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 : 한방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 방부제 개발

논문상세정보
' 연구논문 : 한방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 방부제 개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antibacterial activity test
  • cosmeticpreservative
  • herbalextract
  • natural preservative
  • plant extract antibacterial activity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1 0

0.0%

' 연구논문 : 한방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 방부제 개발' 의 참고문헌

  • 황금추출물의 항균특성
    조성환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0 (5) : 964 ~ 968 [2001]
  • 박사
  • 황금가수분해물의 아토피 피부염 예방효과
    윤미영 한국미용학회지 18 (5) : 1104 ~ 1111 [2012]
  • 화장품정책과
    식품의약품안전처 화장품 법률 제 13117호 [2015]
  • 화장품의 미생물한도 기준 및 시험방법 가이드라인 : 8 ~ 15
  • 화장품과 미생물
    서경희 화장품신문 : 145 ~ 158 [2005]
  • 한약재 추출물의 항균효과 검색
    박욱연 한국영약식향학회지 21 (1) : 91 ~ 96 [1992]
  • 파라벤류의 독성과 내분비계장애 효과
    안혜선 환경생물 27 (4) : 323 ~ 333 [2009]
  • 오미자로부터 항균활성 물질의 분리 및 항균효과
    이주연 한국식품과학회지 33 (3) : 389 ~ 394 [2001]
  • 오미자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품의 중년 여성 안면주름 개선 효과
    이정희 한국미용학회지 19 (4) : 634 ~ 641 [2013]
  • 오미자 식품의 지표성분 조사
    양철신 제주도보건환경연구원보 14 : 49 ~ 64 [2003]
  • 쌍화차의 추출조건에 관한 연구
    조광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18 (1) : 34 ~ 39 [1989]
  • 상백피 추출물중 Listeria monocytogenes 증식억제 물질의 분리 및 효과
    안은영 한국식품과학회지 29 (6) : 1236 ~ 1240 [1997]
  • 상백피 추출물의 항균력 및 최적추출조건 검토
    박욱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10 (3) : 139 ~ 145 [1995]
  • 상백피 추출물로부터 항균성 물질의 분리 정제
    박욱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10 (4) : 225 ~ 230 [1995]
  • 발효 상백피의 항산화활성 및 멜라닌 생성억제 효과
    최은영 한국미용학회지 17 (3) : 495 ~ 499 [2011]
  •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생육에 미치는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추출물의 영향
    이신호 산업미생물학회지 25 (2) : 224 ~ 228 [1997]
  • 국내산 식물의 항균활성 검색
    최원균 한국식품영양학회지 15 (4) : 300 ~ 306 [2002]
  • 구기자, 당귀, 오미자, 오갈피추출물의 유리당, 유리아미노산, 유기산 및 타닌의 조성
    오상룡 한국식품과학회지 22 (1) : 76 ~ 81 [1990]
  • 감초의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활성 및 안정성 조사
    김수정 한국식품과학회지 38 (2) : 241 ~ 248 [2006]
  •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CTFA. Cosmetics 13 : 19 ~ 22 [2001]
  • Structure of Moracin A and B, new phytoalexins from diseased mulberry
    Takasugi M Tetrahedron Letters 20 (48) : 4675 ~ 4678 [1978]
  • Screening of anti-acne activity of natural products against propioni bacterium acnes
    Sohn HY Kor. J. Microbiol & Biotechnol. 34 : 264 ~ 272 [2006]
  • Quantification and variability of Escherichia coli and Staphylococcus aureus crossd thick porridge in Lungwena rural house holds, Malawi
    Taulo SA J. Food Control. 20 : 1158 ~ 1166 [2009]
  • Paraben allergy
    Nagel JE JAMA 237 (15) : 1594 ~ 1955 [1977]
  • Mulberrofuran A, a new isoprenoid 2-arylbenzofuran from the root bark of the cultivated mulberry tree (Morus alba L.)
    Nomura T Planta. Med. 42 (6) : 197 ~ 199 [1978]
  • LC-MS를 이용한 황금추출물의 항균물질 검색
    조성환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12 (4) : 350 ~ 354 [2005]
  • Kuwanon G: an antibacterial agent from the root bark of Marus alba against oral pathogens
    Park KM J. Ethnopharmacol. [2003]
  • Evaluation of the preservative properties of Thymus vulgaris essential oil in topically applied formulations under a challenge test
    Manou L J. Appl. Microbiol. 84 (3) : 368 ~ 376 [1998]
  • Ability of laboratory methods to predict in-use efficacy of antimicrobial preservatives in an experimental cosmetic
    Farrington JK Appl. Environ. Microbiol. 60 (12) : 4553 ~ 4558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