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상세정보
' 시판 막장의 맛 성분에 관한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freeaminoacids
  • freesugar
  • makjang
  • organic acid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24 0

0.0%

' 시판 막장의 맛 성분에 관한 연구' 의 참고문헌

  • 제주 재래식된장의 생리적 특성
    황준호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8 (12) : 1656 ~ 1663 [2009]
  • 전통식 녹차된장과 일부 시판된장의 이화학적 특성
    정복미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3 (1) : 132 ~ 139 [2004]
  • 작두콩 첨가 된장과 일반 된장의 생리활성 특성 비교
    이학태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24 (1) : 94 ~ 101 [2009]
  • 일부 시판 즙장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김하윤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1 (4) : 571 ~ 579 [2010]
  • 여러 가지 별미장의 숙성과정 중 향기성분의 변화
    우관식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3 (10) : 1689 ~ 1697 [2004]
  • 된장의 지용성·수용성추출물에 대한 갈색 특성 및 항산화 효과
    김현정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18 (6) : 644 ~ 654 [2002]
  • 고려시대 및 조선시대 장류
    안용근 한국식품영양학회지 25 (3) : 460 ~ 482 [2012]
  • 『증보산림경제』의 장류(醬類) 조리 가공에 관한 연구
    김성미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14 (3) : 175 ~ 186 [2004]
  • Studies on the contents of free amino acids, organic acids and isoflavones in commercial soybean paste
    Jeong JH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 10 ~ 15 [1998]
  •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upjang and Makjang using different starch sources
    Yoo SM Korea Soybean Digest 20 : 57 ~ 64 [2003]
  • Korean Food History and Cooking
    Yoon SS. Suhaksa : 54 ~ 59 [1984]
  • HPLC determination of fructose and sucrose in potatose
    Wilson AM J Food Sci 46 : 300 ~ 330 [1981]
  • Effects of mixture of improved meju, Korean traditional meju and natto on soybean paste fermentation
    Joo HK J Korean Agric Chem Soc 35 : 286 ~ 293 [1992]
  • Compositions of sugars and fatty acids in soy bean paste prepared with different microbial sources
    Park JS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 917 ~ 924 [1995]
  • Characteristics of yeast flora and gas generation during fermentation of Doenjang
    Lee NS Agric Chem Biotechnol 39 : 255 ~ 259 [1996]
  • Characteristics of the taste in traditional Korean soybean paste
    Yang SH J Korean Soc Food Nutr 21 : 443 ~ 448 [1992]
  •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whole soybean cereals fermented with Mucor and Rhizopus strains
    Kim DH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 176 ~ 182 [1999]
  • Bacillus subtilis HJ18-4를 이용하여 제조한 대맥장의 품질 특성
    김지연 한국식품과학회지 44 (6) : 743 ~ 749 [2012]
  • Bacillus sp. SP-KSW3를 이용하여 제조한 된장 발효 과정중의 효소 활성 및 기능성의 변화
    박희동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14 (5) : 545 ~ 551 [2007]
  • Antioxidant and anticarcinogenis effects of traditional doenjang during maturation periods
    Kwon SH Korean J Food Preserv 11 : 461 ~ 467 [2004]
  • A study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 of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 : 176 ~
  • A comparative study on properties analysis of Korean and Japanese commercial soybean paste : 40 ~ 41
    Jang BR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