관하여
    이병찬 어문연구 75 : 223 ~ 244 [2013]
  • 李鈺의 文學理論과 作品世界의 硏究
    金均泰 서울대 [1986]
  • 金億의 格調詩形論에 對하여
    구인모 한국문학연구 29 (29) : 263 ~ 294 [2005]
  • 현대시의 고전 텍스트 수용과 변용
    박경수 국학자료원 [2011]
  • 해파리의 노래
    조선도서주식회사 [1923]
  • 한학(漢學)과 한국한문학의 사이, 근대한문학
    김진균 국제어문 51 (51) : 137 ~ 166 [2011]
  • 한문학과 근대문학
    주승택 태학사 [2009]
  • 한문맥(漢文脈)의 근대와 순수언어의 꿈
    황호덕 한국근대문학연구 16 : 99 ~ 133 [2007]
  • 한국현대시의 정수
    정한모 서울대학교출판부 [1979]
  • 한국의 문학사와 철학사
    조동일 지식산업사 [1996]
  • 한국문학을 위한 담론
    김용직 푸른사상 [2006]
  • 한국낭만주의시연구
    오세영 일지사 [1990]
  • 한국 현대시론사 연구
    한계전 문학과지성사 [1998]
  • 한국 근대시의 이상과 허상
    구인모 소명출판 [2008]
  • 한국 근대 초기의 어문학자
    송철의 태학사 [2013]
  • 태서문예신보
  • 창조
  • 중국시의 창작과 번역
    김파 한국문화사 [1993]
  • 조선일보
    [1934]
  • 조선시대 유교문화
    최봉영 사계절 [1997]
  • 조선문단
    [1924]
  • 정지용 시의 운율 의식
    김영미 한국시학연구 7 : 2 ~ [2002]
  • 전통시학의 새로운 탄생
    박현수 경북대학교출판부 [2013]
  •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조선어급한문 교과서 연구 시론 -중등교육 교재 『고등조선어급한문독본』을 중심으로-
    임상석 漢文學報 22 : 131 ~ 172 [2010]
  • 일제 강점기(1920~30년대) 조선인의 서당개량운동
    박종선 역사교육 71 [1999]
  • 이숭인의 挽詩類 작품에 나타난 죽음의 형상화와 미적 특질
    하정승 한국한시연구 (21) : 113 ~ 151 [2013]
  • 박사
  • 영대
  • 어문 정책과 한문 교육 정책의 변천 연구
    최관진 청람어문교육 26 : 225 ~ 252 [2003]
  • 양명학의 정신
    정인재 세창출판사 [2014]
  • 안서의 한시번역과정
    이규호 국어국문학 86 [1981]
  • 안서와 소월의 한시 번역과 창작시의 율격
    노춘기 한국시학연구 (13) : 277 ~ 306 [2005]
  • 안서와 석정의 번역 한시 비교고 ―매창의 한시를 중심으로
    박종덕 현대문학이론연구 (52) : 91 ~ 116 [2013]
  • 안서시에 나타난 한시 영향 관계 고찰
    강재철 국문학 논집 14 [1994]
  • 실학사상과 근대성
    홍원식 예문서원 [1998]
  • 벽초 홍명희와 漢詩 아비투스
    한영규 민족문화 40 (40) : 41 ~ 73 [2012]
  • 베를렌느 시 번역을 통해 본 김억의 자유시 모색과 실천
    박성창 한국현대문학연구 35 : 95 ~ 138 [2011]
  • 박문사
  • 문학이라는 역어
    황종연 동악어문논집 32 [1997]
  • 매일신보
    [1910]
  • 동아일보
    [1937]
  • 꽃다발
  • 김억의 초기시의 상상력과 본질
    박민수 관악어문연구 11 [1986]
  • 김억의 시형론
    남정희 반교어문연구 9 [1998]
  • 김억의 번역 한시에 나타난 미의식 연구
    박종덕 어문연구 65 : 271 ~ 295 [2010]
  • 김억(金億)의 여성 한시 번역과 번안시조(飜案時調) 창작의 의의
    남정희 민족문학사연구 (55) : 65 ~ 94 [2014]
  • 김안서 연구
    김학동 새문사 [1996]
  • 근대어의 탄생과 한문 - 한문맥과 근대 일본
    사이토 마레시 현실문화연구 [2010]
  • 근대 한국의 이중어사전 1 외국인들의 사전 편찬 사업으로 본 한국어의 근대
    황호덕 박문사 [2012]
  • 개화기 대성학교의 교육사적 의의
    박의수 한국교육사학 19 [1997]
  • 韓國 哀悼詩의 構成과 表現에 대한 연구
    崔載南 서울대 [1992]
  • 詩論
    쭈 꾸앙 치엔 동문선 [1991]
  • 碧初 洪命憙의 漢詩에 대하여
    김진균 漢文學報 24 : 535 ~ 560 [2011]
  • 理·發자의 형성과 철학적 전개
    김승영 양명학 (34) : 179 ~ 208 [2013]
  • 朱子哲學에서의 理欲 관계론
    최정묵 철학논총 21 [2000]
  • 朝鮮朝 漢詩 敎育의 實際와 百聯抄解
    曺蒼錄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21) : 337 ~ 359 [2004]
  • 朝鮮時代 학자들의 ‘思無邪’ 인식
    김수경 중국어문논총 58 : 227 ~ 253 [2013]
  • 岸曙 金億의 詩論 연구 : 韓國近代詩論의 位相과 向方
    金承鍾 중앙대학교 [1992]
  • 天機의 槪念과 天機論의 意義
    정요일 漢文學報 19 : 243 ~ 260 [2008]
  • 『무정(無情)』의 근대성과 정육(情育)
    정병설 한국문화 (54) : 235 ~ 253 [2011]
  • ‘최후예술’로서의 상징주의 문학 김억의 예술론에 나타난 귀납적 보편성 연구
    이은지 민족문학사연구 (53) : 286 ~ 325 [2013]
  • Lyrical Ballads
    William Wordsworth Methuen and co Ltd [1963]
  • 1910년대의 이중어 상황과 문학 언어
    권보드래 동악어문학 54 : 5 ~ 43 [2010]
  • 18세기 한국 한시사 연구
    안대회 소명출판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