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학 : 초기 재조일본인 사회에서의 재조일본인 유녀의 표상 -『조선지실업(朝鮮之實業)』, 『조선(급만주)(朝鮮(及滿洲))』의 기사 및 유곽물(遊廓物)을 중심으로 -

논문상세정보
' 역사학 : 초기 재조일본인 사회에서의 재조일본인 유녀의 표상 -『조선지실업(朝鮮之實業)』, 『조선(급만주)(朝鮮(及滿洲))』의 기사 및 유곽물(遊廓物)을 중심으로 -'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chosunachievementschosun(andmanshu)
  • japanesesettlersincolonialkorea
  • outlying region
  • period literature
  • prostitute settlers
  • 在朝日本人
  • 外地
  • 遊女
  • 遊廓物
  • 외지
  • 유곽물
  • 유녀
  • 재조 일본인
  • 조선급만주
  • 조선지실업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86 0

0.0%

' 역사학 : 초기 재조일본인 사회에서의 재조일본인 유녀의 표상 -『조선지실업(朝鮮之實業)』, 『조선(급만주)(朝鮮(及滿洲))』의 기사 및 유곽물(遊廓物)을 중심으로 -' 의 참고문헌

  • 한국 근대 공창제 연구
    야마시타 영애 이화여대 [1991]
  • 표상, 젠더, 식민주의: 제국 남성이 본 조선 기생
    서지영 아시아여성연구 48 (2) : 65 ~ 96 [2009]
  • 조선 속 일본인의 에로경성 조감도(여성직업 편)
    김효순 도서출판 문 [2012]
  • 조선 거주 일본인의 일본어 문학의 형성과 (비)동시대성 ― 「韓半島」와 「朝鮮之實業」의 문예란을 중심으로 ―
    박광현 日本學硏究 31 : 317 ~ 345 [2010]
  • 박사
  • 식민지시기 경성에서의 ‘취미’ -재경성(在京城) 일본인의 이념화 변용과정을 중심으로-
    신승모 일본언어문화 (17) : 585 ~ 605 [2010]
  • 식민지 조선에서의 도한일본여성의 현실-현무양처와 창부의 경계적 존재로서의 조추(女中)를 중심으로-
    김효순 일본연구 13 [2010]
  • 성매매‘근절주의’운동의 역사적 형성과 변화의 의미: 일제 강점기와 미군정 시기 폐창운동을 중심으로
    이나영 한국여성학 25 (1) : 5 ~ 34 [2009]
  • 메이지시대 한국이주 일본인문학과 매매춘에 관한 조사연구
    허석 日本語文學 (27) : 361 ~ 383 [2005]
  • 러일전쟁 전후 한반도의 일본어잡지와 일본어 문학의 성립―『한국교통회지(韓國交通會誌)』(1902~03)와『한반도(韓半島)』(1903~06)의 문예물을 중심으로―
    정병호 일본학보 (92) : 175 ~ 194 [2012]
  • 대한제국기의 <기생단속령 > <창기단속령 > - 일제 식민화와 공창제 도입의 준비과정
    송연옥 韓國史論 40 [1998]
  • 대한제국․일제 초기 서울과 매춘업과 공창(公娼)제도의 도입
    강정숙 서울학연구 11 [1998]
  • 근대초기 한국 내 일본어 문학의 형성과 문예란의 제국주의 ―『朝鮮』(1908-11)․『朝鮮(満韓)之実業』(1905-14)의 문예란과 그 역할을 중심으로
    정병호 외국학연구 14 (1) : 387 ~ 412 [2010]
  • 근대 일본의 젠더 이데올로기
    오고시 아이코 소명출판 [2009]
  • 경계의 여성들-한국근대 여성사
  • 開化期 在韓日本人 雜誌資料集 : 韓半島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제이앤씨 [2006]
  • 開化期 在韓日本人 雜誌資料集 : 朝鮮之實業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국학자료원 [2013]
  • 開化期 在韓日本人 雜誌資料集 : 朝鮮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국학자료원 [2013]
  • 賣買春と日本文學
    岡野幸江 東京堂出版 [2002]
  • 植民地朝鮮の日本人-軍人から商人, そして芸者まで
    高崎宗司 岩波書店 [2002]
  • 朝鮮及滿洲
    조선급만주사 어문학사 [2005]
  • 戰爭責任とジェンダ-
    鈴木裕子 未来社 [1998]
  • 性の歷史學 : 公娼制度․落胎罪體制から賣春防止法․優生保護法體制へ
    藤目ゆき 不二出版 [1997]
  • 20세기 초기 일본의 제국주의와 한국 내 <일본어문학 >의 형성 연구 ―잡지『조선』(朝鮮, 1908-11)의「문예」란을 중심으로―
    정병호 日本語文學 1 (37) : 409 ~ 425 [2008]
  • 1910년대 한반도 내 일본어 잡지의 간행과 <일본어 문학 > 연구 ―『조선 및 만주』(朝鮮及満州)의 「문예」관련기사를 중심으로―
    정병호 일본학보 (87) : 149 ~ 166 [2011]
  • 1910년대 『조선』(『조선급만주』)의 문예면과 ‘식민 문단’의 형성
    박광현 비교문학 (52) : 25 ~ 56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