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논문 : 오월 소설의 트라우마 유형과 문학적 치유 방안 연구

논문상세정보
' 일반논문 : 오월 소설의 트라우마 유형과 문학적 치유 방안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agony
  • constriction
  • hyperarousal
  • intrusion
  • mayshortstories
  • memory
  • trauma
  • 고통
  • 과각성
  • 기억
  • 억제
  • 오월 소설
  • 침투
  • 트라우마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989 0

0.0%

' 일반논문 : 오월 소설의 트라우마 유형과 문학적 치유 방안 연구' 의 참고문헌

  • 한국소설문학대계 89
    최윤 동아출판사 [1995]
  • 한국소설문학대계 83
    임철우 동아출판사 [1995]
  • 한국 뉴웨이브의 정치적 기억
    연세대학교 미디어아트연구소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7]
  • 폭력
    공진성 책세상 [2009]
  • 포스트모더니티와 오월 광주
    차원현 민족문학사연구 (50) : 172 ~ 193 [2012]
  • 평론
  • 트라우마의 치유
    Allen Jon G. 학지사 [2010]
  • 트라우마, 내러티브, 정체성- 20세기 전쟁 기념의 문화사적 연구를 위한 방법론의 모색 -
    전진성 역사학보 (193) : 217 ~ 243 [2007]
  • 트라우마 치료의 원칙
    Briere John 시그마프레스 [2014]
  • 트라우마
    Herman Judith 플래닛 [2007]
  • 청동조서
    김신운 문학과의식 [2001]
  • 일어서는 땅 – 80년 5월 광주항쟁 소설집
    한승원 인동 [1987]
  • 이웃집 천사를 찾아서– 세월호 트라우마, 어떻게 극복할까
    정혜신 창작과비평 166 [2014]
  • 외상의 치유 인생의 향유
    Follette Victoria M. 학지사 [2014]
  • 오월의 기억과 트라우마, 그리고 소설 ―이미란 소설 『말을 알다』를 중심으로―
    심영의 민주주의와 인권 8 (1) : 5 ~ 17 [2008]
  • 오월문학과 실어증 – 야콥슨, 바디우, 랑시에르를 중심으로
    김형중 계명대학교 인문과학 연구소 45 [2011]
  • 역사적 트라우마의 치료과정-현기영의「순이삼촌」을 중심으로
    음영철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3 (11) : 297 ~ 305 [2013]
  • 여성의 언어로 재현된 1980년 ‘5월 광주’
    이송희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16 (3) : 105 ~ 130 [2012]
  • 아시아의 민주주의와 인권
  • 소설
  • 상처와 치유의 서사
  • 밤꽃
    최인석 이룸 [2000]
  • 반대자의 윤리
    고봉준 실천문학사 [2006]
  • 문학치료학과 역사적 트라우마
    정운채 통일인문학 55 : 7 ~ 25 [2013]
  • 내러티브 노출치료
    Schauer Maggie 시그마프레스 [2014]
  • 내 인생을 힘들게 하는 트라우마
    바빗 로스차일드 소울메이트 [2013]
  • 기억의 정치와 공간적 재현 : 한국에서의 민주화 운동들을 중심으로
    정호기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2]
  • 기억의 공간
    Assmann Aleide 그린비 [2011]
  • 기억과 벽관의 소설화-정찬론
    장영우 한국어문학연구 42 [2004]
  • 기억․서사
    오카 마리 소명출판 [2004]
  • 그럼 무얼 부르지
    박솔뫼 작가세계 23 [2011]
  • 국가폭력과 트라우마의 발생 기제 : 광주 ‘5‧18’ 피해자를 대상으로
    최정기 경제와 사회 (77) : 58 ~ 78 [2008]
  • 국가폭력과 트라우마
    오수성 민주주의와 인권 13 (1) [2013]
  • 광주민중항쟁의 '트라우마티즘'과 기념공간-'5월운동'과 국립5.18묘지를 중심으로-
    정호기 경제와 사회 58 : 5 ~ 145 [2003]
  • 과거청산에서의 기억 전쟁과 이행기 정의의 난점들- 광주민주화운동 관련 보상과 피해자의 트라우마를 중심으로
    최정기 지역사회연구 14 (2) : 3 ~ 22 [2006]
  • 곰팡이꽃
    심상대 조선일보사 [1999]
  • ‘5·18 트라우마티즘’ 연구의 현황과 전망
    박영주 민주주의와 인권 4 (2) : 219 ~ 240 [2004]
  • 5월 항쟁문학 5단계론
    임헌영 월간 길을 찾는 사람들 92 (5) [1992]
  • 5·18과 한국소설
    차원현 한국현대문학연구 31 [2010]
  • 5·18 민중항쟁과 문학·예술
    5·18기념재단 심미안 [2006]
  • 5·18 민중항쟁과 기억의 서사화 -8·90년대 중단편소설을 중심으로
    김정숙 민주주의와 인권 7 (1) : 177 ~ 204 [2007]
  • 5·18 문학의 세 지평
    주인 어문론집 31 [2003]
  • 518 피해자들의 만성 외상 후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오수성 한국심리학회지:일반 25 (2) : 59 ~ 75 [2006]
  • 20세기 한국소설
    이순원 창비 : 43 ~ [2006]
  • 2001년을 대표하는 문제소설
    구효서 한국문화사 [2002]